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하묵수

자하묵수

신위 (지은이), 신일권 (옮긴이)
다운샘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하묵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하묵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58172444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1-03-30

목차

ㆍ머리말

■ 해제
1. 서지적 특징
2.『자하묵수紫霞墨藪』의 인장들
3.『자하묵수紫霞墨藪』의 시세계에 대하여

■『자하묵수紫霞墨藪』역주
1. 次韻答朴星伯述懷見寄之什
2. 次韻答錦령寄贈十四絶句
3. 拜蘇之日馳書錦령訂期不至追用四絶句見奇極佳是亦배蘇也何必合席卽次原韻爲謝異日此詩編入佳集中足爲一段江湖韻事弟四絶專致此意
4. 錦령訪余霞山余已移次蓉湖半途而還有詩四首翌日再訪湖上出以相示故次韻爲答
5. 가鵝관鶴창추之屬규雲嘯月與山中所聽禽音頓然殊響爲賦二詩
6. 七月二十五日錦령以靑堂一葉紅豆四粒充信有書云靑棠取合歡紅豆奇相思也答以一詩
7. 次韻謝答錦령
8. 錦령近作賓興之行故用前韻爲祝
9. 以政注之不循格被大僚論罷不旬日特除諫長猥陳自引之章卽承온批翌日旋蒙遞解恭紀恩遇
10. 十二月十二日雪禁用雪고絮梅等字

■ 부록 1
■ 부록 2

■ 原典 影印 원전 영인

저자소개

신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위의 시조는 장절공(壯節公) 평산(平山) 신숭겸(申崇謙, 877∼927)이며, 가계는 14세(世) 문희공(文僖公) 신개(申?, 1374∼1446)를 중시조로 하는 문희공파다. 신개는 태조 2년(1393) 식년문과에 급제, 세종 29년(1447) 좌의정에 이르렀다. 이후 서울의 귀족으로 누대에 걸쳐 학자·문인·예술가·장군 등이 배출되었다. 부 신대승(申大升, 1731∼1795) 역시 영조 38년(1762) 진사 급제에 이어 경연시 문과에 장원하고, 영조 52년(1776) 승지, 정조 8년(1784) 가선대부의 가자(加資)를 받았고, 이어 사헌부대사헌, 성균관대사성을 역임했다. 자하의 외가는 물론 처가 역시 당대의 명문이었으며, 특히 장인 조윤형(曺允亨, 1725∼1799)의 뛰어난 서화(書?)는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자하는 이같이 가규(家規)가 드높은 경화사족의 가문에서 영조 45년(1769) 8월, 한성 장흥방에서 대승의 차남(次男)으로 출생했다. 자를 한수(漢?), 호는 홍전(?田)이라 했다가 후에 자하라 했다. 창강이 찬한 <연보>에 의하면 “그가 어려서 경기 시흥의 자하산 별야에서 수학했으므로 ‘자하’로 자호했다” 한다. 그러므로 그의 작품 속에 산견되는 남다른 가문 의식은 오히려 자연스럽기까지 하다. 그의 취학은 “9세부터 시·서·화를 익히기 시작하여 삼절의 기틀을 잡았다” 한다. 특히 시는 이건창(李建昌, 1852∼1898)의 <신자하 시초발(申紫霞詩?拔)>에 의하면 “자하의 시는 그 처음은 우리 집안 참봉군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이후 청나라에 가 옹방강을 흠모해 배우면서 비로소 스스로 유소입두를 주창했다(紫霞之詩 其始盖吾家參奉君, 其後入中國 服事翁覃溪 始自命由蘇入杜)”라 했다. 이건창이 말한 ‘오가참봉(吾家參奉)’은 곧 이광려(李匡呂, 1719∼1782)다. 그는 당시(唐詩)에 매진해 한때 시단의 거벽이었으니, 이만수(李晩秀, 1752∼1820)는 <참봉군제문(參奉君祭文)>에서 “시인으로서의 풍격을 도연명(陶淵明)에 견주었는가” 하며, “국초 3백 년의 문교를 받아서 이광려가 났다”고 극찬했다. 이처럼 그는 문(文)의 박지원과 동격으로 추앙되던 학시(學詩) 스승이었다. 따라서 자하 역시 명민한 학당파(學唐派)였다. 그러나 창강의 <연보>에 따르면 “처음엔 성당의 시를 배웠으나, 연경에 가 옹방강에게 시학을 묻고 돌아와 이전의 작품 일체를 버렸다(始學盛唐 後改學蘇東坡,悉棄前作)” 했고, 자하 스스로도 <후추류시 병서(後秋柳詩 ?序)>에서 <전추류시>를 분고(焚稿) 운운하며 아쉬워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전 ≪경수당집≫ 소재 4천여 수의 시 작품은 연경으로부터 돌아온 1812년(공 43세) 이후의 작품이란 논법이거니와, 진실로 아쉽긴 그가 이광려에게 익힌 성당시 수용 여하를 가늠해 볼 수 없음이다.
펼치기
신일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