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땡전 한 푼 없이 떠난 세계여행

땡전 한 푼 없이 떠난 세계여행

미하엘 비게 (지은이), 유영미 (옮긴이)
뜨인돌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1,1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땡전 한 푼 없이 떠난 세계여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땡전 한 푼 없이 떠난 세계여행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세계일주여행 > 세계일주여행 에세이
· ISBN : 9788958073321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1-06-28

책 소개

‘지금의 내 삶이 과연 내가 꿈꿔 왔던 삶일까?’, ‘나는 진정 잘살고 있는가?’ 저자는 자본주의 시스템이 만들어놓은 촘촘한 조건에 자신을 맞추며 그야말로 ‘단지 먹고살기 위해(돈을 벌기 위해)’ 애쓰고 발버둥 치는 사이 자신이 30센티미터 앞의 ‘모이’를 좇는 닭 신세가 되어 있음을 깨닫는다.

목차

프롤로그 1센트의 동전도 지참하지 않을 것! 사람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

1. 공짜 여행 필살기 / 베를린 ― 앤트워프
2. 품위 있는 승객에서 화물선 선원으로 / 앤트워프 ― 몬트리올
3. 캐나다에서 먹은 이상한 쿠키 / 몬트리올 ― 나아이가라
4. 아미시 마을에서 얻은 자전거로 오하이오를 횡단하다 / 클리블랜드 ― 오하이오
5. 공원에서 노숙자와 하룻밤 / 앨버커키
6. “인간소파, 단돈 1달러!” / 라스베이거스
7. 공항 터미널 앞에서 ‘에어 히치하이킹’에 도전 / 로스앤젤레스
8. 미국 대학생 18명과 조국의 명예를 걸고 베개싸움을 / 샌프란시스코
9. ‘거룩한’ 노스쇼어에서 빨래를? / 하와이
10. ‘닥터 행복’으로부터의 탈출 / 코스타리카 ― 파나마
11. 레알 마드리드 열성팬, 토마사 할머니 / 콜롬비아
12. “여기, 입장권 없는 사람이 있어요!” / 페루 ― 볼리비아
13. “태워 줍시다. 저 남자, 정말 아무것도 없잖아요!” / 볼리비아
14. ‘골 빈 놈’과 ‘얼굴 없는 놈’ / 칠레
15. ‘신용카드, 신용카드, 신용카드!’ / 부에노스아이레스 ― 티에라 델 푸에고
16. “빌어먹을 남극 같으니라고!” / 남극

역자후기 돈이 없었기에 가능했던 일만 가지 경험들

저자소개

미하엘 비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6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런던에서 영화학을 공부했고, 2002년에 비바플러스(VIVAPlus) 방송의 런던 콜링(London Calling) 진행을 시작으로 비바(VIVA), ARD, GEO, 도이체 벨레(Deutsche Welle) 등에서 프리랜서 방송 리포터로 활동하며 열정적으로 세계 곳곳의 소식을 전하고 있다. 베를린에 거점을 두고 여러 지역을 오가며 살고 있고, 흥미롭고 독특한 콘셉트의 다큐멘터리로 여러 차례 방송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유영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독문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부분과 전체》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무자비한 알고리즘》 《제정신이라는 착각》 《가문비나무의 노래》 《바이올린과 순례자》 《인간은 유전자를 어떻게 조종할 수 있을까?》 《우리에겐 과학이 필요하다》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우리 말로 옮겼다. 2001년 《스파게티에서 발견한 수학의 세계》로 과학기술부 인증 우수과학도서 번역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유영미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무모하다 못해 황당하기까지 한 내 목표는 다섯 달 동안 땡전 한 푼 없이 세상을 여행하고 남극까지 다녀오는 것이었다. 장장 3만 5,000킬로미터에 이르는 길을 따라 세상의 끄트머리에 도달할 계획이었다. 그렇다. 세상 끝! 나는 그곳에 가고 싶었다.
이 불가능해 보이는 여행을 머릿속에 처음 떠올린 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달리던 나이인 서른세 살 생일이 보름 남짓 앞으로 다가온 2009년 5월의 어느 날이었다. 그날은 사실 여느 날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 지극히 평범한 하루였다. 날씨는 화창했고, 바람이 약간 불었지만 평온하고 조용한 날이었다. 한데 바로 그날, 내 머릿속에서는 요란하게 천둥번개가 치고 가슴속에서는 부글부글 용암이 들끓고 있었다. 왜 그랬을까.

