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60356191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16-08-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전개과정과 의의
제1절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전개과정
1.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추진배경
2.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전개과정
제2절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의의와 필요성
1.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의의
2.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필요성
제3장 국내외 유사사례의 분석 및 시사점
제1절 국외 유사사례 분석
1. 조직문화 개선
2. 제품 혁신 및 상품 디자인 개발
3. 홍보ㆍ마케팅
4. 교육훈련
5. 복리후생 증진
6. 사회공헌
제2절 국내 유사사례 분석
1. 공공부문 주도로 추진된 유사사업
2. 민간부문 주도로 추진된 유사사업
제3절 시사점
1. 충실한 사전 준비를 통한 사업의 효과성 제고
2. 장기적ㆍ지속적인 투자
3. 예술가와 창의성과 자율성 존중
4. 전문 매개기관 및 코디네이터의 중요성
5. 조직구성원 및 고객의 적극적 참여 유도
제4장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성과와 한계
제1절 전반적 추진성과 및 유형별 사례 분석
1. 전반적 추진 성과
2. 유형별 사례 분석
제2절 참여자 설문조사를 통한 성과 및 수요 분석
1. 설문조사 개요
2. 참여자의 특성 및 참여 동기
3. 참여 양태
4. 사업에 대한 만족도
5.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
6. 사업의 효과
7. 사업 참여시 애로사항 및 요구사항
제3절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한계 및 주요 이슈
1. 급격한 양적 확대로 인한 질적 저하의 우려 제기
2. 사업 취지에 대한 참여자간 이해 불일치
3. 사업브랜드의 취약성
4. 대상기관 및 프로젝트 유형화의 문제
5. 선정 및 매칭시르템의 문제
6. 프로젝트 관리 방식의 경직성
7. 지원기간 및 지원금액의 적절성
8. 평가시스템의 부재
제5장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발전방안
제1절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정책방향
1. 정책목표
2. 사업구조의 다변화
3.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중장기 전략 설정
제2절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개선과제
1. 참여자 대상 교육 확대를 통한 인식 확산
2. 사업브랜드 제고
3. 온ㆍ오프라인 매칭 시스템 재구축
4. 관리방식의 탄력성 확대 및 평가시스템의 구축
5. 다양한 방법론 및 사례의 개발ㆍ확산
6. 안정적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지원 확대
7. 팀 단위의 단체지원 유형 신설
제3절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확산방안
1. 홍보 강화
2. 관련기관과의 협력적 파트너십의 확대
3. 전문적 에이전시 및 단체의 인큐베이팅 지원
4. 타 사업과의 차별적 포지셔닝 확보
제6장 결론
제1절 연구의 요약
1.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가치와 정책적 필요성 확인
2.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성과와 한계 도출
3.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의 발전방향 제언
제2절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 참여자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