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의 한글편지

조선의 한글편지

(편지로 꽃피운 사랑과 예술)

박정숙 (지은이)
다운샘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의 한글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의 한글편지 (편지로 꽃피운 사랑과 예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58173984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7-12-11

목차

책머리에/5
추천사/8

제1부 사대부 여성의 한글편지 - 사대부 여성들의 사랑과 번뇌/16

1. ‘살았는가 여겨도 이승에 몸만 있다’ 신천 강씨
1. 명문가에서 곱게 자란 신천 강씨ㆍ18
2. 구구절절한 사연으로 가득 메워진 신천 강씨의 편지ㆍ19
3. 살았는가 여겨도 이승에 몸만 있다ㆍ20

2. ‘여보 남들도 우리같이 서로 어여삐 여기며 사랑할까요’ 이응태 부인
1. 요절한 남편을 향한 절절한 사랑의 순애보ㆍ23
2. 이응태를 잃은 가족들의 아픔으로 채워진 편지와 유품ㆍ26
3. 이응태 부인 한글편지의 서체적 가치ㆍ27

3. 조선 최초의 한글 조리서「음식디미방」을 저술한 정부인 안동 장씨 장계향
1. 도·예·학을 겸비한 여중군자ㆍ29
2. 최초의 한글 조리서「음식디미방」ㆍ30
3. 「음식디미방」의 서체적 특징ㆍ32

4. 가문을 지키기 위해 「상언」을 올린 김만중의 따님 광산 김씨
1. 조선 시대 한글 상언류의 서예적 특징ㆍ35
2. 광산 김씨 상언의 형식ㆍ37
3. 살신구가적(殺身求家的) 지교합일(智巧合一)된 필획ㆍ39

5. 남편의 패덕을 경계한 호연재 안동 김씨
1. 선원 김상용의 현손녀이자, 대사헌 동춘당 송준길의 증손 며느리ㆍ41
2. 사후에 다양한 문학적 유고 간행ㆍ42
3. 「선세언독」에 남긴, 호연재 김씨의 활달한 글씨 세계ㆍ42
4. 남편 송요화의 온유한 문신풍의 글씨 세계ㆍ45
5. 며느리 여흥 민씨의 호연재풍의 글씨 세계ㆍ45

6. 추사에게 한글서예의 품격을 물려준 기계 유씨
1. 명필 가문에서 태어나 명필을 낳은 기계 유씨ㆍ49
2. 「자손세훈」에 기록된 기계 유씨의 글씨 공부ㆍ52

7. 「규합총서」를 저술한 조선시대의 대표적 여류 지식인 빙허각 이씨
1. 조선 시대 여류 지식인의 대표 인물 빙허각 이씨ㆍ55
2. 역작 「규합총서」저술ㆍ56
3. 「규합총서」의 서예 관련 소론(小論)과 한글서체ㆍ58
4. 실사구시를 추구한 남편 서유본ㆍ62
5. 「언문지」의 저자인 외사촌 유희ㆍ62

8. 한글서예 현대화의 가교 역할을 한 사후당 윤백영
1. 덕온공주의 손녀 윤백영ㆍ65
2. 윤백영의 가계 및 생애ㆍ66
3. 궁중 봉서에 대한 해제ㆍ68
4. 왕실 유물 해제ㆍ70
5. 필사서적 보충-‘정사긔람’ 제19권ㆍ71
6. 막내 아들 내외에게 보낸 편지ㆍ 73
7. 서예작품의 서체적 특징ㆍ75

9. 궁체의 극치를 이룩한 전문직 서사 상궁 서기이씨ㆍ천일청ㆍ최장희ㆍ서희순ㆍ하상궁
1. 전문직 여성 ‘궁녀’ㆍ79
2. 궁체의 극치를 이룬 서사 상궁들의 글씨ㆍ81

10. 사도세자의 두 따님, 소설을 필사하다 청연공주ㆍ청선공주
1. 청연공주와 청선공주의 생애ㆍ91
2. 청연공주가 필사한「견한녹遣閒錄」ㆍ92
3. 청연ㆍ청선ㆍ의빈이 함께 필사한 소설「곽장양문록」ㆍ94