닭이 처음부터 닭은 아니었다. 닭은 30센티미터 앞의 모이만 좇으며 살지도 않았다.
지금 닭의 모습을 하고 있는 녀석은 본래 ??매??로 태어났다. 3킬로미터 밖에서 뛰어다니는 토끼와 들쥐를 볼 줄 알았 고, 전광석화처럼 날아서 놈들을 낚아챌 수도 있었다.
녀석은 자기가 알지 못하는 사이, 서서히 닭으로 변해 가고 있었다. 창공을 가르던 힘찬 날갯짓은 가련한 퍼덕거림으 로 바뀌고, 3킬로미터 밖의 작은 동물도 선명히 볼 줄 알던 매의 눈은 고작 30센티미터 앞의 모이에 혈안이 된 닭의 눈으로 변해 버렸다.
…….

그날 어떤 힘에 이끌리듯 일기장에 휘갈겨 적은 글의 일부다. ‘그래, 나는 본래 ‘닭’이 아니라 ‘매’로 태어났다. 나는 하늘 높이 힘차게 날 수도 있고, 아주 멀리 볼 수 있는 시력도 갖고 있다. 이제, 더 이상 나의 본성과 정체성을 외면하며 30센티미터 앞의 모이에 연연하는 초라한 닭으로 살지는 말자!’
수중에 돈이 없으면 10킬로미터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우리……. 나는 지금까지 아무도 시도해 보지 않은 불가능한 일을 해보고 싶었다. 내가 가진 한계에 도전해 보고 싶었다. 그리고 나를 끊임없이 구속하고 옭아매는 ‘돈’과 ‘시간’에 제대로 한번 맞짱을 떠 보고 싶었다. ‘그래, 땡전 한 푼 없이 세계여행을 떠나자! 그리고 세상의 끝 남극에까지 가 보자!’ 결심이 서는 순간, 나는 일사천리로 일기장에 이렇게 적어 내려갔다.

150일 동안 3만 5,000킬로미터에 이르는 길을 따라 4개 대륙, 10개 이상의 나라를 땡전 한 푼 없이 여행하고 세상의 끝 남극까지 밟을 것. 단, 배낭 무게를 최소화하고 1센트의 동전도 지참하지 않을 것. 순간순간 부닥치는 문제들에 적 극적으로 대응하되 반드시 사람을 통해 해결할 것. 사람을 통해 해결하되 절대로 민폐를 끼치지 않을 것.

무모한 나의 여행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 프롤로그 중에서


하디에게 여행 첫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뱃속을 뒤흔드는 꼬르륵 소리가 자꾸만 내 목소리를 압도해 버렸다. 아, 참을 수 없는 배고픔의 고통이여! 여행은 배움을 선사하지만 사람을 배고프게 만든다. 내가 예고 없이 들이닥친 탓인지 하디네 냉장고에는 먹을 게 거의 없었다. 이 시간에 어디에 가서 민생고를 해결한담? 물론 쾰른에도 밤늦게까지 문을 여는 슈퍼마켓이 있었다. 돈을 내고 사 오면 간단하겠지만 나를 친절하게 맞아 주며 잠자리까지 제공해 준 하디에게 경제적 부담까지 떠안기고 싶진 않았다.
이왕 이렇게 되었으니 덤스터 다이빙(Dumpster Diving, 쓰레기 뒤지기)이나 해볼까? 덤스터 다이빙은 미국에서 시작되어 독일로 건너온 트렌드로, 슈퍼마켓의 대형 쓰레기 컨테이너에서 유효기간이 지났거나 더 이상 신선해 보이지 않아 폐기 처리된 식료품을 뒤지는 것을 말한다. 나는 지하철(S-Bahn)을 타고 시내로 나갔다. 지하철 역시 무료로 승차했지만 불법 승차는 아니었다. 독일의 여러 도시들처럼 쾰른도 다른 사람의 월 정액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 무료 승차는 시내 대부분의 상점이 문을 닫는 오후 일곱 시 이후에나 가능했다. 내가 계획한 ‘쇼핑’에 안성맞춤인 시간이었다.
나는 쾰른에서도 덤스터 다이빙이 가능한지 시험해보기 위해 슈타트 가르텐(공원) 근처에 있는 대형 슈퍼마켓으로 향했다. 손전등을 들고 도둑처럼 살금살금 건물을 돌아 슈퍼마켓 뒤뜰의 닫힌 문 앞에 서자 커다란 쓰레기 컨테이너가 눈에 들어왔다. 배에서 밥 달라고 애원하는 소리가 요란한 마당에 2미터 높이의 장애물쯤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나는 잽싸게 쓰레기 컨테이너를 기어올랐다. 그리고 첫 번째 컨테이너를 손전등으로 비추는 순간 그만 소스라치게 놀라고 말았다. 나보다 먼저 먹을거리를 뒤지고 있는 한 남자가 보였기 때문이다. 그 남자가 소리를 질렀다.
“이봐요, 줄을 서요!”
페터라는 이름의 그 청년은 쾰른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고 있는데, 몇 년 전부터 덤스터 다이빙으로 먹을거리를 해결해 왔다고 했다. 그런데 그게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소비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거부의 차원에서란다. 페터는 공짜라는 의미의 ‘free’에 채식주의라는 뜻의 ‘Veganism’이 합쳐져 ‘프리거니즘’(Freeganism, 음식물 쓰레기에서 얻은 채소 따위의 음식을 먹는 등의 방식으로 소비 지향 자본주의, 물질만능주의, 세계화에 반대하고 환경 정의를 실천하는 운동)이라는 용어가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쾰른에는 프리건족(프리거니즘을 실천하는 사람들) 모임이 있고, 그들은 이따금 정기적으로 만나 함께 식사를 한다고 했다.
“식비를 이렇게 충당하면 생활비는 얼마나 들어요?”
무전여행에 도전한 사람다운 질문이었다. 페터는 생활비가 월 200유로 정도 드는데 주로 보험료에 지출하고, 먹을거리는 쓰레기 컨테이너에서 해결하며, 잠자리는 캠핑카를 이용한다고 했다. 자신의 배낭을 가득 채우고 난 뒤 페터는 컨테이너를 내게 넘겨주었다. 내가 배낭에 요구르트, 소시지, 빵, 치즈, 우유, 젤리를 담는 동안 그는 다른 나라와 달리 독일에서는 덤스터 다이빙이 불법이라고 알려주었다.
“독일에서는 쓰레기조차 주인이 있어요. 그러니 지금 우리가 하는 일은 법적으로 엄연한 절도 행위죠.”
몇 년 전, 퀼른에서 어떤 여자가 슈퍼마켓 쓰레기통에서 요구르트를 꺼내 갔다는 죄목으로 사회봉사 명령을 받은 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그날 페터와 나는 억세게 운이 좋았다. 발각되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노획물도 꽤나 짭짤했던 것이다. 내가 비닐봉지 두 개에 먹을 것을 가득 들고 나타나자 하디는 놀라서 눈이 휘둥그레졌다.

