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 유교 孝의 성립과 효행사례

조선 유교 孝의 성립과 효행사례

김경화 (지은이)
일일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8,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 유교 孝의 성립과 효행사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 유교 孝의 성립과 효행사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6031362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11-10

책 소개

조선 시대 유교 효의 성립 과정과 효행 사례를 『신증동국여지승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책은 유교적 가치관에 입각하여 효자와 열녀가 기록된 최초의 관찬 지리지이다.

목차

제1장. 들어가는 말 1

제2장. 효 사상의 본질과 역사적 전개 5

1. 효 사상의 본질 5
1) 효의 개념과 영역 5
2) 유교적 효 9
3) 불교적 효 14
4) 성경적 효 21
2. 효 사상의 역사적 전개 25
1) 고대 원시유교의 효 25
2) 삼국 및 통일신라 시대의 효 27
3) 고려 시대의 효와 효행 변화 33
4) 조선 시대 성리학의 수용과 효 확산 36

제3장. 조선 유교 효의 성립과 정착과정 44

1. 『효경』의 수용과 특징 44
1) 『효경』의 수용과 그 행방 44
2) 『효경』의 내용 49
3) 『효경』의 특징 54
2. 효치를 통한 정착 57
1) 신라의 효치론 인식 및 운용 57
2) 조선의 효치 정착 60
3) 조선 시대 효자의 효행 배경 65

제4장. 조선 유교 효의 보급과 확산 74

1. 『소학』과 『삼강행실도』 중심의 보급 74
1) 『효경』보다 『소학』을 강조 74
2) 『삼강행실도』의 효행 典範 제시 80
2. 효자 포상과 불효자 처벌 85
1) 천거제의 성립 85
2) 효자 포상 89
3) 불효자 처벌 95

제5장.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대한 이해 101

1. 『中宗本』의 편찬과정과 경위 101
2. 『成宗本』과 『中宗本』의 위계 107
3. 『中宗本』을 통해 본 효행정책 113

제6장.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효행 분석 121

1. 시기별·지역별 분석 121
2. 신분별·대상별 분석 132
3. 효행 시기별· 유형별 분석 142

제7장. 사례를 통해 본 특징 152

1. 효행 사례 그 이면의 실상 152
1) 전염병과 자연재해 152
2) 문소전의 신주 도난 사건 161
2. 효행의 주체; ‘賤民도 天民’이다 168
1) 이름이 ‘奴婢’로소이다 168
2) 신분질서를 넘어선 ‘孝’ 171
3. 효자전 양상 177
1) 시대의 산물 「효자전」 177
2) 「효자전」 비교; 화서의 「효열부문씨전」을 중심으로 183

제8장. 사례를 통해 본 유교적 典據 188

1. 禮의 기원 188
2. 禮의 근본정신 ‘報本反始’ 192
3. 『주자가례』를 통한 예의 실천 199

제9장. 사례를 통해 본 養口體의 明暗 207

1. 養口體 실천 위주의 明과 暗 207
1) 養口體와 良知의 來原 207
2) 侍奉의 효에 대한 통시적 흐름 211
3) ‘侍奉의 효’ 실천위주의 사례 215
2. 喪祭禮의 孝 220
1) 상제례의 본래적 의미 220
2) 상제례의 시대적 모습 223
3) 상제례 실천위주의 사례 229
3. 侍病의 孝; ‘割股斷指’를 중심으로 235
1) 할고단지의 연원과 전개 235
2) 할고단지 실천위주의 사례 241
3) 할고단지의 보상과 포상 245

제10장. 사례를 통해 본 계승과 비판적 견해 252

1. 과도한 효행에 대한 비판 252
2. 다시 유교 孝의 본질로 255
3. ‘溫故知新’의 효로 거듭나야 258
4. 효의 철학적 기반 261

제11장. 나가는 말 266

附 錄 272
Abstract 281

저자소개

김경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 철학박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졸업 한국 효문화진흥원 연구원 대구경북 효인성문화원 원장
펼치기

책속에서

1. 효 사상의 본질
1) 효의 개념과 영역

인간이 가정을 이루며 부모와 자식 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윤리 질서의 규범이 생겨나고, 이것이 사회적 규범으로 발전되어 인간 생활에 있어서 모든 덕목의 기본적 행실을 이루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효는 가족 윤리의 근간이 되며, 나아가서 모든 윤리의 기초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조선 교학의 목적은 인륜 중시의 유교적 인간상을 기르는 데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유교 윤리의 규범 가운데서도 충효열(忠孝烈)이 중시되었고, 그중에서도 효가 우선되었다고 볼 때, 조선 시대 교학의 목적은 충효의 인간상 구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서민의 효는 부모 봉양의 효로서 어렵지 않고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것들이라고 밝히고 있다. 즉 “하늘의 순리에 따르고 땅의 이로움을 얻어 자신의 몸을 근신하고 쓰임을 절약하여 아버지와 어머니를 봉양한다. 이것이 바로 서민의 효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하늘 아래 땅 위에서 자연의 순리를 알고 자기의 몸과 마음을 다해 부모를 모시고 살아가는 것이 효라는 것을 인식시켜 주는 것이다. 이는 서민에게 효가 부담되어서는 안 되며 몸과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부모를 모시면 된다는 효의 근본을 일깨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