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58914716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07-06-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사회복지조사 개관
제1절 과학의 개념
1. 이해의 유형
2. 과학의 2가지 논리체계
3. 현상을 탐구할 때 범하는 오류
4. 과학적 방법과 과학적 지식의 특성
제2절 조사의 기본개념과 원리
제3절 조사의 주요 단계
제4절 조사연구의 목적
제5절 분석의 단위
제6절 양적조사와 질적조사
제7절 조사에 있어 윤리적 이슈
예상문제
제2장 연구문제와 가설
제1절 개념화와 조작화
제2절 가설
제3절 연구의 이론적 틀, 분석틀, 정교화모델
1. 허위관계/표면적 관계모델
2. 매개변인모델
3. 상호작용모델: 조건변수, 조절변수
4. 경쟁적 설명모델
예상문제
제3장 연구설계(조사설계)
제1절 집단실험설계의 개요
1. 전실험설계
2. 순수실험설계
3. 유사실험설계
제2절 기타 집단실험설계의 종류
1. 솔로몬4집단설계
2. 시계열설계
제3절 종단적 설계
1. 추세연구
2. 동시집단연구/동년배집단연구
3. 패널연구
제4절 사후설계 : 상관관계설계
제5절 개입연구
예상문제
제4장 표본추출
제1절 확률표집
1. 단순무작위표짐
2. 체계표집
3. 층화표집
4. 집락표집
제2절 할당표집
제3절 표본의 규모
예상문제
제5장 측정 및 자료수집방법
제1절 척도의 종류(측정의 수준)
1. 명목척도
2. 서열척도
3. 등간척도 및 비율척도
제2절 척도개발방법의 종류
제3절 자료수집방식
1. 설문지(서베이형식)
2. 관찰
3. 기존자료분석(조직의 기록과 이차분석)
4. 종합
제4절 임상실천가에게 유용한 척도
1. 목표달성척도
2. 표적문제척도/자기지적척도
3. 전반적 향상척도
제5절 자료수집방법 선정 시 고려사항
1. 비용
2. 비밀보장
3. 반동형성
4. 타당도와 신뢰도
5. 표준화된 측정도구와 문화적 적절성
제6절 자료의 처리
예상문제
제6장 단일사례설계
제1절 측정 가능한 목표의 설정
제2절 결과측정도구의 선택
제3절 탐색적 단일사례설계
1. B설계
2. BC설계
3. 단일사례설계의 기본: AB설계
제4절 실험적 단일사례설계
1. ABAB설계
2. 중다기초선설계
3. BAB설계
제5절 단일사례설계의 유용성과 한계
제6절 분석
예상문제
제7장 분 석
제1절 기술통계
1. 집중경향치/대표값
2. 산포도
3. 분포도
4. 표준정규분포(Z-분포)
제2절 추론통계
1. 표본분포와 중심극한정리
2. 모수 및 비모수통계
3. 통계적 유의성
4. 관계의 강도와 통계적 검증력
5. 관계의 검증
6. 평균의 비교
7. 회귀분석
8. 본질적 유의성/실용적 유의성
예상문제
제8장 프로그램 평가
제1절 평가성 검증
제2절 성과평가
제3절 효율성평가
제4절 과정평가
제5절 기타 평가유형
1. 투입요소평가
2. 노력평가
3. 소비자 만족도조사
제6절 질적평가방법
예상문제
제9장 욕구조사
제1절 욕구의 정의
제2절 욕구측정방법
1. 주요 정보제공자
2. 지역사회 포럼
3. 서비스 활용비율
4. 사회적 지표
5. 지역사회(또는 목표집단) 서베이
제3절 욕구의 우선순위 결정
예상문제
제10장 집단사회사업의 평가
제1절 집단사회사업 평가조사의 개념과 목적
제2절 집단사회사업 평가조사에서 탐색되는 변수들
제3절 자료수집방법
제4절 집단사회사업 조사설계방안
1. 양적설계방법
2. 질적평가방법
제5절 분석
1. 본질적/실용적 유의성 검토
제6절 결론
예상문제
제11장 질적조사방법
제1절 질적방법의 준비
1. 조사준비
2. 연구설계
3. 조사자의 면접기술
제2절 표본선정
1. 극단적/예외적 사례표집
2. 변이극대화표집
3. 동질적 표본
4. 전형적 사례표집
5. 중요사례표집
6. 눈덩이/체인표집
7. 기준표집
8. 확인 및 예외사례표집
제3절 자료의 수집
제4절 분석
제5절 결과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제언
제6절 근거이론/현장기반이론
제7절 기타 질적조사방법
1. 민족지학적 접근
2. 현상학적 접근
3. 사례연구
예상문제
제12장 보고서 작성법
제1절 연구문제
제2절 이론적 배경
제3절 연구방법
제4절 자료분석 및 결과
제5절 토론
제13장 질적조사 연구사례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자원봉사 관리과정에 대한 이론적 틀
1. 자원봉사 업무설계
2. 자원봉사자 모집
······· 중략 ·······
7. 자원봉사자 인정과 보상
제3절 연구방법
1. 표집방법
2. 자료수집방법
제4절 분석결과
1. 자원봉사자가 활성화된 기관에 대한 분석결과
2. 자원봉사자가 활성화되지 못한 기관계 대한 분석결과
제5절 결론
제14장 실태조사 연구사례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설문내용
제4절 연구결과
1. 자원봉사자 실태조사 결과분석
2. 자원봉사관리자 조사결과
3.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관리자 결과 비교분석
제5절 결론
1. 자원봉사 관리과정에 관한 제언
2. 자원봉사정책에 관한 제언
제15장 상관관계 연구사례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이론적 배경
1. 연구의 개념적 틀
2. 연구가설
제3절 연구방법
1. 표본
2. 측정도구
3. 자료수집방법
4. 분석
제4절 연구결과
제5절 결론
제16장 실험 연구사례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이론적 배경
1. 스트레스관리에 관한 이론적 모델
2. 치매가족의 스트레스관리에 관한 선행연구
제3절 연구방법
1. 대상자 표집방법 및 절차
2. 연구설계
3. 스트레스관리훈련 프로그램
4. 측정도구
5. 자료분석방법
제4절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2. 효과성 검증
3. 사례연구결과(훈련 후 느낀 점)
제5절 결론
[부록 1] 난수표
[부록 2] t-분포표
[부록 3] 설문지의 실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