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고전에서배운다
· ISBN : 9788958620754
· 쪽수 : 743쪽
· 출판일 : 2005-12-05
책 소개
목차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를 펴내며
<동양 - 문학편>을 펴내며
Ⅰ. 최고의 문학 고전들
01 상상력의 보물창고 - <산해경> / 정재서
02 시와 정치의 교과서 - <시경> / 심경호
03 지극한 슬픔의 환상적 승화 - 굴원의 <초사> / 송정화
Ⅱ. 불멸의 시인들
01 시로써 이룩한 고야한 인생철학 - 도연명의 시 / 김창환
02 천진, 낭만 그리고 해방의 시 정신 - 이백의 시 / 신하윤
03 자연의 품속에서 심신의 안녕과 해탈을 꿈꾸며 - 왕유의 시 / 박삼수
04 역경 속의 고귀한 삶의 자세 - 두보의 시 / 이지운
05 세속의 운명과 그 달관의 노래 - <백거이집> / 유병례
06 호방한 작풍, 거침없는 필치 - <소동파전집> / 류종목
Ⅲ. 세상을 놀라게 한 여섯 권의 책
01 동아시아 최고의 베스트 셀러 - 나관중의 <삼국지> / 유중하
02 협객과 호걸들의 정의로운 삶 - 시내암의 <수호전> / 송진영
03 '참나'를 찾아 떠나는 끝없는 여정 - 오승은의 <서유기> / 정재서
04 야하지 않은 사랑 이야기 - 소소생의 <금병매> / 강태권
05 웃음 뒤에 숨겨진 지식인의 아픈 역사 - 오경재의 <유림외사> / 김효민
06 가없는 사랑의 세계 - 조설근의 <홍루몽> / 최용철
Ⅳ. 역대의 명작 소설들
01 내 마음 속의 전설처럼 - 간보의 <수신기> / 장정해
02 촌철살인의 붓끝에서 핀 꽃송이 - 유의경의 <세설신어> / 김장환
03 고대 소설의 집대성 - <태평광기> / 김장환
04 운명의 수레바퀴 속에서 - 구우의 <전등신화> / 상기숙
05 꿈과 진실의 파노라마 - 포송령의 <요재지이> / 김혜경
06 거울 속의 꽃, 물 속의 달 - 이여진의 <경화연> / 정영호
07 세기말 관료의 천태만상 - 이보가의 <관장현형기> / 위행복
Ⅴ. 시대를 넘어 다시 보아야 할 책들
01 우리 여성의 기원 - 유향의 <열녀전> / 이숙인
02 세상의 시인을 논하다 - 종영의 <시품> / 오태석
03 마음과 언어의 예술적 만남 - 유협의 <문심조룡> / 김민나
04 바르고 참된 산문 정신 - 한유의 <창려선생집> / 이세동
05 살아 한 이불, 죽어 한 무덤 - 왕실보의 <서상기> / 양희석
Ⅵ. 현대의 문학 고전들
01 중국인의 일그러진 자화상 - 루쉰의 <아Q정전> / 서광덕
02 1930년 상하이의 밤과 낮, 돈과 사람 - 마오둔의 <자야> / 김하림
03 인간에서 짐승으로 - 라오서의 <낙타 시앙쯔> / 이욱연
04 혁명을 꿈꾸는 휴머니스트 - 바진의 <가> / 박난영
05 삶의 진정성에 대한 성찰 - 왕명의 <변신인형> / 전형준
Ⅶ. 일본의 문학 고전들
01 고대인의 삶과 서정 - 오토모노 아카모치의 <만엽집> / 박상현
02 사랑과 운명, 그리고 구원의 서사시 - 무라사키 시키부의 <겐지이야기> / 김유천
03 무상한 세태를 사는 삶의 지혜 / 요시다 겐코의 <도연초> / 정장식
04 나의 시는 여름의 난로, 겨울의 부채와 같아라 - 마츠오 바쇼의 삶과 문학 / 김정례
05 덧없이 타오르는 생명의 불꽃 -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 유숙자
06 백년을 뛰어넘는 역사와의 교감 - 오이 겐자부로의 <만엔 원년의 풋볼> / 서은혜
리뷰
책속에서
<금병매>가 과연 어떤 작품인가에 관해서는 처음 출연하였을 때부터 의견이 분분했다. 어떤 이는 당시의 세상일을 '질책'한 작품으로, 어떤 이는 '음서(淫書)' 또는 '음사(淫史)'로 평을 하였다. 그러나 우리에게 <아큐정전>으로 잘 알려진 루쉰은 명나라 때의 소설 가운데 인간의 세태를 가장 잘 표현한 '인정소설(人情小設)'이라고 평을 하였다.
이처럼 서로 다른 평가를 받고 있는 이 작품을 우리는 단순히 '성'을 다룬 작품으로만 여기고 있다. 그것은 이 작품이 엄격한 도덕률에 매여 있었던 조신 시대에 전래되어 내용의 음란성이 비판받았고 그 때문에 드러내놓고 읽을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세월이 지나면 모든 평가가 달라지듯 최근에 이르러 이 작품에 대한 평가도 새로워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홍루몽>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홍학(紅學)'과 <금병매>만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금학(金學)'이라는 것이 최근에 활발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다. - 본문 25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