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59667024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15-06-3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 5
서장
영남 재지사족 연구의 방향과 내용
1. 재지사족 연구의 방향 | 19
2. 재지사족 연구의 내용 | 24
제1부_재지사족 중심 향촌지배질서의 형성
제1장 함안지역 재지사족의 형성과 향촌지배
1. 머리말 | 35
2. 재지사족층의 형성 | 37
3. 향촌지배기구의 정비 | 46
4. 유력 재지사족의 가계와 동향 | 60
5. 맺음말 | 73
제2장 칠원현의 연혁 변천과 재지사족
1. 머리말 | 77
2. 칠원현의 연혁 변천 | 79
3. 칠원현의 재지사족과 향촌 | 93
4. 맺음말 | 103
제3장 고성지역의 의병활동과 재지사족
1. 머리말 | 105
2. 지역적 특성과 재지사족의 형성 | 107
3. 의병활동의 전개와 전후 재지사족의 발전 | 112
4. 유력 재지사족의 가계와 동향 | 117
5. 맺음말 | 131
제4장 창녕지역의 향안 중수와 재지사족 동향
1. 머리말 | 136
2. 창녕향안의 增註와 특성 | 138
3. 창녕향안의 작성과 중수 과정 | 146
4. 창녕 재지사족의 동향 | 155
5. 맺음말 | 165
제5장 청도지역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성격
1. 머리말 | 169
2. 청도지역의 토성세력과 재지사족 | 171
3. 재지사족의 향촌지배기구 | 181
4. 재지사족의 의병활동과 향촌질서의 재편 | 191
5. 맺음말 | 203
제2부_밀양지역 재지사족의 동향과 향촌활동
제1장 임진왜란 전후 밀양 재지사족의 동향과 향촌지배
1. 머리말 | 211
2. 임진왜란 이전 재지사족의 형성과 성장 | 214
3. 향안 중수 및 입록 추세의 변화와 재지사족 | 222
4. 밀양 향약의 실시와 재지사족 | 238
5. 예림서원 이건과 향교 중수와 재지사족 | 245
6. 맺음말 | 250
제2장 밀양 재지사족의 金宗直 추숭과 예림서원 건립 및 활동
1. 머리말 | 255
2. 김종직 추숭 활동의 전개와 예림서원 제향인물 | 256
3. 예림서원의 건립과 배경 | 268
4. 예림서원의 이건과 중수 | 274
5. 예림서원의 사액화 노력과 재정비 | 282
6. 맺음말 | 289
제3장 17세기 초반 밀양 재지사족 孫起陽의 향촌활동
1. 머리말 | 292
2. 임진왜란 이후 밀양 재지사족과 손기양 가문 | 293
3. 손기양의 생애와 의병활동 | 299
4. 손기양의 향촌사회 활동 | 308
5. 맺음말 | 319
제4장 17세기 밀양 재지사족 朴壽春의 향촌활동과 도통인식
1. 머리말 | 323
2. 박수춘의 가계와 사우연원 | 325
3. 박수춘의 향촌활동과 의병운동 | 336
4. 박수춘의 도통인식 | 346
5. 맺음말 | 354
제5장 17세기 밀양 재지사족 李而楨의 향촌활동
1. 머리말 | 358
2. 전후 밀양 재지사족과 이이정 가문 | 360
3. 이이정의 생애와 도학 및 교유 | 367
4. 이이정의 향촌사회 활동 | 377
5. 맺음말 | 387
제6장 조선후기 밀양 表忠祠의 연혁과 祠宇 이건 분쟁
1. 머리말 | 390
2. 表忠祠의 연혁과 운영 | 392
3. 表忠祠의 해인사 이건 분쟁 | 401
4. 맺음말 | 412
보론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에 대한 비교 고찰
1. 머리말 | 419
2. 조선시기와 명청대 향촌지배층의 용어 | 420
3. 조선시기 士族支配體制와 명청대 紳士制度 | 427
4.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의 향촌활동 | 434
5. 맺음말 | 441
출전 | 443
참고문헌 | 445
찾아보기 | 4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