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태교신기대전

태교신기대전

이사주당 (지은이), 유희, 이순금
다운샘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2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태교신기대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태교신기대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58174349
· 쪽수 : 311쪽
· 출판일 : 2018-09-10

목차

추천사
머리말
해제

제1장 只言敎字 지언교자
제1절 人生氣質之由 사람 기질의 유래
제2절 胎敎爲本 師敎爲末 태교가 기본本이고 스승의 가르침은 끝末이다
제3절 胎敎之道 其責專在於父 태교의 책임은 아버지에게 있다
제4절 胎敎之責 專在於女 태교의 책임은 어머니에게도 있다
제5절 長之後責在於師 성장한 후에는 스승에게 책임이 있다
제6절 子有才知然後專責之師 자식에게 재능이 있어야 스승의 책임을 논할 수 있다

제2장 只言胎字 지언태자
제1절 物之性 由於胎時之養 사물의 성질은 배태(胚胎) 되었을 때 기름[養]에 의한다
제2절 以見人之性 由於胎時之養 사람의 기질은 잉태 시의 기름[養]에 달려 있다

제3장 備論胎敎 비론태교
제1절 古人有胎敎而其子賢 선인들은 태교를 행하여 현명한 자식을 얻었다
제2절 今人無胎敎 而其子不肖 요즘 사람들은 태교를 하지 않아 불효자를 낳는다
제3절 以人而不可無胎敎 태교는 반드시 필요하다

제4장 胎敎之法 태교지법
제1절 擧胎敎之大段 태교는 온 집안이 해야한다
제2절 胎敎之法 他人待護爲先 임신부를 항상 보호해야 한다
제3절 自正其心 自先謹目見 임신부는 마음을 바르게 하기 위하여 보는 것을 삼간다
제4절 旣謹目見 耳聞次之 임신부는 보고 듣는 것에도 삼감이 있어야 한다
제5절 視聽旣正然後心正 임신부는 보고 듣는 것을 바르게 한 연후에 마음이 바르게 된다
제6절 心正則正言 임신부는 마음과 말을 바르게 해야한다
제7절 外養則居處爲先 임신부는 거처를 조심해야 한다
제8절 居養亦不得全無事爲 임신부가 가정에서 할 일
제9절 事爲不可常 故次之以坐 임신부의 앉고 움직일 때 하지 말아야 할 것
제10절 人不可以常坐 故次之以行 임신부가 앉거나 서 있을 때의 행동
제11절 行立之久 必有寢臥 임신부가 잠잘 때 주의사항
제12절 寢起必食 食最重 故在後 임신부가 먹을 때 주의사항
제13절 胎敎止於産 故以産終焉 임신부가 출산 시 주의사항
제14절 此節言 胎敎總結 태교법의 총결

제5장 雜論胎敎 잡론태교
제1절 胎敎之要 태교를 위한 어머니의 자세
제2절 難之而 使自求 스스로 태교의 이치를 깨우치게 하다
제3절 承上言求則得之 계속해서 행하면 얻으리라

제6장 極言不行胎敎之害 극언불행태교지해
極言不行胎敎之害 태교를 행하지 않았을 경우의 해로움을 경계하다

제7장 戒人之以媚神拘忌爲有益於胎 계인지이미신구기위유익어태
제1절 戒惑邪術 임신부는 사술에 마음이 혹해지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제2절 戒存邪心 임신부는 사사로운 마음을 경계해야 한다

제8장 雜引以證胎敎之理申明第二章之意 잡인이증태교지리신명제이장지의
제1절 養胎之所當然 태아를 잘 길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제2절 養胎之所己然又歎其不行 태교를 행하지 아니함을 탄식하다

제9장 引古人已行之事 인고인이행지사
引古人已行之事以實一篇之旨 옛 사람들은 태교를 충실히 행하였다

제10장 推言胎敎之本 추언태교지본
乃責丈夫 使婚人因而贊之 태교의 본을 거듭 강조하다

태교신기 주제 서예작품 / 이순금 作

<우철>

胎敎新記大全 筆寫本 / 이순금 書
胎敎新記大全 影印本 / 국립중앙도서관본

저자소개

이사주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주 출생. 본명 미상. 당호는 희현당(希賢堂), 사주당(師朱堂). 시집가기 전부터 유학에 조예가 깊어 주변에 널리 알려져 있었고 시집간 뒤에도 남편인 유한규와 경전(經典)을 토론하고, 시를 주고받으며 학문 활동을 계속하였다. 최초의 태교서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지어 아들 유희에게 전했고 유희가 여기에 음의/주석/언해를 덧붙여 한 권의 책으로 묶은 것이 『태교신기 단(胎敎新記單)』으로 출간되어 지금에 전하고 있다.
펼치기
유희 ()    정보 더보기
본관은 진주(晉州). 초명은 경(儆). 호는 서파(西陂)·방편자(方便子)·남악(南嶽).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저술한 이사주당(李師朱堂)의 아들. 일찍이 경학에 잠심하여 성리학을 주로 하고, 춘추대의(春秋大義)를 본으로 삼아 경서의 주석에 전념하였다. 유저(遺著)로 방대한 『문통(文通)』 100권이 초고로 전해 왔고, 그중 44책 69권이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특히 따로 전하는 『시물명고』·『물명유고』·『언문지(諺文志)』 등은 국어학사의 중요한 자료로 다루어진다.
펼치기
이순금 ()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