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5782228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5-09-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개정판 서문
구판 서문
Chapter 1 주식투자의 이해
1-1 투자자가 해야 할 일들
1-2 거시경제 지표와 투자 시기
1-3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1-4 주가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1-5 민감도를 산정하는 베타계수
1-6 종목 선택보다 간편한 비중 조절
Chapter 2 베타투자전략
2-1 베타투자전략에 들어가며
2-2 매입보유법 : 무조건 들고 있기
2-3 정률투자법 : 주식과 채권의 비중 통일
심화 ① 전진분석이란 무엇인가?
2-4 변율투자법 : 매입보유법과 정반대 포지션
2-5 추세투자법 : 상승장 먹고 하락장 피하기
심화 ② 추세투자법 vs 비추세투자법
2-6 정률-추세투자법 : 전략 분산의 이점
2-7 정액투자법 : 보유 주식 평가액을 일정하게
2-8 증액투자법 : 원금 보장이 필요할 때
2-9 투자중단법 : 전략에 어긋나면 매도
2-10 스텝다운 : 내려갈수록 계단식 비중 증가
2-11 정액적립식 : 월급 쪼개 투자하기
2-12 절대모멘텀 전략 : 추세의 힘 파악
2-13 점증적립식 : 주가 변동에 따라 적립금 조절
2-14 피라미딩 : 포지션을 늘려가는 추세추종 투자
2-15 헤지거래 : 시장 하락에 보험 들기
2-16 자산배분 : 미국채 투자로 리스크 완화
2-17 적립식 피라미딩 : 투자방법의 합성
2-18 레버리지 투자 : 투자금을 늘려 전략 분산
2-19 투자전략의 비교 및 응용
Chapter 3 알파투자전략
3-1 알파투자전략에 들어가며
3-2 가치투자 : 낮으면 매수 높으면 매도
심화 ③ 가치투자는 죽었는가?
3-3 모멘텀투자 : 오르면 매수 떨어지면 매도
3-4 퀄리티투자 : 뛰어난 사업성과 재무구조
3-5 배당투자 : 확실하고 안정적인 자산 증식
3-6 저변동성 투자 : 리스크 감소를 통한 수익 증대
3-7 성장투자 : 전도유망한 기업에 투자
3-8 포트폴리오 :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심화 ④ 집중 투자 vs 분산투자, 최적의 종목 수는?
3-9 분산투자 : 개별 종목의 리스크 상쇄
3-10 분산매매 : 주식 종목간 정률투자법
3-11 코어&새틀라이트 : 리스크 있는 투자는 작은 시드로
3-12 시가총액 가중 : 시가총액이 높을수록 비중 배분
3-13 지표 가중 : 이동평균에 따라 매매하기
3-14 동일 비중 : 종목별 보유 비중을 동일하게
3-15 모멘텀 가중 : 상승하는 종목 비중 늘리기
3-16 가중계수 : 제곱하여 비중 산정
3-17 가치 가중 : 내재가치가 높은 종목에 집중 투자
3-18 종목의 정태적 합성과 동태적 합성
3-19 가치 가중② : 내재가치 기준의 우량기업 선별
Chapter 4 세타투자전략
4-1 세타투자전략에 들어가며
4-2 우리의 노후에는 얼마가 필요할까?
4-3 소득 상승률과 투자 시나리오
4-4 빚투는 일리 있는 투자방법이다?
4-5 삼성전자는 구원의 방주인가?
4-6 실전 세타투자전략
Chapter 5 전략적 가치투자
5-1 전략적 가치투자에 들어가며
5-2 전략① : 동일 비중+정률투자법
5-3 전략② : 동일 비중+정률투자법+헤지거래
5-4 전략③ : 가치 가중+정률투자법
5-5 전략④ : 가치 가중+정률투자법+헤지거래
5-6 전략⑤ : 모멘텀 가중+절대모멘텀+미국 주식
5-7 전략⑥ : 가치 가중+절대모멘텀+세타투자전략
5-8 전략⑦ : 정률 7:3+코어&새틀라이트+세타투자전략
마치며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크게 베타투자전략, 알파투자전략, 세타투자전략 세 파트로 나뉜다. 우선 ‘베타투자전략’이란 시장 리스크를 방어하거나, 시장의 흐름에 따라 수익을 극대화시키는 투자방법론을 가리킨다. ‘알파투자전략’이란 같은 테마 내에서 더 우량한 기업을 선별하는, 종목 선정 방법론이다. 구판에서는 ‘가치투자전략’이라고 표현했지만, 개정판에서는 결국 가치투자전략이 주가의 첫 번째 요소(α)라 할 수 있는 개별 기업 요인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알파투자전략이라 명명했다. ‘세타투자전략’은 인생 주기에 따른 투자전략으로 구판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은 내용이다. 투자자의 생애 소득, 초기자본, 인플레이션, 노후자금, 기대수명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투자전략으로, 개인투자자라면 채용하진 않더라도 그 내용을 꼭 숙지해 둘 필요가 있는 전략이다.
_개정판 서문 중에서
주가의 움직임은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될 수 있는데, 그중에 널리 알려진 몇 가지를 소개한다. 첫째는 바로 ‘직전 주가의 움직임’이다. 여러 수치를 테스트해보며 주가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수치가 무엇인지를 탐구해본 결과 재미나게도 주가의 방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수치는 바로 ‘직전 주가의 움직임’이었다. 다시 말해 직전에 주가가 상승했으면 이번에도 주가가 상승하리라 예측할 수 있으며, 이 가능성은 기업의 실적, 경제지표 등 주가의 움직임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다른 어떤 지표에 의한 예측보다 정답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_Chapter 1 주식투자의 이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