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과 명청의 향촌사회 비교 연구

조선과 명청의 향촌사회 비교 연구

장동표 (지은이)
국학자료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870원
26,680원 >
26,100원 -10% 0원
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과 명청의 향촌사회 비교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과 명청의 향촌사회 비교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67971746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4-09-12

책 소개

저자가 두 번에 걸쳐 중국에 방문학자로 다녀온 것을 계기로 매년 중국한국학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하여 학술지에 게재하였던 것을 묶어 낸 것이다.

목차

제1장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에 대한 비교
1. 머리말 13
2. 조선시기와 명청대 향촌지배층의 용어 15
3. 조선시기 士族支配體制와 명청대 紳士制度 23
4.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의 향촌활동 30
5. 맺음말 38

제2장 조선시기와 명청대의 鄕約 시행과 그 성격 비교
1. 머리말 43
2. 양국의 향약 변천과 기능 45
1) 향약 변천의 흐름 45
2) 향약 기능의 변화 51

3. 양국의 향약 시행과 성격 55
1) 명청대 향약 시행 55
2) 조선시기 향약 시행 60
4. 맺음말 67

제3장 朝鮮과 明의 鄕賢 추숭과 鄕賢祠 건립 비교
1. 머리말 73
2. 조선조 鄕賢 追崇과 鄕賢祠 75
1) 추숭 대상의 확대와 향현 선정 75
2) 향현 추숭과 향현사 건립 사례 80
3. 명대 鄕賢 崇祀와 鄕賢祠 89
1) 숭사 대상의 확대와 향현 선정 89
2) 향현사 건립과 향현의 증가 95
4. 맺음말 101

제4장 朝鮮과 明의 淫祀와 城隍祭儀 인식과 대응 비교연구
1. 머리말 107
2. 양국의 祀典 정비와 淫祀 인식 109
1) 명의 사전 정비와 淫祠 禁毁 109
2) 조선의 사전 정비와 淫祀 제재 117
3. 양국의 城隍祭儀의 正祀 편입과 城隍廟 128
1) 명의 성황묘와 성황신앙의 성격 128
2) 조선의 성황묘와 성황제의의 淫祀化 134
4. 맺음말 145

제5장 朝鲜在地士族与明清绅士的比较研究
前言 153
一、 两国乡村支配层的用语 153
二、 朝鲜的士族支配体制与明清的绅士制度 158
三、 朝鲜在地士族和明清绅士的乡村活动 163
小结 168

제6장 朝鲜前期知识阶层对杭州西湖的想象与其内涵
序言 173
一、 知识阶层向往西湖的历史背景 174
二、 知识阶层获得有关西湖的信息 177
三、 知识阶层对西湖的想象和表达 180
结语:西湖形象的传承 183

부록 중국 북방 기행; 우리 고대 역사의 발자취를 찾아

Ⅰ. 조·중·러 삼국 변경지대를 둘러보고 190
Ⅱ. 해동성국 발해 역사의 현장을 찾아 195
Ⅲ. 북방 선비족의 발원지, 알선동(嘎仙洞)으로 204
Ⅳ. 길림성의 부여 유적지 흔적들 214

참고문헌 223

저자소개

장동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창녕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와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와 절강공상대학 동아연구원 객원교수를 지냈다. 주요 학술 활동으로 역사문화학회 회장, (사)부경역사연구소 소장과 편집위원장, 효원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사연구회와 한국사연구회 편집위원 등의 일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후기 지방재정연구>(1999), <사명당 유정>(공저, 2000),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공저, 2004), <남명학파와 영남우도의 사림>(공저, 2004), <산수 이종률 민족혁명론의 역사적 재조명>(공저, 2006), <지방사연구입문>(공저, 2008) 등이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초기에는 조선후기 지방재정 문제였으나, 지금은 주로 조선시기 향촌사회사 연구 및 한중 양국의 향촌사회사 비교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에서 향약 시행은 16세기 전반의 중종연간 주자학 입문서 ??소학?? 가운데 삽입된 呂氏鄕約의 시행으로 시작되었다. 16세기 後半에 이르러 향약은 性理學에 대한 이해의 심화와 함께 朱子增損呂氏鄕約에 바탕을 둔 退溪鄕約, 栗谷鄕約, 金圻鄕約 등과 같은 조선적인 鄕約으로 발전하였다. 17세기 鄕約은 향촌사회의 재지사족에 의한 향촌민에 대한 교화와 향촌사회 안정을 위한 교화의 기능이 일차적이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1648년의 密陽鄕約에서처럼 향약의 自治的 기능이 점차 축소되어 가고 있는 모습도 보여준다. 민간자치기구로서의 향약 본래의 성격은 17세기 後半 이후 크게 달라지면서, 향약은 지방 守令의 하부 행정기구의 하나로 편입되기 시작하였다. 조선후기의 밀양향약이 이러한 조선시기 향약의 성격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었다. 향약은 점차 官治의 도구화가 되면서 국가의 향촌통제 기구의 하나로 변화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