제2부 사대부의 한글편지 - 조선 사대부의 욕망과 가족 그리고 예술

1. 현전 자료 중 최고(最古)의 한글편지를 남긴 군관 나신걸
1. 이런 민망하고 서러운 일이 어디에 있을꼬?ㆍ104
2. 분하고 바늘 여섯을 사서 보내네ㆍ105
3. 나신걸 한글편지의 시대 및 서체적 특징ㆍ106

2. 어머니의 죽음으로 서자에서 벗어난 봉래 양사언
1. 부채 두 자루의 인연으로 서자로 태어난 양사언ㆍ109
2. 양사언의 자필 시문「서호별곡」과「미인별곡」ㆍ111
3. 시조와 가사 문학의 거장 송강 정철
1. 청절과 강개로 부침을 거듭한 송강의 생애ㆍ 116
2. 송강 집안의 글씨세계ㆍ118

4. ‘그리워 마오, 편안히 계시오’ 학봉 김성일
1. 충효와 우애를 숭상했던 학봉가의 글씨 세계ㆍ123
2. 전쟁터에서 보낸 학봉의 한글편지ㆍ125
3. 유창하면서도 간결미있게 쓴 후손 김주국의 한글편지ㆍ126

5. 남편의 도리는 군자의 도가 처음 시작되는 곳 우복 정경세
1. 당색을 멀리한 신하의 정석, 우복 정경세ㆍ131
2. 첫째 사위 노석명에게 보낸 편지ㆍ134
3. 우복 정경세가 막내딸에게 보낸 한글편지ㆍ135
4. 딸에게 보낸 진성 이씨의 애틋한 편지ㆍ136

6. 부인의 무덤 속에서 다시 살아난 사랑 소계 곽주
1. 효심과 부부애가 남다른 곽주의 생애ㆍ139
2. 실획과 허획이 조화롭게 운필된 곽주의 한글편지ㆍ142
3. 아버지 곽주의 필체를 닮은 장남·차남·삼남·사남의 편지글씨ㆍ142
4. 자유분방한 서체를 쓴 딸 자매의 편지 글씨ㆍ145

7. 조선 시어를 귀신같이 풀어낸 고산 윤선도
1. 불의와 부정에 항거하다ㆍ147
2. 고산과 해남 윤씨가의 글씨 세계ㆍ150

8. 불구부종(不拘不從)한 혼융적 한글글씨를 쓴 미수 허목
1. 문(文)을 쥐고 태어나다ㆍ157
2. 불구부종(不拘不從)한 허목의 혼융적 글씨체ㆍ158
3. 허목의「선조영언(先祖永言)」ㆍ160
4. 원시 유학의 고학풍(古學風),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로 남다ㆍ161

9. 비춘(非春)의 가족사, 인현왕후의 외조부 동춘당 송준길
1. 동춘(同春)과 상반된 비춘(非春)의 가족사ㆍ163
2. 온후한 동춘당의 한글편지ㆍ166
3. 동춘당의 며느리 배천 조씨의 한글편지 글씨ㆍ167

10. 송자(宋子)로 일컬어진 조선의 거유 우암 송시열
1. 낙향과 등용과 유배를 거듭한 우암의 생애ㆍ171
2. 소박미가 돋보이는 우암 송시열의 한글편지ㆍ173

11. 어머니에 대한 효심으로 한글편지를 남진 난은 이동표
1. 소퇴계 이동표ㆍ179
2. 효심이 낳은 이동표의 한글편지ㆍ181
3. 삼촌 이명익의 글씨 세계ㆍ184

12. 실천의 지식을 지향하여 올곧은 글씨를 쓴 창계 임영
1. 다퇴소진(多退少進)한 임영의 생애ㆍ 187
2. 임영의 외종숙이자「창선감의록」의 저자 조성기ㆍ188
3. 창계 임영의 올곧은 선비 글씨ㆍ190

13. 참치착락(參差錯落)의 멋이 어우러진 산수화가의 한글편지 진재 김윤겸
1. 조선의 메디치 가문인 안동 김씨 김창업의 서자ㆍ193
2. 참치착락(參差錯落)의 멋을 나타낸 김윤겸의 한글편지ㆍ195
3. 겸재 정선을 이은 진경산수화가 김윤겸ㆍ197

