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60352759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1-06-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수행 방법
3. 연구 기대효과
제2장 박물관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1절 박물관 개념의 진화
1. 21세기 평생학습기관으로서 박물관
2. 박물관학의 변천
3.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
제2절 21세기 박물관 교육
1. 박물관 교육의 정의와 특성
2. 박물관 교육에 대한 국제적 관심
제3절 박물관 교육의 역사와 변화
1. 국내 박물관 교육의 역사
2. 국내 박물관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
제3장 국립박물관 교육 현황과 문제점
제1절 국립박물관의 교육 현황
1. 국립박물관 교육 운영 기반
2. 국립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제2절 국립박물과 교육프로그램의 분석
1. 형식별 분류
2. 국립중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3. 지방 국립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제3절 국립박물관 교육의 문제점
1. 국립중앙박물관 교육의 문제점
2. 지방 국립박물관 교육의 문제점
제4장 박물관 교육 정책 해외사례
제1절 체계적인 박물관 교육 정책
1. 미국박물관협회의 역할
2. 미국박물관협회의 박물관 교육 기준
제2절 박물관 교육 전담조직 구성과 임무
1. 학예부서와 동등한 메트로폴리탄 교육 조직
2.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는 메트로폴리탄 교육 조직의 변화
3. 박물관 전체가 교육을 수행하는 루브르 박물관
제3절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기획
1. 도쿄국립박물관 학예사가 진행하는 교육프로그램
2. 대영박물관의 살아있는 교육프로그램
3.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 센터로서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4. 박물관의 정체성을 살리는 루브르 박물관 프로그램
5. 교사양성을 위한 파트너십형 교육프로그램
제4절 프랑스 교육성의 학교 박물관 연계교육프로그램
1. 학교의 박물관 현장학습
2. 박물관이 학교를 찾아감
3. 교사 및 단체 문화담당자 대상 교육
4. 교육자료제작 : 아동대상 질문지, 교사대상의 자료배포
5. 박물관-학교 연계프로그램의 목적
제5절 외국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1. 박물관 교육정책에 대한 계획적 접근
2. 박물관 교육 협력체계 구축
3. 새로운 기술의 수용
4.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창의성
5. 박물관과 학교의 긴밀한 파트너십
제5장 국립박물관 교육정책 발전방안
제1절 국립박물관 교육의 기본방향과 중점 추진과제
1. 기본방향
2. 추진전략
3. 정책 추진 기반 조성
제2절 세부 추진과제
1. 박물관 교육정보 공유
2. 국립박물관 교육정보 제공 통합사이트 개설
3. 박물관 교육 국제 네트워크 구축
4. 관람객 연구 프로젝트
5. 교육프로그램 개발 보고서 발간
6. 교육프로그램 평가 기능 강화
7. 전문성 개발 및 재교육 기회 제공
8. 박물관 교육 연구역량 강화
9. 박물관 교육 지침서 작성
10. 박물관 교육백서 발간
11. 한국 문화유산의 가치 확산 프로그램
12. 박물관 교육의 학교협력 강화
13. 국립중앙박물관 교육센터 설립
14. 세부 추진관제 추진일정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