― 본문 중에서


볼리비아 사람들은 콜롬비아 사람들과 달리 폐쇄적이고 냉랭해 보였다. 허기진 상태에서 불안감까지 겹치자 배에 통증이 느껴졌다. 다행히 콜라와 씹는 코카 잎 한 봉지가 배고픈 느낌을 약간 줄여 주었다. 나는 거의 패닉 상태가 되었다. 여기서 무전여행 실험을 중단해야 하는 걸까? 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신용카드를 갖고 있었다. 여행을 하다가 만에 하나 굶어죽는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르는 일이 아닌가. 하지만 한 번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내 무전여행 프로젝트는 그것으로 끝장이 나고 만다. 무전여행을 하다가 굶어죽는 일이 발생해서도 안 되지만, 이마한 어려움에 내 일생일대의 프로젝트를 포기할 수는 없었다. 나는 배낭에서 일기장을 꺼내 이렇게 적었다. ‘그래,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자! 나는 불가능한 일을 시도해 보고 싶었고, 나의 한계에 도전해 보고 싶었다. 무전여행을 떠난 이후 지금까지 순간순간 어려움이 많았지만 그때마다 잘 이겨냈고 더디지만 여기까지 왔다. 지금까지 나는 잘해 왔고 앞으로도 잘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조금만 더 견디면 된다.’ 이렇게 마음속에 있는 생각을 일기장에 적자 조금은 용기가 솟는 것도 같았다.
날이 이미 어두워진 상태에서 더 이상 시내를 방황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었다. 나는 차라리 페루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다. 허기로 쓰러질 지경이었지만 내 프로젝트를 신용카드로 마감할 수는 없었기에 페루를 마지막 출구로 삼은 것이다. 나는 터미널의 매표소를 돌며 무일푼으로 세상의 끝까지 여행을 하는 사람이라고 자기소개한 뒤 볼리비아는 이런 나의 프로젝트에 맞지 않는 곳 같다고 이야기했다. 처음 말을 건 두 직원은 내 말에 고개를 끄덕였지만 티켓을 내주지는 않았다. 세 번째로 물어본 매표소 아가씨 역시 처음에는 거절했다. 내가 쉽게 포기하지 않고 서른 시간 동안 아무것도 먹지 못했다고 말하자 더 안쪽에 앉아 있던 남자 직원이 나를 보더니 “태워 줍시다. 저 남자, 정말 아무것도 없잖아요!”라고 말했다. 이것은 볼리비아에서의 가장 큰 소득이었다.
버스는 이른 아침에 출발할 예정이었고 나는 라파스 터미널의 나무의자에서 잠을 잤다. 잤다기보다는 비몽사몽간에 잠깐씩 졸았다는 말이 맞을 것이다. 나는 너무 지치고 힘들어서 깊은 우울감에 빠져버렸다. 이상하게도 더 이상 배는 고프지 않았다. 어쩌면 내 위가 비상 가동체제로 전환되었기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