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88958624912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2-05-15
책 소개
목차
초대하는 글
셋째 마당 조선 전기 둘러보기
문학과 정치의 아리송한 경계
악장 문학의 한계와 의의-「용비어천가」
임금을 향한 충성, 임을 향한 사랑
고시조에 나타난 사대부의 절개와 기녀의 사랑-이색, 길재, 정몽주, 성삼문, 황진이 시조
자연을 바라보는 몇 가지 태도
사대부의 연시조에 나타난 자연 친화적 삶의 의미-「강호사시가」, 「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 「어부사시사」
충절의 시대, 모든 것은 임금을 향해
조선 초기의 사대부 가사-「상춘곡」, 「면앙정가」,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이루지 못할 사랑, 갈 수 없는 세계에 대한 안타까움
김시습의 《금오신화》-「만복사 저포기」, 「이생규장전」, 「용궁부연록」,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넷째 마당 조선 후기 둘러보기
세계관의 확대, 자연관의 변화
가사 작품의 변모-「선상탄」, 「누항사」, 「일동장유가」, 「용부가」
삶의 애환을 실타래 풀 듯 풀어가며, 미움과 아픔을 웃음으로 뛰어넘으며
조선 후기 시조의 변모와 사설시조의 세계
사회 모순에 대한 통찰과 새로운 세상을 향한 갈망
혀균의 「홍길동전」
꿈이어도 좋아, 삶다운 삶을 희망할 수만 있다면
김만중의 「구운몽」
문학 속에 드러나는 전쟁의 비극과 극복 의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다룬 고전 소설-「임진록」, 「최척전」, 「임경업전」
소설 속에서 더 커져 가는 민중의 자리
판소리계 소설과 우화 소설-「춘향전」, 「흥부전」, 「심청전」, 「토끼전」, 「장끼전」, 「까치전」
사랑에, 남성에, 사회에 새롭게 맞서다
새로운 지평을 연 고전 소설 속의 여인들-「운영전」, 「박씨부인전」, 「홍계월전」, 「방한림전」
현실에 대한 비판과 극복
박지원의 한문 소설과 정약용의 한시
문학이 마당으로, 거리로, 삶의 현장으로
가면극과 인형극-「봉산 탈춤」, 「꼭두각시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