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붓다의 법담학 연구

붓다의 법담학 연구

(불교 상담학 원론에 대한 고찰)

이광준 (지은이)
운주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50원
2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붓다의 법담학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붓다의 법담학 연구 (불교 상담학 원론에 대한 고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57465899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0-02-21

책 소개

프라즈냐 총서 46권. 서구의 심리학 이론에 편중되어온 지금까지의 불교 상담학 연구의 한계를 재고하고 '불교 법담학'이라는 새로운 심리학 이론체계를 제시한 책이다.

목차

머리말·5
일러두기·9

제1장 법담학 서설 21
제1절 법담(法談: dharma-counseling)이란·21
1. 설법과 법담의 개념 21
2. 법담의 신개념 28
3. 법담가의 자질 30
제2절 법담학으로서의 불교·31
1. 불성 실현에의 길 31
2. 본불本佛 발견에의 길 32
3. 절대적 인격 실현에의 길 34
제3절 연기설의 세계관·36
1. 붓다 시대의 세계관 36
2. 연기 40
3. 인연·연기에 관한 비유 42
제4절 업과 인과사상·46
1. 업과 인과 46
2. 초기불교의 인과설 47
3. 업과 연기 49

제2장 법담의 사상체계 51
제1절 선교방편으로서의 4무애변·51
1. 방편의 의미 51
2. 4무애변과 7변七辯 56
3. 4무애해 60
제2절 사辭와 변辯·63
1. 사(辭: 언어) 64
2. 변(辯: 수기개도隨器開導) 64
제3절 변방편辨方便으로서의 칠지七知·81
1. 칠지의 의미 81
2. 『불설칠지경佛說七知經』의 칠지七知 83
3. 『집이문족론』의 칠묘법七妙法 86
제4절 칠지 중의 이지二知·89
1. 지중 89
2. 지인근 94
3. 선교방편으로서의 칠지七知 96

제3장 붓다의 인간관 97
제1절 중생으로서의 인간·97
1. 인간의 의미 97
2. 중생(유정)의 의미 100
3. 중생의 실존적 비유 104
제2절 붓다의 업설業說과 윤회하는 인간·106
1. 붓다의 업사상 106
2. 붓다의 업설과 윤회와의 관계 111
3. 업사상의 법담학적 의의 116
제3절 아와 무아의 사상·118
1. 아와 무아 118
2. 오온무아설五蘊無我說 122
3. 실아무아설實我無我說 125
제4절 붓다의 심성관·127
1. 심성본정설 127
2. 부파불교의 심성설 131
3. 대승불교의 심성설 133
제5절 불교에 있어서의 이상적 인간상·135
1. 심청정의 인간상 135
2. 대승보살도에 나타난 인간상 138
3. 불교에 있어서의 인간상의 제상諸相 142

제4장 붓다의 고관苦觀 151
제1절 고의 해설·151
1. 고의 종류와 삼도三道 151
2. 고의 원인–무명과 갈애 153
3. 붓다의 출가 동기–10고十苦 154
4. 5취五趣의 5고五苦 156
제2절 4고四苦와 8고八苦·158
1. 유정의 4고와 8고 158
2. 『5왕경』과 『유가사지론』의 8고八苦 162
제3절 고苦의 철학적 접근·164
1. 사제 중의 고제 164
2. 『대고온경』 및 『소고온경小苦蘊經』의 과환過患 168
제4절 고의 해결과 사제 팔정도·171
1. 사제–고뇌의 병리학 171
2. 사제로부터 대승불교의 공空으로 173
3. 노·병·사를 체념한다 174
4. 팔정도 176

제5장 붓다에서 보는 법담체계의 전형 179
제1절 의왕 붓다·179
1. 의왕과 응병여약 179
2. 비유법 182
3. 붓다의 최초의 법담교화 189
4. 무상존無上尊의 인격 192
제2절 세존의 인격·196
1. 사무량심의 정신 196
2. 세존의 위의 198
3. 붓다 당시의 세인과 제자들의 평가 201
4. 대자대비 204
제3절 중도·연기·불성설의 법담학·208
1. 법담가로서 생각해 볼 문제 208
2. 중도 209
3. 연기 212
4. 불성의 개발 214
제4절 붓다의 구제사상과 법담·218
1. 구제의 개념과 교설 218
2. 중생구제의 길 220
3. 중생제도의 실존적 비유 222

