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5975377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2-01-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1
세종대왕과 구텐베르크, 그 역사의 인물을 통해 SNS를 본다
프롤로그2
권력 구조와 정치 지형, SNS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1부 소셜 네트워크가 만드는 미디어 혁명
chapter 1. SNS, 도대체 무엇이길래?
‘입소문 시대’로 회귀한 미디어 환경|소셜 미디어에는 ‘오버헤드’가 없다|스마트 기기로 엮인 초고도 네트워크 사회|스티브 잡스의 진정한 유산|(…)
chapter 2. 뉴스 미디어를 통째로 바꾸다
언론 영역의 파괴 시대 열렸다|트위터, 해운대 화재 현장 발화 순간을 찍다|내부 보고보다 빨랐던 KTX 고장 소식|브래지어 탈의 ‘인권침해’ 논란 잠재운 트위터|뉴스는 싫다, 원문을 보여달라|중요한 뉴스는 독자를 찾아오게 돼 있다|(…)
2부 소셜 네트워크가 만드는 거대한 변화
chapter 3. SNS 시위, 세계를 뒤흔들다
페이스북에서 시작된 재스민 혁명|“슬림을 석방하라” 이튿날 23년 독재정권 종식|‘소셜 네트워크 혁명’ 진면목 보여준 이집트|차단 조치 뚫고 터져 나온 트윗|프록시 서비스 “내 엉덩이를 감춰라”|(…)
chapter 4. SNS 정부, 이제 직접 나선다
‘뉴스거리’ 아니면 버려지는 브리핑|이제 브리핑의 대상은 기자가 아니다|보수의 목소리는 서툴렀다|‘김제동 햄버거 사건’을 아시나요?|‘비리 형사’ 이미지 벗은 ‘도가니’ 속 형사|‘추적 60분’ 보도에 입체 대응한 경찰|(…)
chapter 5. SNS 선거, 한국을 접수하다
“정치인이여, 인터넷으로 직접 소통하라”|트위터 확산 주체는 ‘권위에 저항하는 감성’|SNS에 대한 ‘불편한 진실’들|‘강호동 숨쉰 채 발견’이 괴소문?|트위터에 근거 없는 루머가 퍼진다? 그것이 루머일 뿐|트윗 분석 없는 여론조사는 맞지 않는다|(…)
3부 소셜 네트워크가 만드는 정치 혁명
chapter 6. SNS 정당, 미디어 정치 시대를 열다
소셜 네트워크 시대, ‘위대한 지도자’가 나타날 때|안철수, 기존 정당은 필요 없다|정당 조직은 사람으로 구성된 아날로그 조직|정당조직의 본질은? ‘미디어’!|국내 SNS 사용률 아직도 한 자리 수|감성 선거 캠페인의 걸작 ‘윌 아이 엠’ 동영상|(…)
chapter 7. 트위터 정치, 어떻게 할 것인가?
트위터는 ‘정치 마당’이다|대중은 이미 “알아버렸다!”|트위터 진정성 부각시킨 ‘트위터 아바타’ 사건|트위터에선 감춰지긴 어렵다|트위터에서 변명은 불씨 키우는 풀무질|‘욕설 트윗’ 하나로 한나라당이 시끌|(…)
chapter 8. SNS 시민 혁명을 넘어 정당혁명으로
전통적 정당구조는 지배의 형식|여전히 ‘물갈이 공천’ ‘상향식 공천’ 타령만|‘깨끗한 자립정당’ ‘참여 민주정당’ ‘참여 정책정당’의 꿈|‘Get Involved'와 ’Donate Now'|권력 의지가 있다면 “소셜로 정치하라”
에필로그
세상은 또 얼마나 바뀔까요?
리뷰
책속에서
미디어가 바뀌면 세상이 온통 바뀐다. 소통하는 방식이 달라지면 많은 것이 변화한다. 더욱이 한 개인의 목소리가 언제라도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될 수 있는 ‘열린 환경’은 소수의 매스 미디어가 과점했던 기존의 소통 채널을 무기력하게 만들고 있다. 미디어가 달라지면 개개인의 관심사와 사고방식이 달라지며 기업 또한 홍보와 마케팅 방식이 달라진다. 당연히 정치권력과 그 지형도 달라진다. 이런 일은 더 이상 예측이나 전망이 아니다. 이미 현재 진행형이다.
_ Chapter 1. SNS 도대체 무엇이길래 30p.
소셜 네트워크 혁명 과정에서 뜻밖의 스타가 나타났다. 이집트 혁명에는 여덟 살배기 사우디아라비아 소녀가 등장했다. ‘주주’라는 애칭의 소녀가 유튜브에 나타났다. 그 유튜브 동영상은 ‘주주’가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에게 보내는 영상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이 소녀는 “이집트 대통령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니?”라는 질문에 대해 “자기가 평생 대통령이라는 법을 없애고 이집트 시민들에게 투표로 새로운 대통령을 뽑게 해주라구요”라면서 촌철살인의 조언을 던졌다.
_ Chapter 3. SNS 시위 세계를 뒤흔들다 100p.
서울시장 후보에 안철수라는 이름이 나타나자 그만 기존 정치권이 왜소하게 보이고 말았다. 그동안 거론돼왔던 한나라, 민주 양당 정치인들의 이름이 일거에 안철수라는 그림자에 가리고 마는 허망한 상황이 벌어졌다. 그런 그가 무소속을 선택했다. 정당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 정치 패러다임에 근본적인 변화가 몰아닥치는 신호탄이었다. (…) 미디어 환경이 변했다. 소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직접 소통망은 아날로그식 조직이 없더라도 열렬한 지지여론을 증폭시키는 디지털 조직을 만들어낸다. 유권자들은 실시간으로 반응하고, 이 반응은 실시간으로 읽히고 전파된다. 이 디지털 조직과 디지털 신경망은 이집트 같은 나라에서는 정권도 뒤집었다.
_ Chapter 6. SNS 미디어 정치 시대를 열다 19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