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류에서 교류로

한류에서 교류로

원용진, 홍석경, 김정수, 류웅재, 김휘정, 정정숙, 김성희, 최효진, 현은정 (지은이),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엮은이), 안호상, 김지일
KOFICE(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480원
15,52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류에서 교류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류에서 교류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85661629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20-03-30

목차

■ 제1부 한류가 주는 교훈

1. 예술과 대중, 대중문화의 만남 • 15
원용진(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2. 방탄소년단이 연 새로운 연대정치의 공간 • 47
홍석경(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3. 탈바꿈의 문화행정 • 103
김정수(한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4. 신한류 담론과 문화산업의 정치경제학
: 신한류라는 기표 너머의 그 무언가를 상상하기 • 129
류웅재(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제2부 더 나은 문화교류를 위한 다섯 가지 쟁점

1. 외교 갈등과 문화교류의 본성을 묻다 • 129
김휘정(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문화예술경영전공 객원교수)

2. 국제문화교류, 누가 함께하고 있는가 •
정정숙(한국문화기획평가연구소 소장)

3. 동시대 예술의 태동을 위해: 예술 생태계의 좌표와 방향 탐색 •
김성희(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

4. 문화콘텐츠산업과 창의노동, 기회와 위협 사이 •
현은정(홍익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5. 디지털 시대, 대중문화 아카이브의 설립 필요성과 가능성 •
최효진(새공공영상문화유산 정책포럼 연구위원)

■ 제3부 문화 이전에 사람이 있다: 한류 직문직답, 그 세 번째 이야기

1. 같이 만드는 문화, 가치 있는 문화 • 281
안호상(홍익대학교 교수·전 국립극장장)

2. 작가가 곧 콘텐츠, 끝까지 함께 갈 사람을 찾는다 • 309
김지일(CJ ENM 오펜센터장)

