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58914785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07-05-30
책 소개
목차
제1장 미술교육의 이해
1. 미술교육이란 무엇인가
1) 미술교육의 목적
2) 미술의 교육과 미술을 통한 교육
3) 미술교육의 특성과 과제
3) 미술교육학의 연구대상과 방법
2. 문화환경의 변화와 미술교육
1) 현대사회와 시각문화
2) 국가경쟁력으로서 시각문화
3) 시각문화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제2장 한국 미술교육의 흐름과 미술과 교육과정
1. 한국 미술교육의 흐름
1) 학교 미술교육 이전의 미술교육
2) 발아기(1895~1910)의 미술교육
3) 침체기(1910~1945)의 미술교육
4) 과도기(1945~1953)의 미술교육
5) 재건기(1953~1963)의 미술교육
6) 정착기(1963~1985)와 성장기의 미술교육
2. 우리나라의 미술과 교육과정
1)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제1차~제6차 교육과정)
2)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1997~2007)
3)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2007~ )
제3장 외국 미술교육의 이론과 미술과 교육과정
1. 외국 미술교육의 흐름
1) 쉴러의 미적 교육론
2) 치젝의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3) 슈타이너의 ‘교육예술’과 발도르프 학교 미술교육
4) 리드의 ‘예술을 통한 교육’
5) 로웬펠드의 미술교육론
6) 레지오 에밀리아
7) 아이스너의 미술교육론
8) DBAE
9)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0) 다문화, 다원주의, 포스트모더니즘
11) 구성주의와 미술교육
2. 외국의 미술과 교육과정
1) 미국의 미술교육 및 미술과 교육과정
2) 영국의 미술교육 및 미술과 교육과정
3) 일본의 미술교육 및 미술과 교육과정
4) 호주의 미술교육 및 미술과 교육과정
5) 캐나다의 미술교육 및 미술과 교육과정
제4장 아동과 청소년의 미술에 대한 이해
1. 아동과 청소년 미술표현 발달단계
1) 평면표현 발달단계
2) 입체표현 발달단계
3) 3차원적 표현의 발달 정도에 따른 입체표현 발달단계
4) 미적 인식능력의 발달단계
2. 미술영재교육
1) 미술영재의 특성
2) 국내외 미술영재교육의 실태
3) 미술영재교육의 방향
4) 미술영재교육의 내용 구성
제5장 미술의 구조와 미적 체험
1. 미술의 구조
1) 미술의 영역
2) 미술의 양식
3) 주제와 소재
4) 표현의 유형
5) 재료와 표현기법
2. 조형요소
1) 점·선·면
2) 형·형태
3) 색
4) 명암
5) 농담
6) 기운
7) 여백
8) 공간
9) 질감
10) 매스·양감
11) 운동
12) 빛
3. 조형원리
1) 통일과 변화
2) 비례
3) 율동
4) 균형·균제
5) 조화
6) 대비·대조
4. 미적 체험의 이해
1) 미적 체험의 개념
2) 미적 앎과 질적 사고
3) 미적 체험의 특징
4) 미적 체험과 교육적 가치
제6장 미술감상과 컨텍스트
1. 미술의 철학적 탐색
1) 자연과 모방
2) 관조와 실제
3) 깨달음과 직관
4) 형식과 미적 정서
5) 표현과 감정이입
6) 예술과 예술계
7) 상징과 기호
2. 미술감상과 비평
1) 미술감상과 비평방식
2) 미술감상과 비평방법
3) 미술감상과 비평활동
3. 미술의 시각적 언어와 컨텍스트
1) 회화
2) 조소
3) 건축
제7장 미술관 교육과 미술교육
1. 미술관 교육의 역사와 기초
1) 미학적 입장과 미술관 교육
2) 교육적 입장과 미술관 교육
3) 미술관 교육의 기초: 미술관, 관람자 그리고 교육
2. 미술관 교육의 동향
1) 우리나라 미술관 교육의 동향
2) 다른 나라 미술관 교육의 동향
3. 미술관 교육 모형과 사례
1) 미술비평 강화 모형
2) 전시와 교육 연계 모형
3) 통합활동 모형
4. 미술관 관람
1) 올바른 미술관 관람
2) 미술관 관람 지도
제8장 시각문화교육으로서 영상교육
1. 영상문화에 대한 이해
1) 현대사회의 시각문화로서 영상
2) 새로운 시각문화로서 디지털 영상
3) 디지털 영상의 특징
4) 디지털 영상시대의 미술
2. 미술교육에서 영상교육
1) 영상교육의 필요성
2) 시각문화교육으로서 영상교육
3. 시각문화교육으로서 영상교육 수업 사례
1) 연출사진 찍기
2) ‘그림판’을 활용한 포장지 디자인
3) 명작변형하기
4) 애니메이션의 원리 이해하기
제9장 미술교육에서 평가
1. 평가에 관한 논의들
1) 평가의 기능과 내용들
2) 평가에서 중재의 특성
2. 학교, 미술교육 그리고 평가
1) 지식이론과 교수·학습이론의 변화
2) 미술교육에서 평가
3) 수행평가
3. 미술교육과 평가의 쟁점과 전망
제10장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1.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개요
1) 역사적 고찰
2) 미술치료 구성 및 적용
2. 아동·청소년 미술의 치료적 의미와 역할
1) 아동화의 치료적 의미
2) 아동화 발달단계와 치료적 관계
3. 아동·청소년 그림의 상징 해석
1) 형태 상징
2) 공간 상징
3) 색 상징
4) 주제 상징
4. 아동화를 통한 그림검사
1) 그림검사의 일반적 고찰
2) 그림검사의 종류
5. 미술치료 기법
1) 평면활동
2) 입체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