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트렌드 지식 사전 6

트렌드 지식 사전 6

(최신 키워드로 보는 시사 상식)

김환표 (엮은이)
인물과사상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8,3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4,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200원 -10% 560원 9,520원 >

책 이미지

트렌드 지식 사전 6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트렌드 지식 사전 6 (최신 키워드로 보는 시사 상식)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59063840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5-12-18

책 소개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디지털.경제.사회.세계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키워드 200개를 선별해 소개해왔다.

목차

머리말 · 05

1 Culture Section
관크 · 13|놈코어 · 15|단관 극장 · 17|대행 서비스 · 19|라이트 노블 · 21|래시가드 · 23|러닝 개런티 · 25|렌터도그 · 27|문법나치 · 29|불금 경쟁 · 31|애슬레저 · 33|MSG 논쟁 · 35|음란물 저작권 · 37|음악 스트리밍 · 39|음악 스트리밍 논란 · 41|GV · 43|텐트 폴 영화 · 45|파파파치 스냅 · 47|포토밤 · 49|플래시 픽션 · 50

2 Media Section
구글 뉴스 랩 · 55|기사 엎어치기 · 57|나우디스뉴스 · 59|단독증 · 61|방송의 통신 종속 · 63|방송통신 결합상품 · 65|스냅챗 디스커버 · 67|스노폴 · 69|슬로TV · 71|슬링TV · 73|어젠다 키핑 · 75|언박싱 채널 · 77|외신 표절 · 79|유료방송 점유율 합산규제법 · 81|장성급 기자 · 83|채널 브랜드 해체 · 85|체어 저널리즘 · 87|클릭베이트 · 89|팸투어 · 91|PPV · V93

3 Digital Section
기쁨 강박 시대 · 97|데이터 중독 · 99|디지털 디스토피아 · 101|디지털 리터러시 · 103|디지털 유산 상속 · 105|모바일 검색 · 107|모바일 블라인더 · 109|분산 기억 · 111|사이버 리플리 증후군 · 113|스마트폰 보행 · 115|오버셰어 · 117|웹 콘텐츠 · 119|임시조치 · 121|TMI · 123|틴더 · 125|페이스북 실명 정책 · 127|페이스북 ‘좋아요’ · 129|프라이버시의 종말 · 131|프로파일 스쿼팅 · 133|험블브래그 · 135

4 Technology Section
기억 이식 · 139|노인용 아이패드 · 141|다크 패턴 · 143|디가우징 · 145|디지털 비서 · 147|디지털 포렌식 · 149|미어캣 · 151|버티컬 뷰잉 · 153|스냅챗 · 155|스마트워치 · 157|애플워치 · 159|와이파워 · 161|인비저블 보이프렌드 · 163|종단 간 암호화 · 165|지불자 우대정책 · 167|추천 기술 · 169|커넥티드 카 · 171|페리스코프 · 173|프로젝트 파이 · 175|PGP · 177

5 Economy Section
간편결제 · 181|9988 · 183|디즈니 유니버시티 · 185|리볼빙 · 187|문샷 싱킹 · 189|보스내핑 · 191|소득 대체율 · 193|소비 평탄화 이론 · 195|소유와 지배의 괴리 · 197|스텔스 통장 · 199|앱 베끼기 · 201|NNOB · 203|오토데스크 · 204|재분배의 역설 · 206|정체학 · 208|주문형 경제 · 210|주문형 경제 논란 · 212|태스크래빗 · 214|페이고 · 216|해외주식 직구족 · 218

6 Marketing Section
광고기반 스트리밍 · 223|광고 빅데이터 · 225|니치 마케팅 · 227|디즈니 모델 · 229|라이브 스토리 · 231|명명권 · 233|몸짱 모델 · 235|복싱 데이 · 237|브릿지 광고 · 239|애드테크 · 241|애드블록 플러스 · 243|엔터타이징 · 245|연관 진열 · 247|채팅 쇼핑 · 249|챗버타이징 · 251|트리거 광고 · 253|푸티지 광고 · 254|피지털 · 256|PPL 클리셰 · 258|헝거 마케팅 · 260

7 Medical Section
간 청소법 · 265|다인 병실 · 267|메디컬 푸어 · 269|메르스 지도 · 271|메르스 징비록 · 273|병원 쇼핑 · 275|보건·복지 분리론 · 277|비만 패러독스 · 279|비아그라 오용 · 281|사이토카인 폭풍 · 283|성병 감지 콘돔 · 285|수면 빚 · 287|애디 · 289|엘보 범프 · 291|웰 슬리핑 · 293|의료 저축제 · 295|인수공통 바이러스 · 297|죽음학 · 299|팬데믹 · 301|프랑켄슈타인 수술법 · 303