14. 서얼 출신으로 부사직까지 오른 청성 성대중
1. 서얼 출신으로 부사직까지 오른 청성 성대중ㆍ199
2. 가족에게 보낸 한글, 한문 병기식 편지ㆍ200
3. 순정한 학식과 순정한 필법ㆍ201
4. 18세기 사회상「청성잡기」ㆍ203
5. 국한문 혼용의 친필 한글가사 갑민가ㆍ204

15. 한글편지로 부부의 사랑을 모범으로 보인 추사의 부친 유당 김노경
1. 직도이행(直道以行)의 가문 경주 김씨ㆍ207
2. 부부가 주고받은 한글편지ㆍ208

16. 부인 예안이씨를 지극히 사랑한 추사 김정희
1. 아내를 잃었을 땐 방랑이 최고ㆍ215
2. 한글편지에 피어난 추사의 아내 사랑ㆍ216
3. 부인 예안 이씨 애서문(夫人禮安李氏哀逝文)ㆍ 220
4. 추사의 도망시(悼亡詩)ㆍ221

17. 거대한 규모의 역사 언해서를 한글 필사본으로 남긴 석촌 윤용구
1. 덕온공주의 양아들 윤용구의 생애ㆍ223
2. 거대한 규모의 한글 필사본과 한글편지ㆍ224
3. 조화로움을 자아내는 윤용구의 국·한 혼용 글씨ㆍ227
5. 은자 문인으로의 사군자와 산수화 세계ㆍ228
6. 경향 각지에 남긴 윤용구의 비문과 현판ㆍ230
7. 합방 후부터 운명하시기 전까지ㆍ231

18. 국·한문 혼용 조사를 쓴 심산 김창숙
1. 일경의 고문 끝에 벽옹(?翁)이 되다ㆍ234
2. 심산 김창숙 선생이 국한문 혼용으로 쓴 조사(弔辭)ㆍ235
3. 청마 유치환 선생이 쓴 국한문 혼용 조사(弔辭)ㆍ237
4. 김창숙과 유치환의 글씨 특징 비교ㆍ238
5. 심산 김창숙 선생의 만년(晩年)의 시ㆍ240


제3부 왕비의 한글편지 - 가족, 사랑, 정치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아…

1. 파란만장한 통한의 삶을 서예로 승화시킨 인목왕후
1. 선조의 총애와 파란만장한 왕후의 생애ㆍ245
2. 서예로 승화된 유폐 생활ㆍ246

2. 소설 읽기를 즐기고 한글편지를 많이 남긴 인선왕후
1. 격동의 시대, 가례 후 18년 만에 왕비가 되다ㆍ251
2. 왕후가 남긴 가족 사랑의 한글편지ㆍ253

3. 두뇌가 명석하고 기가 강하여 대신들에게도 거침없었던 명성왕후
1. 자식을 지나치게 사랑하여 물벼락 맞고 승하한 명성왕후ㆍ257
2. 명성왕후의 한글편지ㆍ259

4. 영욕(榮辱)에 얼룩져 짧은 생을 마친 인현왕후
1. 서인(西人) 가문의 부침과 인현왕후의 굴곡진 생애ㆍ265
2.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 피어난 고매한 성품ㆍ266
3. 섬세하지만 강한 필체, 인현왕후의 글씨ㆍ267

5. 「한중록」을 쓴 유려한 궁체의 달필가 헌경왕후
1. 비운의 사도세자비, 헌경왕후 홍씨ㆍ269
2. 혜경궁 홍씨의 한글편지와 작품ㆍ270

6. 수렴청정의 여 군주 정순왕후
1. 15세에 51년 연상의 영조와 혼인한 왕비ㆍ277
2. 수렴청정으로 임금의 권세를 누렸던 대왕대비ㆍ278
3. 여군주 정순왕후의 활달한 서간체ㆍ278

7. 친정 가문에 소설 필사본을 남긴 효의왕후
1. 청풍 김씨 가문에 남긴 필사본「곤전어필」ㆍ281
2. 「곤전어필」의 서예적 특징ㆍ283

8. 역대 왕후 최고의 궁체 명필 순원왕후
1. 조선조 최장기 수렴청정을 하며 세도정치를 이끈 왕비ㆍ287
2. 궁체의 백미 순원왕후의 글씨ㆍ288
3. 순원왕후의 아들과 딸ㆍ291
4. 남편 순조, 남필에 의한 한글 의궤 간행ㆍ293

