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순왕 따라하기 식 통일방법

경순왕 따라하기 식 통일방법

이태기 (지은이)
에세이퍼블리싱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000원
카드할인 10%
1,170원
12,5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5,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순왕 따라하기 식 통일방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순왕 따라하기 식 통일방법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60235137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11-01-25

책 소개

남북통일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고민해온 저자는 우리 민족에게 가능한 통일의 방법을 신라의 경순왕에게서 찾는다. 즉 후삼국 시대 말기, 경순왕이 신라를 고려에 스스로 귀속시킴으로써 평화적인 방법으로 한민족의 통일을 이루어 내는 역사의 장면을 보고, 오늘날의 남북한도 이와 같은 방식을 따라 민족통일이라는 거시적 안목으로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목차

머리말 7

제1장 오늘날 지구상에서 분단 민족(分斷民族)은 우리 남북한(南北韓)뿐이다 / 17
[1 ] 베트남(Vietnam=월남)의 통일(1975년) / 17
[2 ] 예멘(Yemen) 공화국의 통일(1990년) / 18
[3 ] 독일(獨逸) 연방공화국의 통일(1990년) / 19
[4 ] 홀로 분단국(分斷國)으로 남아 있는 오늘날의 남북한(南北韓) / 21
[5 ] 우리 민족이 남북으로 분단된 과정 / 22
[6 ] 우리 민족이 남북한(南北韓)으로 분단(分斷)된 원인은 어디서 발생했는가? / 29

제2장 남북한 간의 대결 양상(樣相) / 39
[1 ] 지나간 날에 있었던 남북한(南北韓) 간(間)의 충돌 / 39
1. 사상전쟁(思想戰爭) / 39
2. 6.25 한국전쟁 / 47
3. 휴전 후 남북한의 군사충돌 / 66
[2 ] 현재(現在) 남북한 간의 군사대결 양상(樣相) / 71

제3장 지나간 날에 있었던 남북회담 / 79
[1 ] 남북 적십자 회담(南北赤十字會談) / 79
[2 ] 남북 체육회담(南北體育會談) / 84
[3 ] 남북 고위급 회담(南北高位級會談) / 86
[4 ] 남북 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 88
[5 ] 남북대화 과정들을 보면서 / 90

제4장 지나간 날에 있었던 통일방법의 의견들 / 93

제5장 통일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어떤 유익이 있는가? / 103
[1 ] 통일이 되면 군사적 충돌의 염려가 없어진다 / 103
[2 ] 통일이 되면 국토가 넓어진다 / 105
[3 ] 통일이 되면 북한의 탈북자 문제가 해결된다 / 107
[4 ] 통일이 되면 이산가족을 상봉케 할 수 있다 / 110
[5 ] 통일이 되면 남북한(南北韓)을 의식(意識)하는 국민 간의 갈등(葛藤)이 끝날 수 있다 / 116
[6 ] 통일이 되어야만 주변국과 대등하게 살아갈 수 있다 / 120
[7 ] 통일이 되면 분단비용(分斷費用)이 없어진다 / 130
[8 ] 통일을 미루다가 잘못되어 영구분단(永久分斷)으로 갈까 두렵고, 또 엉뚱한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두렵다 / 131

