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59753666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11-11-18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PART I. 세계 메가트렌드의 변화
CHAPTER 1. 세계 메가트렌드와 미래 신성장 산업
1. 우리가 사는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2. 2020/2030년 메가트렌드와 미래 신성장 산업
CHAPTER 2. 미래에 대한 연구
1. 미래연구과 정책연구
2. 유엔 미래보고서
3. OECD 미래연구 프로그램
CHAPTER 3. 세계 메가트렌드 변화의 주요 요인
1. 기후변화와 환경문제
2. 물 부족 문제
3. 에너지, 자원문제
4. 과학기술 발전과 융합 현상의 가속화
5. 저출산, 인구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
6. 여성의 지위 향상
PART II.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 질서
CHAPTER 4. 세계경제, 뉴 노멀로 정책 변화
1. 뉴 노멀의 특징
2. 뉴 노멀 시대의 개막
CHAPTER 5. 신흥국의 역할이 강화되는 다극체제로 전환
1. 컨티넨탈 시프트 가속
2. ‘워싱턴 컨센서스’와 ‘베이징 컨센서스’
3. 신흥국의 발언권 확대 : 브릭스의 부상
CHAPTER 6. 글로벌 거버넌스의 재편
1. G20의 등장과 글로벌 거버넌스
2. G20의 중심적인 역할 지속
CHAPTER 7. 신보호주의 장벽
1. 새로운 보호주의 형태의 출현
2. 한국의 대응
PART III. 우리 경제의 미래전략
CHAPTER 8. 한국경제에 대한 진단
1. 세계 9위 수출국가 한국
2. 2050년 한국의 1인당 GDP 세계 2위 기록 전망
3. 불확실성과 미래유망국가 전망 공존
4. 한국 세계화 지수 33위로 8단계 하락
5.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OECD 국가 중 최하위
6. 식량 가격 급등
7. 유엔 조달시장 0.34%에 불과
CHAPTER 9. G10으로 진입하기 위한 도전과 과제
1. 한국경제의 도전과 과제
2. 2020/2030년 한국을 이끌 성장 동력
3. 소프트파워를 통한 국가브랜드 제고
CHAPTER 10. 선진국 진입을 위한 정책 제언
1. 서비스산업 육성 및 생산성 제고 필요
2. 넥스트 프론티어, 신흥국 진출 강화
3. 아시아 역내 협력 강화
4. 중장기적인 에너지 안정 확보 정책
5. 녹색성장으로 정책 변화
6. 신재생 에너지 시장 확보
7. 녹색기술 적극 추진
8. 원자력 산업 적극 육성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현재의 삶을 구성하는 주요 요인인 일자리, 교육, 주택 및 복지는 각각 내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미래의 주요 트렌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미래 트렌드 분석을 위해서는 일자리, 교육, 주택 및 복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래의 요소를 식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미래의 요소들은 인구, 계층, 가치관 및 경제영역의 미래 트렌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변화하는 세상의 리스크는 개인이나 조직, 공동체가 떠안아야 할 부담인 동시에 무한한 기회이기도 하다. 앞으로 세계는 효율성이 절대적인 기준이 될 것이다. 변화하는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시대의 흐름을 읽을 수 있도록 ‘변화인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현실을 냉철히 분석하여 변화에 기꺼이 동참해야 하며, 차별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개인이나 국가는 핵심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하고 부단한 혁신을 통해 새로운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
G2 체제는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한 강대국으로서의 부상과 미국의 영향력, 역할 및 리더십의 상대적인 약화를 단순화한 표현에 불과하다. 미국과 중국은 둘 다 경제와 안보분야에서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다. 미국은 기후변화와 에너지, 자원 확보 문제 등 초국가적인 쟁점을 해결하는 데 중국의 협조를 필요로 하고 중국 역시 지금의 경제 현대화와 국력신장을 위해 미국과의 건전한 동반자 관계를 지속하는 전략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미국과 중국은 개방과 규칙 준수 그리고 자유 시장을 신봉하는 현재의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질서 속에서 공생을 도모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