저자소개

홍석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한국 대중문화 및 미디어 문화에 대해 연구하며, 특히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현상으로서 한류에 대해 집중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신문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프랑스 그르노블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 보르도 3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부교수를 지냈다. 책으로는 《BTS 길 위에서》,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공저),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드라마의 모든 것》(공저), 《영상학개론》(공저) 등이 있으며, 텔레비전 드라마, 한류, 디지털 문화, 영상방법론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Professor of Communi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ince 2013. She worked at the Korean Broadcasting Commission as a Chief Researcher (1996-1999), and was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s at the University of Bordeaux 3 (2000-2013). She is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Hallyu Studies, Asia Cen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ince March 2022. Her main research and teaching interests include Cultural Studies, media culture and transnational and global popular culture, as well as visual methods and qualitative research design. She has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on Korean television dramas, Hallyu as a cultural consequence of globalization and digital culture, and various digital cultural forms and practices such as Mukbang (food broadcasting). She has written columns on Hallyu and cultural issues for national newspapers. Her rec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impact of global OTT on Hallyu and Korean creative industries, and the political potential of fandom activism.
펼치기
정정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문화기획평가연구소 소장. 이화여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국제정치학 석사를, 비교정치학 박사를 마쳤다.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문화예술연구실 실장을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대학원 겸임교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집행위원,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전문위원, 전주문화재단 대표이사로 활동하면서 중앙 및 국제교류 활성화에 힘써왔다. 「국제문화교류 진흥방안」, 「문화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개발 연구」, 「‘한류’에 있어서의 인문학의 활용방안」, 「한·중·일 문화교류 협력관계 비교분석과 전망」 등을 연구했으며, 2020년 3월부터는 한국문화기획평가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류웅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한대신문 편집인 겸 주간, 한대방송국 주간, 한양대 창의융합교육원장,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장,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편집위원장,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 기획이사, 연구이사, 한국언론정보학회 기획이사, 한국언론학회 <언론과사회> 총무간사 등을 역임했다. 연구 관심 분야는 방송 영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이론, 문화이론, 문화연구, 문화정책, 글로벌커뮤니케이션 등이다. 주요 저서로 『미디어 담론 연구』, 『한류에서 교류로』(공저), 『고어텍스와 소나무』(공저), 『작은 문화콘텐츠 만들기』(공저), 『마르크스, TV를 켜다』(공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연남동 가는 청년들」, 「‘K-컬처’에 드러난 혼종적 근대성」, 「‘문화도시’ 광주가 재현하는 공간의 담론정치」, 「사회비판적 ‘K-콘텐츠’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불평등 사회 속 공정 담론의 다차원성」, 「공유경제의 담론정치」, 「위험한 불확실성의 시대, 쓰레기가 되는 삶들」, 「물질문화로서 아웃도어에 관한 연구」, 「대학의 연구문화 낯설게 하기, 그리고 성찰적 대안의 모색」, 「무한 경쟁 시대의 글로벌 인재 되기」, 「담론분석과 정치경제학의 조우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 문화연구의 정치경제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모색」, 「Globalization, or the Logic of Cultural Hybridization」 등이 있다. 이 외에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헤럴드경제 등의 일간지에 70여 편의 칼럼을 기고했다.
펼치기
김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과정을 마친 후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이후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객원교수와 공공행정학부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예리하고 날카로운 분석력을 기반으로 문화정책, 문화행정에 관한 다수의 글을 발표했다. 수준급 기타연주 실력을 보유해, 유튜브 채널도 운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행정론: 이론적 기반과 정책적 과 제』, 『21세기를 위한 문화와 문화정책』, 『스크린쿼터의 추억』, 『정책학 입문』 등이 있다.
펼치기
원용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 1세대 학자로 미디어와 한국 사회 안팎에 관한 주요 의제를 제기해왔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영상문화학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텔레비전 비평론』, 『광고 문화 비평』, 『한국 언론 민주화의 진단』, 공저로 『PD 저널리즘』, 『아메리카나이제이션』, 『The Korean Wave: Evolution, Fandom, and Transnationality』 등이 있다.
펼치기
김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문화예술경영전공 객원교수.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예술경영·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내 영화 온라인 부가시장의 유통구조 합리화 방안」, 「한류지수의 개선과 정책 활용도 제고방안」, 「국제문화교류 진흥을 위한 한국문화원의 법적 위상 재정립 방안」, 「문화외교와 국제문화교류 부문 조율기능 확보의 쟁점과 과제」 등 문화산업, 문화외교, 문화교류와 관련한 여러 이슈를 조명해왔다. 2010년부터 국회입법조사처 문화정책 담당 입법조사관을 지냈으며, 킹스칼리지 런던 문화미디어창조산업과 객원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문화융합연구소 부소장을 거쳐 현 사우스오스트레일 리아대 문화예술경영 객원교수를 맡고 있다.
펼치기
김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획자로서 다양한 예술 형식과 관점을 소개하고 제작해 왔다. 2007년 다원 예술 축제 ‘페스티벌 봄’을 창설해 2013 년까지 초대 감독을 맡았고, 국제현대무용제(MODAFE, 2002~5)와 백남준아트센터 개막 축제 스테이션 2(2008) 예술 감독,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초대 예술 감독(2013~16), 국립현대미술관 다원 예술 감독(2017~18)을 역임했다. 『미래 예술』(2016)의 공동 저자다.
펼치기
최효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새공공영상문화유산 정책포럼 연구위원. 파리1대학 사학과와 프랑스 국립방송연구소(Institut National de l’Audiovisuel Sup) 영상유산 관리학과(Audiovisual Heritage Management)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영상문화의 아카이빙에 대한 국가별 사례와 다양한 이슈를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국내 공공영상아카이브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과제 : 프랑스 INA FRAME 영상아카이브 국제연수 참가를 통해 살펴본 해외 동향 분석」(단독), 「국내 '공공 방송·영상 아카이브'의 핵심자원 수집 범위에 관한 연구 : 방송법의 방송편성규제를 중심으로」(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현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시카고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조직이론 전략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히토츠바시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A Structural Approach to Freelance Careers in Cultural Industries」(단독), 「문화예술 분야의 보상형 크라우드펀딩 성공 결정요인: 소셜 커뮤니케이션 활동 효과를 중심으로」(공저) 등 의 연구를 통해 우리가 몸담고 있는 여러 형태의 크고 작은 조직이 어떤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지 탐구하는 데 정성을 쏟고 있다.
펼치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 간 문화교류를 통해 해당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2003년에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제문화교류 전담기관입니다. 해외 한류커뮤니티 지원, 민관 협력 해외사회공헌, K-컬쳐 페스티벌 등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 사업과 더불어 지역 우수 문화교류 콘텐츠 발굴 지원, 개도국 문화지원 역량 강화,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 양성, 주한외교단 문화교류 네트워킹, 수교계기 행사 등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통해 우수한 한국문화를 세계의 많은 이들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39개국 43개 지역의 해외통신원 운영으로 세계 속 한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한편, 국내외 현장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일도 빼놓지 않습니다. 『한류백서』, 『해외한류실태조사』, 『한류의 경제적 효과 연구』, 『글로벌 한류 트렌드』, 『한류NOW』 등 연간·분기·격월간 조사연구 간행물 발간으로 꾸준하고도 폭넓게 글로벌 문화 흐름을 진단합니다. 도서의 깊이에 사안의 시의성을 더한 『한류에서 교류로』(정책서), 『한류, 다음』(권역특서), 『모음』(월간 해외문화정책 동향)은 한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한류를 지지하는 또 하나의 방법입니다.
펼치기
김지일 ()    정보 더보기
CJ ENM 오펜센터장. 1973년 MBC 입사 후 드라마국장, 편성본부장, 제작본부장을 거쳐 MBC프로덕션 대표이사로 활동했으며, 서울예술대학 방송영상학과 교수, JTBC 드라마 총괄, JTBC드라마 대PD 등을 역임했다. 30년간 콘텐츠 제작과 사업운영 노하우를 재료 삼아 작가 선정과 멘토 영입, 교육 등을 총괄하는 신인 작가 양성 프로젝트 ‘오펜(O’PEN)’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더 넓고 더 다양한 색, 인간과 세상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지닌 작가들을 지원하고, 그들과 끊이지 않는 인연을 만들어나가는 데 여념이 없다.
펼치기
안호상 ()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장·전 국립극장장 1984년 예술의전당 사원으로 시작해 예술의전당 공연기획부 부장, 공연사업국 국장을 지낸 예술경영 1세대로, 명망가 중심에서 실무형으로 옮겨가는 한국 문화예술 행정의 선례를 제시했다. 2007년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2012년 국립극장 극장장과 국제공연예술협회 ISPA 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문화예술계에서의 오랜 경험과 뜨거운 애정을 바탕으로, 관객의 편에서 영역과 영역을 잇는 공공 부문 예술 매개자의 역할을 담당해왔다. 국립극장 레퍼토리 시즌제를 통해 전통문화의 동시대적 복원을 도모하는 한편, ‘젊은 극장’으로의 변화를 성공적으로 치러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