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문화사회와 철학

다문화사회와 철학

이정은, 이병욱, 정창호 (지은이)
자유문고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500원
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문화사회와 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문화사회와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0301075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7-03-17

책 소개

다문화사회에 들어선 한국 사회가 ‘함께 행복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당연히 법률, 사회의식, 문화, 교육 등의 대책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의 바탕이 되는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목차

머리말_ 5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철학적 성찰
1. 한국은 다문화사회인가?_ 21
2. 왜 다문화주의 철학이 필요한가?_ 23
3. 다문화주의와 유사한 분야의 개념들_ 25
1) 문화 상대성과 문화 절대성_ 25
2) 관용_ 29
4. 다문화적 삶을 위한 이론적 갈래들-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_ 33
5. 다문화주의 이론의 분류-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_ 37
6. 다문화주의 착상을 지닌 근대 독일 철학-헤겔과 낭만주의_ 41
7. 동양은 어떠한가?-동아시아의 변화_ 44
8. 당면한 한국 현실을 정리하며-시급히 해결해야 할 소수 집단 문제_ 48

상호문화철학과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1. 들어가는 말_ 57
2. 문제의 배경: 세계화 및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타자와의 공존_ 59
3. 상호문화성: 세계화와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기본관점_ 65
1) 타자를 문화적 차원에서 의식적으로 고려하고 이해하라는 요구_ 67
2)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지각방식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방식_ 67
3) 협동적인 자기이해 및 동반자(파트너) 관계 형성의 방식_ 68
4) 문화적인 교차상황의 구성과정 및 그것의 표현_ 69
5) 능동적 관용의 창조적 분위기-제3의 세계를 형성하는 과정_ 72
4. 상호문화철학: 상호문화성에 입각한 철학의 재구성_ 74
1) 철학의 딜레마와 서양철학의 자기반성_ 74
2) 모든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 ‘다자간 대화(Polylog)’의 이념: F. Wimmer의 논의를 중심으로_ 78
(1) 서양철학의 편견_ 78
(2) 문화적 중심주의의 제 형태_ 82
(3) ‘Polylog’ 또는 다자간 대화_ 86
3) 상호문화적 해석학: R. A. Mall의 논의를 중심으로_ 87
(1) 문화와 철학_ 89
(2) 영구 철학_ 90
(3) 상호문화적 해석학과 ‘겹침’의 영역 _ 91
5. 독일의 상호문화교육_ 94
1) 용어의 문제_ 94
2)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의 역사적 배경: 이주 노동자의 유입_ 98
3) 독일 상호문화교육의 전개과정_ 100
(1) 최초의 자연발생적인 조치로서의 ‘외국인교육학’_ 100
(2) ‘외국인교육학’에 대한 비판_ 102
(3) 비판의 귀결: 독일 상호문화교육학의 등장과 발전과정_ 105
4) 외국인교육학과 상호문화교육학의 비교_ 109
(1) 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 ‘결핍’ 대 ‘차이’_ 110
(2) 교육대상의 설정: ‘외국인 학생’ 대 ‘모든 학생’ _ 112
(3) 수업 및 교육의 실행방식: ‘부가적 보완교육’ vs ‘일반교육’_ 114
(4) 교육의 목표: ‘동화/배제’ vs ‘다원주의적 통합’_ 115
(5) 사회모델: 단일한 국민국가 vs 다문화적 이주국가_ 117
6. 결론에 대신하여: 타자와의 공생을 위한 실천모델-듀이의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_ 118

헤겔 철학에서 다문화주의
1. 다문화적 삶과 헤겔의 연관성_ 131
1) 삶의 목적-행복_ 131
2) 21세기 한국인의 행복-헤겔의 동양관을 조망하여_ 133
(1) 늘어나는 외국인_ 133
(2) 서양의 동양관, 그 일반적 모델-오리엔탈리즘_ 135
(3) 서양의 동양관의 반전-헤겔?_ 136
2. 헤겔 철학의 개인사적 배경_ 137
1) 철학 교사를 꿈꾸는 청년 헤겔_ 137
(1) 종교적 민중 교사를 꿈꾸는 신학도 헤겔_ 139
(2) 민중 교사에서 철학 교사로 궤도 전환_ 140
(3) 종교 문제와 정치 문제의 연관_ 142
2) 유럽의 동양 이해를 반영하는 후기 헤겔_ 143
(1) 동양 연구의 시작-13세기 오리엔탈리즘?_ 144
(2) 분류와 체계화-18세기_ 146
(3) 아시아에 대한 야릇한 이중 감정_ 149
3. 헤겔의 형이상학적-인식론적 지평_ 152
1) 청년기의 자기의식에서 노년기의 정신으로_ 152
(1) 헤겔의 도발적 착상-신 인식의 문제_ 153
(2) 신 인식을 위한 청년기 철학 개념-자기의식_ 154
(3) 자기의식에서 절대 정신으로_ 156
2) 정신의 자기 전개-차이와 동일성의 관계_ 157
(1) 전체와 부분_ 158
(2) 본질과 현상_ 159
(3) 특수와 보편_ 160
4. 헤겔 역사철학에서 동양관_ 163
1) 역사철학의 원리-정체와 문화_ 164
(1) 역사철학의 대상-국가와 법_ 165
(2) 법 제도와 문화의 관계_ 167
(3) 세계사의 발전 단계-세계사적 국가_ 169
2) 헤겔의 동양관-동양 문화에 대한 헤겔의 평가_ 173
(1) 세계사의 시작-중국인가?_ 173
(2) 중국 문헌에 대한 이해-공자의 철학_ 176
(3) 동양 사상에 대한 총론_ 178
5. 동서양 문화의 등가치성-문화 상대성과 절대성의 공존_ 179

