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간대학교 대학원 석사, 코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KAIST 초빙교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보사회학회 회장, 시민사회포럼 운영위원장, 미국 듀크대학교 아·태연구소 겸임교수, 프랑스 사회과학대학원(EHESS) 초빙교수, 한국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성곡학술문화상, 인촌상을 받았다.
펼치기
김재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교육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휴스턴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종이접기협회 부회장, 한국청소년문화연구원 이사장, 우리문화가꾸기회 이사장, 한국아동미술교육학회 고문, 한국어린이문화진흥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천재, 그 창조성의 비밀』 『어린이에게 예술을』 『예술이 어떻게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키는가』 『유아를 위한 예술교육』 『떼창의 심리학』 등, 역서로 『예술심리학』 『예술 창조의 심리학』 등 130여 권을 저술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한국청소년연극협회 이사, 대한음악치료학회·한국무용교육학회·한국종이문화재단·무용동작치료학회 고문이다.
펼치기
김학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大學校 文理科大學 卒業
中華民國 國立 臺灣大學 國文硏究所 卒業(碩士)
美國 프린스턴 大學에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文學博士
서울大學校 中語中文學科 敎授(1965. 12.~1999. 2.)
現 서울大學校 名譽敎授,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주요 저서
《中國文學史》, 《中國文學序說》, 《漢代詩硏究》, 《中國文學槪論》
《孔子의 生涯와 思想》, 《老子와 道家思想》, 《中國古代文學史》
《中國 古代의 歌舞戱》, 《樂府詩選》, 《漢代의 文學과 賦》
《漢代의 文人과 詩》, 《묵자, 그 생애·사상과 묵가》
《중국의 희곡과 민간연예》, 《중국의 탈놀이와 탈》
《중국의 전통연극과 희곡문물·민간연예를 찾아서》
《경극이란 어떤 연극인가?》, 《위대한 중국의 대중예술 경극》
《나와 서울대 중국어문학과 반세기》, 《둘이서 함께 그려온 그림》
《서재에 흘린 글(제1·2·3·4집)》, 《중국문학사를 위하여》
《나와 6·25사변, 그리고 반년간의 군번 없는 종군》 外 多數
역 서
《詩經》, 《大學》, 《中庸》, 《老子》, 《莊子》, 《荀子》, 《列子》, 《墨子》
《孟子》, 《古文眞寶(前集)》, 《古文眞寶(後集)》, 《元雜劇選》, 《陶淵明》
《東西洋의 사상과 종교를 찾아서》, 《徐花潭文集》, 《宋詩選》
《중국 고대시에 관한 담론》, 《효경》, 《충경》, 《노자와 도가사상》
《새로 옮긴 시경》, 《새로 옮긴 서경》, 《당시선》, 《송시선》
《명대시선》, 《청대시선》, 《도연명》, 《순자》 (上·下) 外 多數
학회 활동
• 1975~1979 韓國 中語中文學會 會長
• 1979~1983 韓國 中國學會 會長
• 1983~1987 서울대 東亞文化硏究所 所長
• 1992~ 韓國 中國戱曲硏究會 會長
펼치기
이익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립국어연구원(현 국립국어원) 원장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사장
현재: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논저: 『영동 영서의 언어 분화』, 『국어문법론』, 『방언학』, 『국어학개설』, 『국어 표기법 연구』, 『사회언어학』, 『한국의 언어』(공저), 『국어문법론 강의』(공저), 『국어 부사절의 성립』, 『한국어 문법』 외
펼치기
정재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겸 영산대학교 석좌교수.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하버드-옌칭 연구소와 일본 국제 일본문화연구센터에서 연구 생활을 했다. 계간 《상상》 《비평》 등의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중국어문학회 회장, 비교문학회 회장, 도교문화학회 회장, 인문콘텐츠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고전 《산해경》을 국내 최초로 번역하여 지식사회에 동양적 상상력의 화두를 던졌고, 이후 동양 신화와 도교 연구에 매진했다. 주요 저서로는 《불사의 신화와 사상》 《동양적인 것의 슬픔》 《사라진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 《동아시아 상상력과 민족 서사》 《산해경과 한국 문화》 등이 있다.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과 비교문학상, 우호학술상, 이화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이 책은 동양의 정신과 문화의 근원을 찾아 평생 탐구해온 저자의 노력이 빚어낸 동양 신화 해설의 결정체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 북유럽 신화, 켈트 신화 등 서양 신화를 토대로 한 이야기가 지배적인 현실 속에서 국내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동양 신화 대중교양서이며, 동양 문화의 뿌리를 밝힌 명저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비견될 풍부하고 기발한 동양적 상상력의 세계가 이 책에서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펼치기
