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59067176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3-09-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1장 디자인에서의 미학, 미학에서의 디자인
어색한 디자인 미학 15
디자인의 사회적 윤리성=반反예술, 반反미학 20
디자인이 순수미술은 아니지만… 24
예술이 아닌 것과 미술이 아닌 것은 전혀 다른 문제 38
Art=Liberal Arts=인문학 41
테크네에서 아트로 49
미술은 어떻게 아트로 옮겨갔나? 61
예술이 되어서 얻은 것 72
생산자의 입장만을 대변해온 기능주의 디자인의 비윤리성 76
포스트모던 이후의 디자인 변화 81
2장 미학의 체계 속에서 디자인
예술적 디자인은 대중의 요청 95
미학이 향한 목적, 즐거움 98
미적대상으로서의 디자인 103
미학 체계 속에서 작동하는 디자인 106
예술학을 이루는 여러 논리와 디자인 109
객관주의 미와 디자인 116
주관주의 미와 디자인 133
미적체험으로서의 디자인 145
미적향수와 디자인 154
디자이너, 디자인, 수용자로 이루어진 디자인의 미학적 체계 167
3장 디자인의 미학적 구조
기업에 종속된 디자인 구조 175
작품으로서의 디자인 186
작품을 이루는 내용과 형식
디자인의 언어, 형식미
기하학적 형태와 비례가 아름다운 디자인
유기적인 형태가 아름다운 디자인
불규칙한 형태의 생명감이 돋보이는 디자인
또 하나의 형식, 색
형식미는 비평의 중요한 기준
디자인의 꽃, 내용미
역사적 주체로서의 디자인 작품
시대의 철학이 반영된 디자인
전통이 반영된 디자인
작가로서의 디자이너 284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디자인의 흐름을 바꾼 알레산드로 멘디니
유기적 세계를 만든 자하 하디드
예술로 디자인하는 하이메 아욘
일본적 패션으로 세계를 주름잡은 이세이 미야케
기계에서 자연으로 건축의 패러다임을 바꾼 프랭크 게리
최고의 산업디자이너 마르셀 반더스
그래픽디자인의 도인 스기우라 고헤이
돈이 안 되는 디자인을 하는 위르헨 베이
웃음을 디자인하는 스테파노 지오반노니
디자인을 받아들이는 수용자 350
디자인 소비자와 수용자
디자인은 어떻게 수용되는가
디자인 감각과정과 형식미
디자인 지각 과정에서의 게슈탈트
디자인 지각 과정에서의 아이디어
디자인 지각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최고의 감동
수용자의 인식 과정과 디자인 387
참고 문헌 390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마우러의 조명디자인은 강렬한 예술적 감흥이 맨 앞에서 주도하고 있고 그 뒤로 기능성이 뒷받침하고 있다. 그래서 심미성과 기능성이 대등한 위치에서 조화를 이루는 형식적인 디자인의 수준을 넘어섰고, 그만큼 디자인을 대하는 사람들을 크게 매료시킨다. 예술성이 디자인의 존재감을 결정짓는 것이다. (1장 「디자인에서의 미학, 미학에서의 디자인」)
결국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예술의 순수성을 지향했던 순수미술은 탄탄한 자기 완결성을 구축하며 현대 문화, 현대예술의 도도한 흐름을 만들어나갔다. 그런 점에서 당시 순수미술에 대한 모리스의 견해는 편협한 사회윤리성에만 편중되었으며 감정적이었고, 무엇보다 순수미술에 대한 정보와 경험이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이러한 그의 견해가 지금까지도 디자인에 작용한다는 것은 문제가 크다. (1장 「디자인에서의 미학, 미학에서의 디자인」)
세잔의 조형 논리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 바로 ‘구성composition’이다. 화폭에서 분석한 조형 요소들을 조형 원리에 입각해서 재결합하는 것인데, 이렇게 그려진 그림은 원소들이 모여서 지구의 모든 물질을 이룬다고 보는 화학의 세계와 구조적으로 아주 유사하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의 방법으로 그림을 그리면 자연스럽게 형태 요소를 ‘분석’하고 ‘종합’하게 되는데, 이것은 과학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그대로 일치한다. 그래서 이렇게 구성된 그림은 작가의 개인적 주관이 만든 것이지만 과학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세잔의 이러한 구성 원리는 이후 현대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로 받아들여지고, 미술은 묘사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조형의 세계, 본질의 세계를 획득하게 된다. 그렇게 해서 미술은 자연스럽게 과학처럼 본질의 세계를 표현하는 일이 되었고, 곧 아트에 자리를 잡고 ‘순수미술’이라는 이름을 얻기에 이르렀다. 이런 점에서 화학의 원리는 현대 순수미술이 형성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당대의 과학적 원리를 적용해 미술을 아트의 영역으로 들어가게 만든 세잔의 업적은 정말 눈부신 것이었다.(1장 「디자인에서의 미학, 미학에서의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