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58200338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05-05-30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추천사
들어가며
제1부 | 문명과 안전
1. 안전학이라는 미지의 바다
2. 문명 이데올로기
3.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
제2부 | 사회와 안전
4. 불필요한 위험
5. 안전 개념의 기초 만들기
6. 안전은 개인의 권리
7. 사회의 안전
제3부 | 의료와 안전
8. 의료 사고의 발단
9. 의약품 오용의 구조
10. '안전'과 '위험'
제4부 | 학문으로서의 안전학
11. '과학'과 '가치'
12. 안전공학과 안전학
13. 다양한 해답을 찾아서
14. 안전학이 가야 할 길 - 근대과학을 넘어서
글을 마치며
책속에서
진정한 가치의 갈등은 세대간에 일어난다. 환경 문제의 특성은 '공해' 문제와 달리 현재 '안전'이 침해되거나 위협받는 사람들이 눈에 띄지는 않는다. 최근 급격하게 부상한 내분비 교란물질만 해도, 이것이 남성의 생식 능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밝혀져 심리적 불안을 느끼기는 한다(그래서 '안전' 문제라는 해석이 충분히 가능하지만). 하지만 이것 때문에, 직접적으로 '안전'을 침해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물며 온난화나 프레온 가스에 의한 오존층 파괴 때문에 현재 '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더욱 적다. 자외선 증가가 피부암 환자를 증가시킨다든가, 지구 온난화 때문에 홍수가 자주 나는 것도 그 인과 관계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 환경 문제가 중시되는 이유는, 후손들의 '안전'이 현저히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얼굴도 모르는 후손들의 '안전'보다도, 지금 우리의 '안전' 쪽이 선결 과제라는 주장도 팽팽히 맞서고 있다. 실제로 그런 주장에 걸맞는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현재 다수이다. - 본문 19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