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9336784
· 쪽수 : 191쪽
· 출판일 : 2014-01-15
책 소개
목차
제1부 경제발전과 농업문제
/제1장/ 한국의 공업화과정과 농업정책의 대중국 시사점
Ⅰ. 서론
Ⅱ. 한국의 공업화과정과 농업정책
Ⅲ. 한국 농업정책의 효과와 한계
Ⅳ. 중국 농업발전정책에 주는 시사점
제2부 WTO·FTA와 한중경제
/제2장/ 한국의 WTO체제 경험과 중국의 농업대책
Ⅰ. 서론
Ⅱ. WTO 출범 이전 한국의 농업정책
Ⅲ. WTO체제하 한국 농업정책의 변화
Ⅳ. WTO체제하 한국농정의 변화와 대중국 시사점
Ⅴ. 결론
/제3장/ WTO 가입 5년, 중국 산업정책의 변화와 경제적 성과
Ⅰ. 서론
Ⅱ. WTO 가입과 중국 정부
Ⅲ. WTO 가입 후 중국 경제정책의 조정과 산업정책의 변화
Ⅳ. WTO 가입 후 5년, 중국의 경제성과
Ⅴ. 요약 및 결론
/제4장/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FTA 현황과 발전전망
Ⅰ. 서론
Ⅱ. 지역경제통합과 자유무역협정
Ⅲ. 아시아·태평양지역 FTA의 현황
Ⅳ. 아시아·태평양지역 국제경제협력의 기회와 도전
Ⅴ. 아시아·태평양지역 FTA의 발전 전망
제3부 민간교류와 대학교육
/제5장/ 중한 민간교류의 경제적 의미
Ⅰ. 서론
Ⅱ. 중한 민간교류의 현황
Ⅲ. 중한 민간교류의 유형, 내용과 특징
Ⅳ. 중한 민간교류의 경제적 효과
Ⅴ. 요약 및 결론
/제6장/ 중국 사립대학의 발전배경과 운영정책
Ⅰ. 서론
Ⅱ. 중국 사립대학의 발전 배경
Ⅲ. 사립대학 영리에 대한 정책의 역할
Ⅳ. 결론 및 제언
제4부 새만금시대의 경제협력
/제7장/ 새만금개발과 중한 경제협력의 새로운 기회
Ⅰ. 서론
Ⅱ. 중국의 경제발전과 중한 경제협력
Ⅲ. 새만금사업의 추진과정과 종합개발계획
Ⅳ. 새만금개발과 중한 경제협력의 새로운 기회
Ⅴ. 결론
제5부 한중경제의 남아있는 현안과 과제
/제8장/ 북한의 경제무역구와 경제특구 개방의 의미
Ⅰ. 서론
Ⅱ. 나선경제무역구와 황금평경제구의 개황
Ⅲ. 북한 경제개방의 배경
Ⅳ. 중국 경제특구 개방의 경험
Ⅴ. 북한 특구개방의 경제적 의미
/제9장/ 중국 동북지역의 자원의존형 도시와 지속가능한 발전정책
Ⅰ. 서론
Ⅱ. 동북지역 자원의존적 도시의 주요 문제
Ⅲ. 동북지역 자원의존적 도시의 전형발전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
Ⅳ. 동북지역 자원의존적 도시 전형발전의 정책적 건의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