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교양심리학
· ISBN : 9788958281207
· 쪽수 : 295쪽
· 출판일 : 2006-03-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사람의 마음에는 이런 면도 있다
저능아도 정상아가 될 수 있다 | 붐비는 거리에서 정신 건강을 얻는다 | 효과적인 스포츠 훈련법 | 보기 좋은 떡 | 정말 사후 세계를 본 것일까 | 청개구리의 자기 변명 | 아물아물한 기억을 떠올리는 방법 | 격전지에서도 이런 사람은 살아남는다 | 편식과 범죄의 관계 | 심리학적 호신술 | 왜 배가 고프면 화가 날까 | 왜 누드 붐인가 | 왜 벗은 몸은 성욕을 줄이는가 | 왜 건강 붐인가 | 슬픈 일을 회상하면 혈압이 낮아진다
생활 속의 심리학 1 - 이런 사람은 이렇게 다루어라
생활 속의 심리학 2 - 왜 이런 것들이 붐인가
2장 몸짓에 숨겨진 사랑의 심리
눈동자에 비치는 마음 | 손안에 감춰진 사랑 | 목은 언어 전달의 디딤돌 | 귀는 마음의 나침반 | 포옹과 팔짱에 숨은 뜻 | 어깨에 놓인 손은 진실을 말한다 | 코는 마음의 넓이를 나타내는 표징 | 볼은 사랑의 거울 | 발끝에 묻어나는 마음 | 부부 금실은 발주무르기에서부터 | 체온을 느끼며 걷는 연인들의 걸음걸이 | 회의 분위기를 살리는 몸짓 | 상상의 부탁을 부드럽게 거절하는 몸짓 | 사랑의 몸짓에 담긴 선물 | 식탁 커뮤니케이션
생활 속의 심리학 3 - 몸짓에서 보는 고객의 심리
생활 속의 심리학 4 - 젊어지는 비결
3장 여자의 마음을 읽는다
어리광 부릴 수 없는 여성 | 남자를 힘들게 하는 여성 | 애매모호한 태도를 보이는 여성 | 이성 관계가 화려한 여성 | 나르시시즘에 빠진 여성 | 건전한 여성 | 미니스커트와 팬티스타킹 | 임신과 출산의 심리학 | 여성과 모피
생활 속의 심리학 5 - 어투에서 엿볼 수 있는 여성의 심리
생활 속의 심리학 6 - 여성의 속셈
4장 남자의 마음을 읽는다
자신을 사랑하는 남성 | 무한정 미루기만 하는 남성 | 반항과 대항을 통해 존재 의미를 찾는 남성 | 끊임없이 바꾸는 남성 | 캡슐 인간 | 편집형과 분열형 | 과잉 적응형 | 소진 증후군과 상승정지 증후군 | 파랑새 증후군 | 남성은 무엇으로 사는가 | 왜 수퍼맨은 아직도 인기가 있는가
생활 속의 심리학 7 - 어투에서 엿볼 수 있는 남성의 심리
생활 속의 심리학 8 - 남성의 속셈
5장 왜 이런 마음을 가지는가
자존심을 상하게 하면 격분하는 이유 | 허영심이 없으면 발전도 없다 | 필요한 거짓말도 있다 | 고백의 진짜 이유 | 왜 비밀은 간직해야 하는가 | 모험을 감행해야 하는 이유 | 왜 호기심은 호기심을 낳는가 | 영원히 충족될 수 없는 새것에 대한 욕구 | 왜 과거는 그리움을 안겨 주는가
생활 속의 심리학 9 - 샐러리맨의 경제 관념
생활 속의 심리학 10 - 선물의 심리
6장 무엇이 마음을 움직이는가
유혹의 심리 | 자학의 심리 | 타락의 심리 | 유행 심리 | 사기 심리 | 미(美)의 심리 | 소유의 심리 | 폭력의 심리
생활 속의 심리학 11 -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면서 살아가는 이유
생활 속의 심리학 12 - 현대인의 병리
7장 이런 마음으로 살아간다
완전 주의자 | 기특한 아이의 마음의 병 | 실속 없는 성장 | 차가운 의욕 | 성욕을 억압하지 마라 | 탄식의 세레나데 | 왜 자기를 괴롭히나 | 계속 애인을 바꾸는 이유 | 심리적 노예 | 오이디푸스의 교훈 | '미안합니다'의 심리적 의미 | 자기 눈의 티끌 | 행복에 이르는 길 | 필요와 허무의 격차
생활 속의 심리학 13 - 자기 자신을 확고히 세우는 방법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깨의 방향과 호감도
상대에 대한 호감은 어깨의 방향과도 관련이 있다. 남성은 아주 좋아하는 여성 앞에서는 어깨의 방향을 똑바로 하지 않고 비스듬히 한다. 반대로 여성은 마음에 들지 않는 여성에게는 어깨를 똑바로 하지 않고, 아주 좋아하는 남성에겐 어깨를 약간 움츠린다. 또 머리를 옆으로 해서 상대의 어깨에 기대는 자세도 남성과 여성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 남성은 좋아한다고 해서 상대 여성의 어깨에 머리를 기대지 않으나, 여성은 사랑하는 남성의 어깨에 머리를 기대며 친근감과 의존심을 나타낸다. - 본문 72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