제6장 본론(本論) : 경순왕 따라하기 식 통일방법 / 137
우리민족에게는 분단(分斷)분과 통일(統一)의 역사가 있다. 우리의 선조(先朝)들로부터 통일의 방식을 배워야한다
[1 ] 우리 민족이 변천해 내려온 역사 / 137
[2 ] 우리 민족의 첫 번째 통일: 신라(新羅)가 삼국통일(三國統一)을 하다(676년) / 140
1. 백제(百濟)와 고구려(高句麗)를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이 침공해 멸망시킴 / 140
2. 나당전쟁(羅唐戰爭) / 142
3.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를 합병해 삼국통일을 하다 / 146
4. 통일신라는 어떻게 존속되었는가? / 147
[3 ] 통일신라가 다시 삼국(三國)으로 분열되는 슬픔의 역사 / 148
[4 ] 남북통일의 방법은 우리 민족의 역사(歷史)에서 배울 수 있다 / 150
[5 ]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 892-936년 / 152
1. 신라(新羅) / 152
2. 후백제(後百濟) / 156
3. 후고구려(後高句麗) / 160
4. 고려(高麗) / 163
5. 마의태자(麻衣太子)의 처신을 보고 깨달을 것이 있다 / 168
6. 후삼국 간의 전쟁의 역사 / 171
[6 ] 우리 민족의 두 번째 통일[後三國統一] : 936년 / 176
1. 우리 민족의 두 번째 통일(後三國統一)의 주역 경순왕(敬順王) / 176
2. 후삼국시대의 정국 44년간(892-936년) / 178
3. 경순왕(敬順王)은 신라(新羅)를 고려(高麗)에 합병해 민족통일(民族統一)을 완성했다 / 182
4. 고려태조 왕건은 경순왕을 통일의 공로자(功勞者)로 인정하여 최상의 예우(禮遇)를 했다 / 194
[7 ] 경순왕(敬順王)이 신라(新羅)를 고려(高麗)에 합병하여 통일(統一)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 199
1. 고려와 신라는 같은 민족이라는 것을 특별히 감안했을 것이다 / 199
2. 피를 흘려야 하는 전쟁을 피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 200
3. 한반도 우리의 국토를 셋 혹은 둘로 쪼갤 수 없다는 충정(忠情)에서였을 것이다 / 201
4. 백성의 민심을 읽었다 / 202
5. 오늘날의 남북통일방법을 가르치기 위한 예행연습이 되었다 / 203
[8 ] 우리의 선조들이 이룩한 통일의 역사에서 배워야 할 교훈 / 206
1. 우리 민족의 첫 번째 통일[新羅三國統一]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 206
2. 우리 민족의 두 번째 통일[後三國統一]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 208
3. 우리 민족의 세 번째 통일은 남북통일(南北統一)이다 / 211
[9 ] 후삼국시대의 신라와 고려의 통일이 오늘날 남북한통일의 모델이 되고 있다 / 213
1. 신라(新羅)를 고려(高麗)에 합병하여 통일을 이루었던 역사와 같이 북한(北韓)을 남한(南韓)으로 합병하여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 / 213
2. 북한(北韓)을 남한(南韓)으로 합병하여 통일을 이루어야 하는 이유 / 234
[10] ‘경순왕 따라하기 식 통일방법’의 내용(內容)풀이 / 246
1. 경순왕 따라하기 식 통일방법은 3개의 바퀴로 굴러간다 / 246
2. 남북통일을 위하여 시동(始動)을 걸어야 한다 / 253
3. 민족의 숙원인 남북통일을 이루는 데 공을 세우는 자는 복(福) 있는 자이다 / 258
[11] 남북통일을 할 때는 반드시 원칙(原則)이 있어야 한다 / 262
1. 통일을 하려면 그 방법에 대하여 먼저 국민의 공감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 262
2. 북한을 남한으로 합병하여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 / 262
3. 통일의 공로자들에게는 정부에서 상당한 대우를 해야 한다 / 262
4. 남북한 분단으로 인한 상대쪽의 감정은 완전히 불문(不問)에 붙여야 한다. 그리고 전 국민이 화해(和解)해야 한다 / 263
5. 분단 시대의 자체 내에서 억울함을 당했다 하더라도 모두 불문(不問)에 붙여야 한다. 그리고 전 국민이 화해(和解)해야 한다 / 263
6. 통일을 함으로 인해 모두에게 유익이 되어야 하고, 어떤 누구에게도 억울함이 돌아가서는 안 된다 / 263
7. 구한말 고종황제(高宗皇帝)께서 통치하던 대한제국(大韓帝國)을 회복하는 것이라는 개념(槪念)을 살려야 한다 / 264

제7장 남북통일을 위한 진행 과정 / 273
1. 서언(序言) / 273
2. 북한의 정권 담당자들이 북한을 남한으로 합병할 것을 선포한다 / 273
3. 남북한 당국자 회담에서 실천 절차를 의논한다 / 275
4. 북한의 군대와 군물(軍物), 그 시설을 국군에게 이양한다 / 276
5. 북한 정부의 모든 행정조직과 각종 상부기관을 대한민국 정부로 이양(移讓)한다 / 277
6. 남북통일을 내외에 선포하는 경축의식(慶祝儀式)을 거행한다 / 280

제8장 통일과 동시에 북한 지방은 당분간 과도기체제(過渡期體制)가 필요 할 것이다 / 285
1. 통일 후 당분간 북한 지방은 과도기 체제에서부터 시작한다 / 285
2. 과도기 체제가 진행되는 기간은 북한지역을 발전시키는 북한 부흥기(復興期)로 정해 박차를 가해 나간다 / 287
3. 전체 국민들 사이에 화목이 이루어지게 정책을 펴야 한다 / 291
4. 과도기 체제가 진행되는 동안은 남북한 간 이주(移住)를 위한 인구의 이동을 제한해야 한다 / 293
5. 과도기 체제가 진행되는 동안 북한 지역 내부 에서는 시위운동(示威運動)을 잠재워야 한다 / 294
6. 과도기 체제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정치적인 파벌의 대결을 없애야 한다 / 296
7. 과도기 체제가 진행되는 동안 북한 스스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 297

제9장 과도기 체제가 끝나면 완전통일(完全統一)이 이루어진다 / 299

글을 마무리 하면서 / 301

저자소개

이태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8월 11일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서 출생 1958년 군 입대 1961년 병장으로 만기제대61년 병장으로 만기제대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