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57466230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0-11-04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5
I. 들어가는 글 13
Ⅱ. 중국의 불교 수용-유·불 간의 교섭과 대립 23
1. 중국의 불교 수용과 중화사상·23
2. 불교의 토착화 과정에서의 유·불 논쟁·39
1) 사상적 논쟁·40
2) 사회·문화적 논쟁·45
3. 당·송대의 불교 비판과 유·불 조화론·61
1) 이단론異端論·도통론道統論 형성·63
2) 배불론의 전개·85
3) 불교 측 대응으로서의 유·불 조화론·103
Ⅲ. 고려 말 유·불 대립의 배경과 추이 127
1. 고려의 진호국가 불교와 불사佛事의 설행設行·127
1) 진호국가 사상과 호국삼부경·129
2) 고려 태조의 ‘훈요訓要’로 본 진호국가 사상·144
3) 불사와 의례의 진호국가적 성격·152
4) 「발원문」 등에 나타난 진호국가설·157
2. 고려 말 유·불 대립의 대두·165
1) 불교 비판의 시대적·사상적 배경·165
2) 사대부 계층의 불교 인식과 비판·174
3. 유교와 불교의 조화 모색·189
1) 불교 비판에 대한 고승들의 대응·189
2) 유학자들의 조화론적 불교관·202
3) 친불·배불의 이중적 불교관·210
Ⅳ. 조선 초기 배불 사상과 불교의 대응 236
1. 조선 건국과 유교 이념·236
1) 개국 주역들의 이념적 성향·236
2) 유교 국가 건설과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242
2. 조선 초기 배불 사상과 국왕들의 불교관·247
1) 유교의 기본 입장과 진호국가설의 부정·248
2) 도통론의 계승과 불교 비판·257
3) 조선 초 국왕들의 불교관·265
3. 배불 사상의 체계화와 확립·294
1) 정도전의 저술과 배불 사상·294
2) 권근의 배불·친불의 이중적 성향·318
3) 조선 초 여러 배불 사상과 후대에 끼친 영향·330
4. 배불론에 대한 불교의 대응·348
1) 원천석의 유·불 귀일론歸一論·349
2) 기화의 유·불 조화론적 대응·357
3) 조선 초 유·불 조화론의 후대 계승·382
Ⅴ. 여말선초 유·불 철학 논쟁의 특징과 의의 399
1. 정도전 배불 사상의 핵심요소·400
2. 여말선초 유·불 조화론의 특징 및 한계·420
3. 여말선초 유·불 교체의 의의·437
Ⅵ. 나가는 글 442
참고문헌·451
찾아보기·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