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북공정 고구려사

동북공정 고구려사

권혁수, 마다정, 리다롱, 겅톄화 (지은이), 서길수 (옮긴이)
사계절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4개 15,4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북공정 고구려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북공정 고구려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88958281245
· 쪽수 : 822쪽
· 출판일 : 2006-02-27

책 소개

2003년 한국과 중국 간에 뜨겁게 논쟁이 됐던 중국의 역사서술 프로젝트 '동북공정'의 결과물이 한국에서 출간되었다. 동북공정의 대표적인 결과물 중 하나로, 중국 사학자들의 고구려사 연구 저작을 모은 책 <고대 중국고구려 역사 속론(古代 中國高句麗 歷史續論)>을 번역한 것이다. 동북공정에 대한 학술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큰 가치를 갖는 책이다.

목차

옮긴이의 해설
발간사
머리말


[이론편]

1장 고대 중국의 번속(蕃屬)
1. 번(番), 속(屬) 개념에 대하여
2. 선진(先秦) 시기의 5복제(五服制) 이론
3. 선진 시기의 "이하관"
4. 한당 시기 번속 관계의 건립과 유지

2장 고구려국의 귀속
1. 역대 왕조의 고구려 귀속에 대한 인식
2. 중국에 대한 고구려의 동일 인식
3. 고구려가 중국 강역 형성에 끼친 작용


[역사편·상]

1장 한사군 연구
1. 4군 설치 이전의 동북 변경
2. 한사군의 설치 및 변혁
3. 4군의 지위와 명망

2장 고대 중국 정권과 고구려의 상호 정책 연구
1. 한에서 당까지 각 왕조의 고구려에 대한 정책
2. 고구려의 한에서 당까지 각 왕조에 대한 정책

3장 고구려와 중원 지역의 경제 문화 교류 연구
1. 고구려와 중원 지역의 경제 교류
2. 고구려와 중원 지역의 문화 교류

4장 고구려 활동 영역의 변천 연구
1. 건국 초기의 활동 구역
2. 동한·조위(曹魏) 시기의 활동 구역
3. 양진·남북조 시기의 활동 구역
4. 수당 시기의 활동 구역

5장 고구려 문화 연구
1. 교육과 문학
2. 제사
3. 불교와 도교
4. 비석 석각
5. 벽화 예쑬
6. 음악과 춤


[역사편·하]

1장 구려(龜麗) 고찰
1. 정사에 기록된 구려
2. 구려 명칭의 출현
3. 구려국에 대해서

2장 고구려 건국시기 고찰
1. 고구려 건국 시기에 대한 몇 가지 견해
2. 고구려 건국 시기 고찰
3. 건국 전설에 나타난 한(漢)문화의 본체

3장 고구려 왕들의 재위 시기 고찰
1. 사서에 기록된 갈래
2. 고구려의 왕과 연대

4장 고구려의 국가 부흥 활동 고찰
1. 안순의 국가 부흥 활동과 실패
2. 보장의 국가 부흥 활동과 실패

5장 고구려 5부에 대한 고찰
1. 고구려 5부의 행성과 지역
2. 고구려 5부의 문화 유적 조사
3. 만발발자 유적 발굴
4. 5부의 사회생활과 경제생활


[연구편]

1장 고구려 고고 연구 평론
1. 중국의 고고 조사와 발굴
2. 중국 학자의 고고 연구
3. 외국 학자의 고고 연구

2장 중국 학자들의 고구려 귀속 연구에 대한 평가와 분석
1. 고구려 귀속 연구는 이미 고구려 역사 연구 논쟁점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2. 고구려 귀속 연구는 더 깊어져야 한다
3. 강역 이론 연구를 강화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3장 오대(五代)에서 명(明)까지의 중국 정사에서 고구려가
왕씨 고구려전, 조선전에 포함되어 쓰인 원인에 대한 분석
1. 당(唐) 이전 중국 정사에 나타난 고구려에 관한 기록
2. 오대에서 명까지의 중국 정사에서 고구려와 왕씨 고려의 관계에 대한
오기(誤記)의 변천 과정

4장 <삼국사기>와 고구려 역사 기술
1. 김부식의 생애와 사학 사상
2. <삼국사기>의 편찬과 간행
3. <삼국사기>의 체제와 내용
4. <삼국사기>의 고구려 역사 기술

5장 조선 학자 손영종의 고구려사 연구에 대한 평론
1. 손영종 교수
2. 손영종의 <고구려사> 3권에 대한 평론
3. 손영종의 새로운 저서 <고구려사의 제 문제>에 대한 평론
4. 조선 학계 고구려 연구에서 손영종이 차지하는 위치와 영향

