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60354241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3-11-01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연구 배경
나.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가. 연구 범위
나. 연구 방법
제2장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현주소
제1절 국제사회의 ODA 사업 추이
가. 글로벌 다중위기 이후 국제개발협력의 변화
나. 개발협력 정책과 동향
다. ODA 사업 유형과 관행의 변화
제2절 한국 ODA 사업의 현황과 특성
가. 한국 ODA의 역사
나. 한국 ODA 사업의 특성
다. 한국 ODA 사업의 발전
라. 한국 ODA 추진체계의 변화
제3장 한국형 ODA 모델 개발의 추진
제1절 한국형 ODA 모델 개발
가.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방안의 대두배경과 의의
나. 한국형 ODA 모델의 개념과 요소
다. 한국형 ODA 모델 선정 결과
제2절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한국형 ODA 모델에서의 위치
가. 한국형 ODA 모델에서 누락된 문화 영역 ODA
나. 한국 영역 ODA 사업의 누락 요인
다. 문화 영역 ODA 문화체육관광부의 대응 방안
제4장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현황과 국제적 논의
제1절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현황
가. 국제사회의 문화 영역 ODA 사업 현황
나. 주요 국가의 문화 영역 ODA 사업 유형과 특성
다. 우리나라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현재와 미래
제2절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문화의 역할
가. 문화 영역 ODA 사업의 가치론
나. 국제사회의 '문화의 발전' 패러다임
제5장 문화 영역 ODA 사업의 재정의와 주요 특징
제1절 문화 영역 ODA 사업의 재정의
가. 문화 영역 ODA 사업의 재정의
나. 문화 영역 ODA 사업의 중요성
다. 문화 영역 ODA 사업에 대한 인식론적 쟁점
제2절 문화 영역 ODA 사업의 숙성
가. 존중성 (respect)
나. 정체성 (identity)
다. 창의성 (creativity)
라. 포용성 (inclusiveness)
마. 다양성 (diversity)
바. 문화 영역 ODA 사업 속성들의 관계
제6장 문화 영역 ODA 사업에 대한 인식
제1절 설문조사의 개요
제2절 설문조사의 결과
가. 문화 영역 ODA 사업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
나. 우리나라의 문화 영역 ODA 사업 수행 환경
다.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효과
라. 기존 문화 영역 ODA 사업의 적절성
마. 신규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필요성
바.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활성화 방안
제3절 시사점
제7장 문화 영역 ODA 사업의 분야별 대표 프로그램
제1절 크로스커팅이슈로써의 문화 영역 ODA 프로그램:
국가협력전략(CPS)에 대한 문화적 검토
제2절 문화 영역 ODA 사업의 분야별 대표 프로그램 유형
가. 문화재 분야 프로그램
나. 문화연수 분야 프로그램
다. 문화예술교육 분야 프로그램
라. 문화시설 분야 프로그램
마. 문화산업 분야 프로그램
바. 관광 분야 프로그램
사. 스포츠 부문 프로그램
제3절 유네스코의 문화 영역 분류에 따른 프로그램 배치
제4절 문화 영역 ODA 프로그램의 효과
제8장 문화 영역 ODA의 한국형 ODA 모델 진입과 활성화 방안
제1절 문화 영역의 '한국형 ODA 모델'진입과 통합 로드맵
제2절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활용
가. 문화예술계의 시니어 인력 활용
나. 일반 문화예술인 인력의 활용
다. 미래의 문화 영역 ODA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
제3절 문화 영역 ODA 사업의 효과성 증대를 위한 평가 강화
제4절 신규 사업 개발과 인식 확산
가. 신규 사업의 개발
나. 신규 사업의 적절성
다. 신규 사업의 예상효과
라. 유네스코 유형에 따른 신규 사업 배치
제5절 후속과제 및 제안사항
가. 개도국 문화 및 문화 영역 ODA 사업 연구의 지속과 심화:
개도국 문화의 이해
나. 현지수요조사를 위한 중장기적 투자: 개도국 현지의 질적 수요(want) 조사
다. 국내 문화예술계의 인식 제고 및 선도사업의 구상
라. 문화 영역 ODA의 사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고려
마. 지속적인 신규 프로그램의 개발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