8 Global Section
그라운드호그 데이 · 307|남부 연합기 · 309|네바다 이혼 · 311|놀리우드 · 313|도게자 · 315|루시 스토너 · 317|마그나 카르타 · 319|메르켈하다 · 321|무티 리더십 · 322|버서 · 324|보스턴 스트롱 · 326|에티오피아계 유대인 · 328|오리 신드롬 · 330|오와하라 · 332|유럽의 독일화 · 334|치폴레 · 336|트로피 헌팅 · 338|편의점 왕국 · 340|호텔22 · 342|훅업 · 344

9 Society Section
감정노동 산재 · 349|개명 효과 · 351|개인 정보 파산 · 353|계층 고착 사회 · 355|금전적 부정 · 357|라쇼몽 효과 · 359|맨스플레인 · 361|불륜 시약 · 363|비교 성향 · 365|사회적 증거 · 367|연대적 개인주의 · 369|이미지 컨설팅 · 371|1만 시간의 법칙 · 373|자살 도농 격차 · 375|장수 재앙 · 377|전업주부 2세대 · 379|정서적 웰빙 · 381|폭주노인 · 383|호적 고치기 · 385|활동형 외톨이 · 387

10 Politics Section
개시개비 · 391|국기 모독죄 · 393|떼법 · 395|모바일 선거 · 397|밤샘 재판 · 399|별건수사 · 401|생중계 재판 · 403|셀피 딜레마 · 405|오럴 해저드 · 407|외주 민주주의 · 409|의무 투표제 · 411|전환의 계곡 · 413|제론토크라시 · 415|초갈등 사회 · 417|컴패션 · 419|탈북자 차별 금지법 · 421|피자 당파성 · 423|하명 수사 · 425|허위 사실 공표죄 · 427|후원금 쪼개기 · 429

주 · 431
찾아보기 · 465

저자소개

김환표 (엮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했다.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대중문화, IT문화에 관심이 많은 저술가다. 저서로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다룬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끼친 IT 인물 15명을 다룬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최고경영자의 삶과 철학과 비전을 살펴본 『부와 혁신의 설계자들』 등이 있다. 편저로 『트렌드 지식사전』(전6권), 공저로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 포털사이트 『다음』의 ‘다음백과’에 ‘글로벌 기업 스토리’라는 제목으로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등 50여 개의 기업에 대한 글을 연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블로그, 커뮤니티 등 온라인상에서 맞춤법이 틀린 것을 보면 참지 못하고 댓글을 통해 지적하는 사람들을 이르는 말이다. 문법나치는 아돌프 히틀러 시대의 나치에 빗댄 표현으로, 문법이나 맞춤법, 띄어쓰기의 오류에 과도하게 집착한다는 것을 지적하는 차원에서 이렇게 부른다. 문법나치는 과잉 교정 인간이라고도 한다. 잘못된 언어 사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문법과 표준어, 고운 말,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에 과도하게 얽매이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자유기고 가 노정태는 “문법나치는 영어권에서 쓰이던 ‘Grammar Nazi’가 번역돼 넘어온 것”이라면서 “편집자가 따로 있던 올드미디어 시대와 달리 누구나 자신의 글을 블로그 등 공개된 매체에 게재할 수 있어 문법에 대한 긴장감이 약해진 것”이 문법나치 등장의 근본 원인이라고 했다. 「문법나치」


출처를 밝히지 않은 채 해외 기사를 직접 취재해서 작성한 것처럼 보도하는 행위를 말한다. 외신을 그대로 번역해 적으면서 자사 기사처럼 기자 이름만 밝히는 식이다. 특파원이 현지에서 썼더라도 직접 취재한 것이 아니라면 출처를 밝혀야 하지만 이를 밝히지 않는 경우도 많다. 외신 표절은 주로 국제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왜 그럴까? 한 기자는 “국제부에서는 외신을 일종의 보도자료, 혹은 출입처로 보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고 논리를 부여해 기사를 만들어내는 일을 또 하나의 창작행위로 간주한다”고 말했다. 「외신 표절」


겸손(humble)한 척하면서 은근히 하는 자기 자랑(brag)을 말한다. 이렇게 은근히 자랑하는 사람을 일컬어 험블브래거(humblebragger)라고 한다. 험블브래그는 애초 유명인들이 SNS를 사용하면서 대중 앞에서 ‘얌전한 척, 겸손한 척하는’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등장했는데, 유명인들만 험블브래그를 하는 것은 아니다.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서도 은근하게 SNS를 통해 자랑을 하는 사람이 많다. 새 차를 사서 빈털터리가 되었다며 우는 이모티콘(ㅠㅠ)과 함께 글을 올리거나 프랑스 파리에 여행 가서 고생하고 왔다고 우는 소리(ㅠㅠ)를 하며 멋진 사진을 함께 올리는 식이다. 「험블브래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9064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