9. 개성이 뚜렷한 한글편지를 쓴 비운의 국모 명성황후
1. 흥선대원군 부인 민씨의 추천으로 왕비가 되다ㆍ295
2. 시해로 비운의 짧은 생애를 마치다ㆍ296
3. 유려한 필체의 명성황후 한글편지ㆍ297
4. 고종의 행초서체 한문편지ㆍ300

10. 품격 높은 궁체의 대가, 조선시대 마지막 황제의 비 순명효황후
1. 단명으로 생을 마친 마지막 정통ㆍ303
2. 고품격의 궁체 대가 순명효황후의 글씨ㆍ305
3. 순명효황후와 시모(媤母) 명성황후의 글씨체ㆍ308
4. 남편 순종의 은사(恩師) 위관 김상덕의 글씨ㆍ310


제4부 군왕의 한글편지 - 조선 군왕의 속사정

1. 한글 실용화에 본보기를 보여준 선조
1. 방계 혈통에서 왕으로 등극한 선조ㆍ315
2. 전란의 참혹함을 겪은 임금ㆍ317
3. 한글, 양란 중에 실용화로 다시 피다ㆍ318
4. 선조의 딸 사랑, 언간으로 드러내다ㆍ321

2. 봉림대군 시절 장모에게 편지를 부친 효종
1. 북벌의 꿈을 끝내 이루지 못하고 간 효종의 생애ㆍ325
2. 조선의 명필 효종의 언간 글씨ㆍ326
3. 효종의 지극한 딸 사랑을 품고 오고 간 한글편지ㆍ327

3. 절제된 내용과 서체로 정이 듬뿍 넘치는 한글편지를 쓴 현종
1. 기근과 예송에 휘말려 요절한 현종의 생애와 업적ㆍ333
2. 정찰로 오고 간 현종의 한글편지ㆍ334
3. 절제된 내용과 서체로 딸 명안공주에게 쓴 한글편지ㆍ338

4. 엄정한 정자, 궁체 남필의 완성체 숙종
1. 절대왕권을 누린 숙종의 생애ㆍ341
2. 근엄한 바른 글씨에서 절대왕권을 보다ㆍ342

5. 글씨와 그림에 능한 명필가로, 문예 르네상스 시대를 연 영조
1. 개혁·화합·민본·애민을 추구했던 군주ㆍ349
2. 글씨와 그림에 능한 조선의 명필ㆍ350
3. 영조의 지극한 딸 사랑ㆍ353

6. 어찰 정치의 군주로, 전 생애를 걸쳐 한글편지를 남긴 정조
1. ‘홍재·탕탕평평실·만천명월주인옹’의 임금ㆍ355
2. 정조 임금이 남긴 한문편지ㆍ356
3. 정조의 순정한 한글 글씨ㆍ357

7. 미완의 개혁가, 한글 문집을 남긴 효명세자(익종)
1. 개혁과 변화를 꿈꾸었던 효명세자ㆍ365
2. 다방면의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던 효명세자ㆍ367
3. 누이를 위해 언해한 한글「학석집」ㆍ368
4. 누이와의 우애로 탄생된「익종간첩」ㆍ369

8. 부침(浮沈)을 거듭한 격정적 삶을 서화로 승화시킨 대원군 이하응
1. 부침을 거듭한 격정적 삶ㆍ375
2. 며느리 명성황후에게 보낸 한글편지ㆍ376
3. 필단의련의 비학풍 한문 글씨ㆍ379
4. 개성적 구도법을 구축한 이하응의 묵란화ㆍ380


도판목록ㆍ384
판독원문ㆍ390
참고문헌ㆍ406
찾아보기ㆍ418

저자소개

박정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학을 전공하고 문화고등학교 한문교사로 재직했으며, 평생 한글서예에 매진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동양미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경기대, 경인교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조선의 한글편지』 공저 『영남서예의 재조명』 『미술교육의 기초』 『한국서예사』 『추사 가문 글씨의 위상』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