불교사상에 포함된 다문화주의적 요소
1. 다문화주의의 소개 _ 187
1) 다문화주의와 한국의 다문화주의 정책_ 187
2) 이방인에 대한 해석학과 다문화교육_ 190
2. 불교사상의 전개_ 195
1) 초기불교의 사상_ 195
(1) 사성제_ 196
(2) 3법인三法印 또는 4법인四法印_ 197
(3) 연기緣起_ 201
2) 부파불교의 전개: 상좌부와 대중부의 분열_ 202
3) 대승불교의 등장과 밀교의 출현_ 205
4) 중국불교의 특징_ 212
5) 천태종의 사상_ 214
(1) 교판론_ 216
(2) 일념삼천설과 일심삼관_ 218
6) 화엄종의 사상_ 220
(1) 교판론_ 222
(2) 십현연기十玄緣起_ 224
7) 선종의 사상_ 227
(1) 선종의 이해_ 227
(2) 선종의 형성: 홍주종과 5가7종_ 228
3. 불교철학과 다문화주의_ 233
1) 상호의존성에 대한 자각_ 233
2) 동일성과 정체성에 대한 부정_ 236
(1) 3법인 또는 4법인_ 237
(2) <금강경>의 공空사상_ 238
(3) 중관학파의 4구四句 부정_ 240
3) 중생은 불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평등하다_ 243
(1) 초기불교에서 4성계급의 평등을 주장함_ 244
(2) <대방등여래장경>의 여래장 사상과 <열반경>의 불성사상_ 248
(3) 천태종의 일념삼천설_ 250
4. 결론_ 253


찾아보기_ 257

저자소개

이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천태사상연구》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인도철학사》 《천태사상》 《한국불교사상의 전개》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등이 있고, 〈천태지의 철학사상 논구〉 등의 논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승가대학 강사.
펼치기
정창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0년생으로, 서울에서 초중고를 거쳐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헤겔 철학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쓴 뒤에 독일로 갔고, 함부르크대학교 교육학부에서 ‘한국에서의 철학교육’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에서 귀국한 후에는 고려대학교를 비롯한 국내 여러 대학교의 교양학부와 교육학과 그리고 철학과에서 강의했으며, 현재는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마지막 학기 강의를 하고 있다. 그동안 틈틈이 옮긴 책으로 『마음을 쏘다, 활』,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습속 I-IV』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는 『진보주의 교육사상』이 있다.
펼치기
이정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나는 복잡다단한 삶의 문제를 막연하게 이해하는 것이 싫어서 전문적으로 철학 공부를 시작했다. 그랬더니 알아듣기 힘든 난해한 문장과 고리타분한 규범을 집대성한 텍스트가 끝없이 이어졌다. 난해성의 늪에 익사하기 직전에, 철학자는 시대의 아들이라는 헤겔의 문구를 발견했다. 갑자기 헤겔 철학으로 학위를 받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샘솟는 기운으로, 인간 생명체의 의미와 삶의 철학을 정치철학과 여성주의 철학으로 풀어내는 역량을 길렀다. 연세대학교에서 「헤겔 대논리학의 자기의식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다음, 학창 시절에 나와 유사한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을 겨냥한 『사랑의 철학』과 『사람은 왜 인정받고 싶어하나』를 출간했다. 여러 동학과 함께 『다시 쓰는 서양 근대철학사』 『서양근대종교철학』 『다문화사회와 철학』 등을 썼다. 지금은 한국 사회에서 인권과 청년세대의 삶을 고양하는 문제와 이것을 세계 여성의 상황과 연결하는 문제를 고민하면서 유엔연합의 1325호 결의안과 세대평등을 철학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