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60313132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0-04-10
책 소개
목차
제1부 중학생 전래놀이 23
[놀이 01] 꽃 싸움 25
[놀이 02] 엿치기 25
[놀이 03] 전래 활 26
제2부 실버 인지놀이 171
[놀이 181] 반지놀이 173
[놀이 182] 고마운 발 173
[놀이 183] 복 돼지 축원 174
제3부 유아와 초등 전래놀이 247
[놀이 266] 꽃반지 놀이 249
[놀이 267] 풀피리 249
[놀이 268] 묵찌빠 놀이 250
…
[놀이 466] 헤어지는 인사 390
[놀이 467] 마무리 놀이 390
[놀이 468] 종료 게임 391
저자소개
책속에서
[놀이 07] 세종대왕 격구 놀이
- 정조 때 편찬된“무예도보통지”에 말을 타고 작은 홈에 넣는 것이라 기록되어있고 1425년 세종대왕은 무과시험 과목으로 채택했다. 경국대전의 격구 설명에는 “막대의 모양은 숟가락과 같고 막대의 머리는 손바닥 크기이며 나무로 만든 공의 크기는 달걀 크기이다"라고 되어있는데 요즘의 골프와 아주 유사하다.
[놀이 136] 다빈치 다리
- 서로 협동해야만 완성되는 놀이로 전래놀이의 기본에 합당한 놀이라 하겠다. 놀이하면서 자연적으로 협동심이 생겨나며 본인이 모르는 사이에 친구 간의 우애가 도출된다. 창의력, 협동심, 분출에 근본이 된다.
[놀이 455] 손톱물들이기
- 옛날에는 형제지간에 친함이 지금보다 더 진한 듯하다. 언니가 동생을 위해 손톱에 봉숭아꽃 찧은 것을 소복이 올려놓고 세게 메면 손 아플까 헐렁하게 매면 풀어질까 염려하며 정성스레 묶어주던 것은 우리의 옛 소중한 문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