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사/연극.희극론/연극비평
· ISBN : 9788957861677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06-08-16
목차
1. 탈근대시대의 한국연극
우리 연극 속의 자연·환경·생태
<세 자매>가 얻은 것과 잃은 것
위험사회를 경고하는 에콜로지의 연극
기술문명의 억압으로부터 진정한 자아 찾기, <밧데리>
담배 연기 속에 드러나는 마각, 젠더 이데올로기
사치스러운, 그러나 감동적인 여성주의, <셜리 발렌타인>
번안에서 창작으로, 차이무의 <평화씨!>
자유로 가는 먼 길
세기말의 이피게니아
<돐날>의 세대 감각과 탈근대 감각, 그리고 일상적 사실주의
연극에서 금기는 어떻게 다뤄지는가
영화 <왕의 남자>에 비춰본 연극 <이>
현존과 부재, 혹은 삶의 연극과 죽음의 연극
세계연극제, 어떻게 볼 것인가
성찰을 위한 연극적 고해성사
한여름을 극복하는 뮤지컬 <사랑은 비를 타고…>
봄날의 누항, 그리고 <유리동물원>
이현화의 연극세계와 <쉬-쉬-쉬-잇>
네 겹의 겹침 구조 속에 드러난 만해의 풍모
연희단 거리패의 <산너머 개똥아>
연극보다 더 연극적인 어느 망명자의 삶
극단 아리랑의 <점아점아 콩점아>에 대하여
통일염원 연극 <직녀에게>
극단 오늘의 <사랑에 관한 5개의 소묘>
2. 탈중심화시대의 지역연극
탈중심화, 지역화, 그리고 밀양연극촌에서 본 <곡예사의 첫사랑>
착오와 혼돈의 미학
탈근대적 <베니스의 상인>을 만나고 싶다
탈중심화시대의 공연예술, 그리고 총체극 <열정도시>
‘그들만의 잔치’, 그러나 알찬 수확의 연극마당
두 편의 가벼운 희극
상황의 유효성, 웃음의 항구성
이송희 레퍼터리의 <집>에 대하여
발견의 예리함, 무대화의 매끄러움
남도 연극이 선 자리, 설 자리
3. 우리 연극이 걸어온 길
한국연극사의 근대와 현대
리얼리즘 연극에 대하여
마당놀이의 의미와 역사
우리 연극잡지의 변천사
김동환의 희곡 <바지저고리>에 관하여
희생자의 연극, 혹은 대조의 서사
폭력과 성스러움-이현화론
전통으로서의 비극과 경험으로서의 비극
북한 희곡 50년, 그 경향과 특징
세기 전환기의 희곡 연구, 그 반성과 모색
실증주의에 기초한 견실한 인물 비평
이미원의 『포스트모던 시대와 한국연극』을 읽고
국제적 안목과 성실한 논평이 어우러진 비평
서연호의 『식민지시대의 친일극 연구』를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