제6장 붓다의 법담 방법 227
제1절 대기법담·229
1. 대기법담이란 229
2. 붓다의 법담 기준 232
3. 붓다의 법담 사례 일람 236
4. 신통시현神通示現의 전승사례 240
제2절 차제법담·243
1. 차제법담 243
2. 중도의 필요성 245
3. 보시와 계율과 생천의 법담 250
4. 법안의 각증覺證 255
제3절 교계법담敎誡法談·256
1. 인간의 6종 성격에 대한 대응 방법 256
2. 4종 사문 257
3. 법담과 성묵聖默 259
4. 자비심 없는 논쟁은 하지 말 것 261
제4절 법담 방법의 특징·264
1. 법담으로서의 교화 264
2. 붓다의 법담 방법의 특징 265
3. 침묵의 원리 267
4. 십사난에는 답하지 않음 269

제7장 불교의 심리적 질병관 277
제1절 불교의 심리적 병인론·277
1. 경전상의 질병관 277
2. 심병心病과 업 280
3. 『대지도론』의 설 286
4. 병인病因 추적의 특징 288
제2절 심병의 개요·290
1. 심병의 원인과 병명 290
2. 광狂과 난亂의 개념과 산란 291
3. 광혹 294
4. 귀병과 마병 296
제3절 발광에 관한 문제·298
1. 『대비바사론』의 설 298
2. 『성실론』의 설 300
3. 『발지론』의 설 300
제4절 『구사론』의 심광업心狂業·305
1. 심광의 원인 305
2. 염오와 불염오 307
3. 심광心狂하는 유정들 308
4. 성자들의 경우 309
제5절 『대지도론』의 심병론·314
1. 광병狂病 314
2. 난심 315
3. 번뇌 중심의 심병 317
4. 번뇌병의 분류와 대처 방법 318

제8장 불교의 심리치료 방법(I) 321
제1절 좌선요법·321
1. 좌선요법이란 321
2. 보통의 좌선요법 322
3. 수식좌선요법數息坐禪療法 326
제2절 법의 위력요법威力療法·328
1. 참회요법 328
2. 법열요법法悅療法 329
3. 위력요법威力療法 332
4. 촉수요법觸手療法 333
제3절 염력요법念力療法·335
1. 공空–병은 없는 것이라고 념念한다 335
2. 이미지 요법 337
제4절 광명요법·340
1. 광명요법 340
2. 사경요법寫經療法 344

제9장 불교의 심리치료 방법(II) 349
제1절 『구사론』의 심리치료·349
1. 마음병 치료(心病治療)-단혹법斷惑法 349
2. 정심定心의 성취 방법 351
3. 무아의 관지觀智 353
4. 의지박약의 심리적인 병 355
제2절 『유식론』의 심리치료·356
1. 마음병(心病)의 근원 356
2. 번뇌장의 치료법 359
제3절 전세요법·364
1. 윤회사상에 기초한 새로운 심리요법 364
2. 최면요법과 그 역사 366
3. 전세요법前世療法 367
제4절 불교 간호의 소양·373
1. 마음의 준비 373
2. 병의 가르침에 따름 375
3. 병에 걸리지 않는 법 377

제10장 붓다의 법담과 최후의 설법 381
제1절 붓다의 법담 실제·381
1. 시사구담미의 사례(아이의 죽음) 381
2. 갖가지 비유 384
3. 본생담 386
4. 참된 어자御者 387
제2절 집단법담·388
1. 피안에 이르는 길 388
2. 16제자들의 질문과 붓다의 답변 394
3. 불제자들의 질문에 대한 결론 409
제3절 가야산의 산상설법·412
1. 치연熾燃의 설법 412
2. 마음이 가난한 자 415
3. 구극의 경지–열반 416
4. 빔비사라 왕의 귀의 417
제4절 최후의 설법–자등명·법등명·421
1. 최후의 여로 421
2. 자기를 의지처로 하라 423
3. 사라의 쌍수 아래에서 425
4. 크나큰 열반 427

찾아보기·431

저자소개

이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석사, 일본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 심리학 박사. 전공은 카운슬링, 치료심리학, 선심리학. 백상창신경정신과 임상심리실장,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외국인 연구원(교수), 하나조노대학(花園大學) 국제선학연구소 연구원, 류코쿠대학(龍谷大學) 강사, 류코쿠대학 세계불교문화연구센터 객원연구원 역임. 현재 서울불교대학원 대학교 석좌교수. 저서로 『반야심경 제대로 공부하기』, 『붓다의 법담학 연구』, 『한국적 치료심리학』, 『일본, 그 문화와 사회』, 『카운슬링과 심리치료』,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漢方心理學』, 『佛敎의 懺悔思想史』, 『정토불교와 참회사상』, 『韓日佛敎文化交流史』, 『法華思想史』, 『카운슬링에 있어서의 선심리학적 연구』(日語), 『불교와 카운슬링』(日語 공저), 『불교와 카운슬링의 이론과 실천』(日語 공저), 그 외에 다수의 논저와 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