정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에서 퇴직하고 지금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있다. 『종교학 서설』, 『한국종교문화의 전개』, 『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 『열림과 닫힘』, 『정직한 인식과 열린 상상력』, 『지성적 공간 안에서의 종교』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곽광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 안동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프로방스대학교 문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범대 불어교육과에서 교수로 봉직했다. 저서로 『문학.사랑.가난』(1978), 『바슐라르』(1995), 『가난과 사랑의 상실을 찾아서』(2002) 등이 있고, 역서로 프랑시스 잠 시선집 『새벽의 삼종에서 저녁의 삼종까지』(1975), 폴 베를렌 시선집 『예지』(1975), 츠베탕 토도로브 저 『구조시학』(1977), 가스통 바슐라르 저 『공간의 시학』(1990),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저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 1.2(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경남 통영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대 독어독문학과 졸업.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고3 때 개천예술제에서 시로 장원을 받은 이력 때문에 주변에서는 그가 장차 시인이 되리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독일문학자가 되어 한국독어독문학회장을 지냈고 공연평론가(연극, 무용)가 되어 연극학회장, 공연예술평론가협회장 노릇도 했다. 스위스 취리히대학에서 연극학 공부를 하면서 마을축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귀국 후에 몇몇 민속학자들과 더불어 향토축제협의회를 구성하고 한국 무속의 현장조사에 임하기도 했고 전공과 관계없는 굿판에서 딴전을 피우기도 했다. 그 결과 『축제와 마당극』(1986), 『축제의 정신』(1998) 등을 출간했다.
그의 평론 방향은 한국 문화의 근간에서 출발하여 현대 최첨단 지식과 사조를 도입, 전파하는 것이다. 그래서 브레히트에 경도되어 한국브레히트학회 창립 초대회장을 지냈고 통섭이론에 매력을 느껴 융복합예술, 컬래버레이션 작업에 편들며 우리 문화예술계에 천재의 출현을 갈망하고 있다.
최근 들어 퇴임한 각 대학의 명예교수들과 더불어 문화예술멘토원로회의를 주재하며 그들의 전문 지식과 교육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는 방식으로 세종문화회관, 충북대학교 박물관대학, 예술의전당 등의 교양강좌 개최에 힘을 쏟고 있다.
펼치기
김명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2000년 현재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이다.
옮긴 책으로는 <재산가.타임 머신>, <붉고 붉은 장미>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학과 졸업, 석사.박사과정 수료
풀브라이트 장학금으로 미국 워싱턴 대학교 대학원 비교문학과 수료
문학박사
전북대학, 한양대학, 이화대학 교수 역임
수필집: 참말과 거짓말 사이, 여자대학의 촌티 나는 교수, 먼 꿈 가까운 꿈, 선생님 우리 선생님
정겨운 친구들, 모래알 속의 사금처럼
평론집: 언어와 문학세계, 한국현대문학론 등
콩트집: 유리구슬
펼치기
이상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영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2013년 지금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와 이효석문학재단 이사장으로 있다.
논저로는 『조셉 콘라드 연구』, 『이효석의 삶과 문학』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젊은 예술가의 초상』과 『암흑의 핵심』, 『굴뚝청소부 예찬』 등이 있다. 『두견이와 소쩍새』, 『가을 봄 여름 없이』 같은 산문집을 펴내는 등 활발한 작품활동과 함께 야생화를 탐사하고 카메라에 담는 일에도 마음을 쏟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