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승려 시집

승려 시집

(제7집)

한용운 (지은이)
한강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900원 -10% 2,500원
550원
1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4,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승려 시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승려 시집 (제7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57944462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20-08-17

목차

□발간사

제1부 작고 승려 시인

한용운
당신의 편지
알 수 없어요
복종

김일엽
님에게

유엽
서시
눈은 장벽을 본다

조종현
성북춘회城北春懷
북관행北關行
장성 갈재
의상대 해돋이

장이두
목련송
산인山人

조오현
아지랑이
적멸을 위하여
파도

원광
나는 꿈이 있습니다
나는 가야지
나는 노래를 불렀다


제2부 오늘의 승려 시인

석성우
혜능 스님
무산 스님

이병석
묘한 기쁨
즐거운 하늘 되시오리다
적막 천년 후루루
봄 붙들기
벗들이 보내는 바람

윤선효
팔만대장경이 있기까지는
석굴암 대불

박진관
유마사 가는 길
유마사 부처님
한 손에 지팡이 짚고
입추 지난 유마사
유마사를 생각한다
진도 바다여 그대는 눈물로

이청화
낙화유수
좋은 날 좋은 시간
지금 여기·2
춘향의 편지
춘향의 다홍치마

현담
보름달
도둑들
모시조개
식당
저녁에


석자명
좌선
봄날 아침
선시

석성일
그 절 큰북 이야기
모과 하
콩알
사발과 장미
화개 오일장
지팡이

윤지원
만월滿月
장미

변윤
운부선함록雲浮禪啣錄
하늘

문혜관
번뇌 그리고 꽃
연등
망상

수완
금강반야바라밀경
가변차선
선탈禪脫·蟬脫
루바토
정취암 일출

로담
병원 가는 길
봄 언저리
마음 빈 하늘

남현송
그런 사람 되어지이다
사월의 노래
바다가 생긴 이유
인생 품수

임효림
연두색 잎들은
가난하게 늙은 스님을 뵙고

범상
아픈 공연
음흉한 봄날
오늘의 우리
고백할 수 없는 사랑
허망한 인생
어느 봄날

이법산
제비꽃 미소
홍매화 미소
백련화
섣달 그믐밤
금강경 오만천오백독

법우
행복

봄날

운붕
불꽃 속에 피는 꽃
정든 님
안개비
연화산

오심
고독
깨달음
발원
참회
정진

□후기

저자소개

한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79년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태어났다. 법명은 용운(龍雲), 법호는 만해(卍(萬)海)다. 어려서 서당에서 한학을 수학했고, 설악산 백담사 오세암에 수년간 머무르며 불경을 공부하면서 다양한 독서를 통해 서양 근대사상을 접했다. 이 무렵 서구 문물과 세계정세를 알아보기 위해 연해주로 건너갔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만주를 거쳐 돌아왔다. 1901년 고향에 돌아와 2년간 은신한 후 다시 집을 나와 방황하다가 1905년 백담사에서 수계를 받고 승려가 되었다. 1908년에는 일본에 건너가 도쿄, 교토 등지의 사찰을 순례하고 조동종 대학림에서 불교와 동양철학을 연구했다. 이를 계기로 1913년 당시 조선 불교의 침체와 낙후성과 은둔주의를 대담하고 통렬하게 분석, 비판한 『조선불교유신론』을 발표하여 사상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여 독립선언 준비 과정에서 최린과 더불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3년간 옥고를 치르는 동안 검사의 취조에 대한 답변서로서 세칭 「조선 독립의 서」를 집필했다. 1922년 출옥 후에는 각지를 전전하며 강연을 통해 청년들의 각성을 촉구했고, 내설악 백담사에서 은거하면서 쓴 시집 『님의 침묵』을 1926년 간행하여 문단에 큰 파문을 던졌다. 50세를 전후하여 성북동 심우장(尋牛莊)에 은거하면서 불교 청년운동 및 불교의 대중화 운동을 벌였으며 『흑풍』 『후회』 『박명』 등의 장편소설과 상당수의 한시, 시조를 남겼다. 일제의 강요로 많은 지식인이 변절했을 때에도 끝까지 민족의 지조를 지켜 창씨개명을 거부했고 학병 출정에 반대했다. 그러나 1944년 6월 29일, 그토록 그리던 조국 광복을 눈앞에 두고 중풍으로 사망했다. 유해는 화장되어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으며,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이 수여되었다.
펼치기
한용운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오늘은 비록 작은 불사이지만 강고한 의지로 묘법연화경 사경 6차에 임하는 공덕이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승려 시집』 제7집을 준비하면서 승려 시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불교문학의 길이 서산, 사명 스님들과 같은 길을 걷게 되리라 믿는다. 마음으로 깊은 뜻을 전하면서 더욱더 대승 시인의 길로 나아갈 것을 믿으면서 승려라는 이름으로 산다는 것이 참으로 행복하다.
―<발간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