6장 한국 학계의 고구려 연구에 대한 평론
1. 백산학회의 연혁 및 주요 학술활동
2. 백산학회의 최근 고구려사에 관한 주요 연구 성과
3. 고구려연구회의 연혁 및 주요 학술 활동
4. 고구려연구회 간행 <고구려연구> 1~11집에 수록된 주요 논문에 대한 논평


꼬리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권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생. 중국 조선족인 그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문학 박사를 취득했다. 2006년 현재 동북사범대학 역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세기의 대심판(世紀大審判)>, <19세기말 한중관계사 연구(十九世紀末韓中關係史硏究)>, <당대 한국 인문사회과학(當代韓國人文社會科學)>(공저), <고대 중국 고구려 역사 총론(古代中國高句麗歷史總論)>(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마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생. 2006년 현재 중국사회과학원 학술위원회 위원이며, 중국 변강사지연구중심 연구원이자 박사과정 지도교수이다. 지은 책으로 <변강과 민족―역사의 단면에 대한 연구와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리다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생. 2006년 현재 중국 변강사지연구중심 편집부에서 일하고 있다. 주로 한당(漢唐) 변강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저서로는 <양한 시기의 변경 정책과 변경 관리(兩漢時期的邊政與邊吏)>, <당조와 변강 민족 사신의 왕래 연구(唐朝和邊疆民族使者往來硏究)>, <고대 중국 고구려 역사 총론(古代中國高句麗歷史總論)>(공저)이 있다.
펼치기
겅톄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생. 2006년 현재 통화사범학원 고구려연구소 부소장 겸 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광개토대왕비 신고(好太王碑新考)>, <중국 고구려사(中國高句麗史)>, <고구려 사적 회요(高句麗史籍匯要)>(공저), <고구려 와당 연구(高句麗瓦當硏究)>(공저), <광개토대왕비―1580년 제(好太王碑―一千五百八十年祭)>가 있다.
펼치기
서길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서경대학교에서 30년 넘게 경제사를 강의하고, ‘고구리(高句麗)연구회’를 창립하여 고구리사 연구에 힘썼으며, 세계에스페란토협회 임원을 맡아 140개국을 여행하였다. 『고구리 축성법 연구』,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 - 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백두산 국경 연구』, 『동북공정백서』, 『아시아의 진주 알타이』,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같은 30권의 책, 「공자의 경제사상」, 「이자사 연구」 같은 경제사 논문 22편, 「평양지역 고분벽화의 분포 현황과 보존 방향」 같은 고구리사 논문 80여 편을 썼다. 1983년 불교에 입문하여, 1990년부터 ‘늘 놓치지 않고 보는’ 공부를 하다가, 2009년 정년퇴직하자 모든 것을 내려놓고 강원도 산사에 들어가 3년간 산문을 나오지 않고 관법과 염불 수행을 했다. 2012년 하산하여 현재 ‘맑은나라불교연구소’를 세워 계속 닦아 나가며, 틈나는 대로 정토 관련 집필을 하고, 불교 강좌를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 학자들의 최대 고민은 바로 중국의 정사인 25사에 '고구려=고려'라고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송사>에서 "장흥 연간에 권지국사 왕건이 고씨 왕을 이어 왕위에 올랐다"는 구절은 중국 학자들을 가장 곤혹스럽게 하는 부분이다. 중국의 정사를 그대로 인정하면 고구려가 한국사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결국 중국 학자들은 자기 나라 정사를 부정하고 나선다. 중국 학자들은 <송사>의 착오를 그 뒤 사서들이 계속 따랐기 때문에 마치 '고구려=고려'라고 잘못 인식하게 되었고, 이어서 한국사에서 조선이 들어서면서 중국사였던 고조선(기자조선, 위만조선)도 조선의 선대인 것처럼 '자기 머리에 씌워 놓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현재를 사는 사람들에게 중국 고대 동북지역 지방정권의 연혁에 대한 인식에 여러 가지 잘못된 견해를 가져다주었다는 것이다. - 본문 (옮긴이 해설) 45쪽에서


고구려가 어느 국가의 강역 안에서 건립되었는가 하는 점에 있어서, 어떤 사람은 지금의 국경선을 이용하여 나누어 구별하면서 전기는 중국 국경선 안에, 후기는 두 나라의 국토에 가로 놓여 있다거나 후기는 주로 조선에 있었다고 하였다. (...) 이것은 역사상 오랜 시간 동안의 국경선의 변화 및 역사, 오늘날의 국경선 등의 상황을 종합하여 확정한 것이다. 이처럼 전통 강역 내에서 복속되었을 때는 지방 자치 정권에 속하고 반역하였을 때는 지방 할거 정권에 속한다. 전통 국경선 밖에서 신하로 복종하였을 때는 우리나라의 이민(移民) 정권에 속하며 반역했을 경우에는 독립 국가에 속한다. - 본문 633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