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8895746709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08-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5
일러두기∙9
제1장 반야경의 해제 19
I. 반야경 19
1. 경명經名에 대하여∙19
2. 반야경과 대승불교∙20
3. 반야경전의 성립∙22
4. 반야경의 내용과 사상∙24
5. 반야경을 설한 이유∙25
6. 대품계 반야경과 『소품반야경』∙26
7. 반야경의 발전∙27
8. 한국의 경우∙29
II. 반야경의 유래 30
1. 현장삼장玄奘三藏의 천축 구법∙30
2. 현장의 귀국과 역경사업∙33
III. 반야학 35
1. 반야학이란∙35
2. 격의불교格義佛敎∙37
3. 삼론학파의 형성∙39
제2장 반야경과 그 주석서들 41
I. 반야경의 분류 41
1.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반야경』∙41
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 『대품반야경』∙44
3. 『방광반야바라밀다경』 → 『방광반야경』∙45
4. 『소품반야바라밀경小品般若波羅蜜經』∙46
5. 『인왕반야바라밀경』 → 『인왕경』∙47
6. 『실상반야바라밀경』 → 『실상반야경』∙48
7. 『금강반야바라밀경』 → 『금강경』∙51
8. 『반야바라밀다심경』 → 『반야심경』∙53
9. 여타 반야경전들∙56
II. 『성실론』의 제법개공론 59
1. 공사상의 논서∙59
2. 『성실론』의 공사상∙60
3. 『성실론』의 내용∙61
III. 반야경의 주석서 62
1. 『대품반야경』의 주석서∙62
2. 『소품반야경』의 주석서∙66
IV. 반야경의 중국 해설서 68
1. 달마의 『소실육문少室六門』∙68
2. 승조의 『조론』∙72
3. 혜능의 『육조단경』∙74
4. 길장의 주석서∙77
제3장 반야사상에 기초한 경과 논서들 79
I. 반야사상에 기초한 대표적인 경전 79
1. 『능가경』∙79
2. 『유마경』∙83
3. 『설무구칭경』∙86
4. 『승만경』∙87
5. 『법화경』의 제법실상론∙90
6. 『화엄경』∙93
7. 공관삼매경空觀三昧經들∙101
II. 삼론종의 주요 논서 105
1. 『중론中論』∙106
2. 『백론百論』∙107
3. 『십이문론十二門論』∙108
4. 『중론』의 주석서∙109
5. 길장의 『삼론현의三論玄義』∙113
III. 그 밖의 논서들 113
1. 『공칠십론(空七十論, Śūnyatāsaptati)』∙113
2. 『회쟁론廻諍論』∙114
3. 『광백론본廣百論本, Catuḥ-śataka』 → 『백론』은 『광백론본』의 강요서∙115
4. 『광백론석론光百論釋論』: 『광백론본』의 주석서∙115
5. 『광파경론廣破經論』∙116
제4장 반야경의 사상 개요 119
I. 『반야경』의 사상 대강 119
1. 『반야경』의 사상적 입장∙119
2. 반야의 실체∙123
3. 방편반야∙128
4. 상제보살 이야기∙130
5. 반야사상의 몇 가지 개념∙136
II. 대품경과 소품경의 내용 개요 138
1. 『대품반야경』의 개요∙138
2. 『소품반야경』의 개요∙149
제5장 반야와 공사상 157
I. 반야와 공사상 157
1. 반야사상∙157
2. 바라밀(波羅蜜, pāramitā)∙164
3.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prajñā-pāramitā)∙166
II. 공사상 173
1. 공의 의의∙173
2. 공空의 여러 가지 견해∙178
3. 공의 여러 가지 의미∙181
4. 공의 여러 가지 뜻∙188
III. 공空과 유有의 사상 전개 192
1. 연기와 공∙192
2. 공유이론空有二論∙194
3. 불이법문不二法門∙196
4. 공유空有 개념의 여러 가지 의미∙199
제6장 반야수행관 201
I. 수행론 201
1. 수행이란∙201
2. 반야십지般若十地와 십진여十眞如∙202
3. 보살의 6바라밀 수행∙206
II. 오종수행 209
1. 오종법사五種法師∙209
2. 오종수행五種修行∙211
III. 반야수행론 222
1. 보살선菩薩禪∙222
2. 겁초劫初에로의 회귀선回歸禪∙228
제7장 선과 삼매론 233
1. 선바라밀∙233
2. 『능가경』의 4종선∙238
3. 삼매三昧론∙244
4. 삼매의 여러 가지 뜻∙258
5. 『좌선삼매경坐禪三昧經』∙262
제8장 반야적 실천법 265
I. 아공·법공과 비안립관 265
1. 아공我空과 아공관我空觀∙265
2. 법공法空과 법공관法空觀∙268
3. 비안립과 비안립관非安立觀∙273
II. 공관空觀 276
1. 삼공관문三空觀門∙276
2. 십팔공관十八空觀∙280
III. 해탈·성불의 길 293
1. 반야경에 있어서 번뇌와 업業의 문제∙293
2. 반야경에 있어서 성불의 길∙299
부록: 관련 용어 해설∙307
참고문헌∙321
찾아보기∙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