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60354678
· 쪽수 : 195쪽
· 출판일 : 2014-08-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제3절 연구 흐름도
제2장 지역학의 개념과 가치
제1절 지역학의 개념
1. 사전, 학문적 정의
2. 관련 법 응용적 개념
3. 유사용어와 개념
4. 지역학의 속성 및 개념 정립
제2절 지역문화 진흥과 지역학
1. 지역문화의 개념과 영역
2. 지역문화 진흥의 내용과 효과
3.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학의 역할과 가치
제3장 지역학의 현황
제1절 지역학의 최근 이슈
1. 언론에 나타난 지역학
2. 행정 수요에 따른 이슈
제2절 지역학의 연구기반 현황
1. 행정구역별 분포
2. 연구주체별 성격
3. 연구인려고가 예산 사례별 현황
제3절 지역학의 연구와 사업 현황
1. 연구: 한국연구재단 중심 지역학 현황
2. 출간물: 지역학 전문기관 중심 현황
3. 지역학 연구기관들의 연구영역
4. 지역주민을 위한 강좌ㆍ탐방 사업 현황
제4절 지역학의 우수 사례
1. 제도
2. 조직 및 운영
3. 연구 사업
4. 향유ㆍ교육 사업
5. 교류 사업
6. 도시문화 사업
제5절 지역학의 국외 동향
1. 아시아 권역
2. 미주 권역
3. 유렵 권역
4. 소결: 지역학의 지역별 특성과 국내적용 가능성
제4장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제1절 설문조사: 인지도 및 활용ㆍ 활성화 방안
1. 설문조사 개요
2. 지역에 대한 인지 및 관심
3. 지역학 연구 결과 활용 인식
4. 지역학의 지역문화 진흥에 대한 기여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인식
5. 지역학 연구의 중앙정부지원에 대한 인식
6. 조사결과의 시사점
제2절 심층 인터뷰
1. 심층인터뷰 개요
2. 심층인터뷰 결과
3. 소결과 시사점
제5장 지역학의 활성화 방안
제1절 정책의 기본 방향
1. 지역학의 활성화 요인 및 제약 요인
2. 정책의 목표 설정
3. 정책의 방향타로서의 원칙
제2절 정책과제
1. 지역학의 제도 정비와 기반 구축
2. 지역학 연구기관의 자체 개선 방안
3. 우수한 지역학의 지속적 공급을 위한 네트워크
4. 지역주민의 향유ㆍ참여 확대 및 수요 창출
5.지역학의 다각적인 문화적 활용 방안
6.국가와 세계의 문화다양성 증진 기여하는 지역학 연구자들의 역할 제고
제3절 지역학 관련 주체들의 역할 및 협력 방안
1. 정보제공 기관과 연구수행 기관 및 활용 기관 간 역할 분담
2. 연계 협력 방안: 관련 공공 기관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