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웹 접근성 & 웹 표준 완벽 가이드

웹 접근성 & 웹 표준 완벽 가이드

(국가표준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는 웹 콘텐츠 개발)

짐 대처, 브루스 로슨, 마이클 버크스, 크리스티앙 하일만, 숀 로튼 헨리, 앤드류 커크패트릭, 패트릭 H. 라우케, 밥 리건, 리차드 러터, 마크 어반, 신시아 D. 와델 (지은이), 노석준, 신승식, 한정민, 현준호 (옮긴이)
에이콘출판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웹 접근성 & 웹 표준 완벽 가이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웹 접근성 & 웹 표준 완벽 가이드 (국가표준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는 웹 콘텐츠 개발)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웹디자인/홈페이지 > 웹기획
· ISBN : 9788960772151
· 쪽수 : 864쪽
· 출판일 : 2011-07-22

책 소개

장애 여부나 연령, 기술 환경 등에 상관없이 모든 웹 콘텐츠를 접근 가능하게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의 개념부터 법률, 지침, 실제적인 접근성 적용 기법, 접근 가능한 웹사이트 구축 사례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상세하게 기술한 완벽 지침서다.

목차

1부 웹 접근성의 영향 이해

1장 웹 접근성 이해
___웹 접근성
______웹 접근성 사례: 대체 텍스트
______기타 웹 접근성 사례
___웹 접근성은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데 필수 요소
___비장애인이 받는 혜택
______고령자
______정보 습득 능력이 낮은 사람과 언어 유창성이 떨어지는 사람
______저대역 인터넷 접속률과 오래된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
______신규 사용자
___상호 의존적인 웹 접근성 구성 요소
______구성 요소
______실행 단계별 접근성
______접근성 지원 부족의 보완
______구성 요소의 통합
_________저작 도구 접근성 지침
_________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_________사용자 에이전트 접근성 지침
___웹 접근성을 준수하기 위한 접근 방법
______처음부터 시작하라
______문제점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라
______장애인을 프로젝트에 참여시키라
_________장애인 고용
_________장애인으로부터의 학습
______접근성과 사용성 간의 관계를 이해하라
______지침의 중요한 역할을 이해하라
______기존 웹사이트에서의 접근성 장애 요소
_________평가에 초점을 두라
_________평가 우선순위를 정하고 영역별로 수정하라
_________장애 요소별로 수정해야 할 우선순위를 정하라
___웹 접근성에 대한 잘못된 오해
______오해: 텍스트 전용 버전은 수용할 만한 해결책이다
______오해: 접근성을 준수한 사이트는 산뜻하지도 않고 재미도 없다
______오해: 접근성을 준수하려면 비용도 많이 들고 힘들다
______오해: 접근성은 전적으로 웹 개발자의 책임이다
______오해: 접근성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것이다
______오해: 평가 도구는 접근성과 표준 준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______오해: 지침은 접근성을 위해 충분하지 않다
___비즈니스 관점에서 본 부가적인 혜택
______기술적인 혜택
_________사이트 개발과 유지 보수 시간 감소
_________서버 부하량 감소
_________상호 운용성 향상
_________고급 기술 수용을 위한 준비
______재정적인 혜택
_________검색 엔진 최적화
_________웹사이트 활용 증진
_________직접 비용 절감
______웹 접근성을 위한 비즈니스 사례
___참여 유도
___정리

2장 웹 접근성 관련 법과 지침
___공공 정책의 진화
___무엇이 문제인가?
___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웹사이트로 인해 발생한 법적 소송 사례
______산호세시에 대한 ADA 소송
______맥과이어와 시드니올림픽조직위원회
_________직접적인 차별
_________부당한 어려움과 개선
_________웹 설계 시 초기 단계에 접근성을 고려할 경우의 효과
___접근성을 고려한 웹 설계 지침 개발과 법률 제정
______법률과 규칙
______산업 표준, 기술 표준, 모범 사례
______W3C의 WAI
______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의 중요도
______재활법 제508조: 미국 웹 접근성 표준
___정리

3장 기업에서의 접근성 구현
___접근성 조직을 구성하는 이유
___접근성 조직의 구성
___접근성 조직의 권한
___접근성 조직의 범주, 목표, 기능
______접근성 인식
_________훈련
_________지식 기반
______피드백
______품질 보증
_________중요 시점
_________기술적인 모니터링
_________주기적인 목표 검토
______지원
______법률적 문제
______표준
______공적인 대표
___구현 방식
______초기 평가(어디에 있는가?)
______구현 계획
______AO로의 이양
___정리

2부 접근 가능한 웹사이트 구현

4장 접근성 관련 기술 개요
___HTML과 XHTML
___CSS
___자바스크립트
___플래시
___PDF
___동기화된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SMIL)
___퀵타임, 윈도우 미디어, 리얼플레이어
___확장 벡터 그래픽
___자바
___XML과 XSL
___정리

5장 보조 공학: 화면 낭독 프로그램과 브라우저
___화면 낭독 프로그램
______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웹페이지와 작동하는 방법
______특수한 화면 낭독 프로그램
_________Hal 사용
_________JAWS for Windows 사용
_________Window-Eyes 사용
___화면을 읽어주는 브라우저와 텍스트 전용 브라우저
______화면을 읽어주는 브라우저
______텍스트 브라우저
___화면 확대
___웹사이트 접근성에 관한 브라우저 검사
______페이지를 분석하는 웹사이트
______페이지를 검사하기 위한 브라우저 설정
______툴바와 패블릿
_________NCAM 접근성 QA 패블릿
_________웹 접근성 툴바
_________미국 재활법 제508조 툴바
___정리

6장 접근 가능한 콘텐츠
___접근 가능한 웹 개발을 위한 지침
______WCAG 1.0
______WCAG 2.0
______미국 재활법 제508조
___이미지에 대체 텍스트 사용
______대체 텍스트에 대한 지침과 표준
_________WCAG 1.0
_________재활법 제508조
_________WCAG 2.0
______이미지의 분류
_________이미지 링크
_________이미지맵 안의 선택 영역
_________이미지 버튼
_________장식 이미지
_________차트와 그래프
______접근성을 갖춘 이미지 링크
______위치 정보와 맥락의 역할
______이미지맵의 선택 영역
_________접근성을 고려한 클라이언트 측 이미지맵
_________대체 텍스트의 스타일
_________접근성이 없는 클라이언트 측 이미지맵
______접근성을 고려한 이미지 버튼
______형식용 이미지나 장식용 이미지의 처리
_________공간 확보를 위한 이미지
_________기타 형식용 이미지
_________텍스트 정보를 반복하는 이미지
_________장식용 이미지
______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이미지의 처리
______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 정리
___오디오에 대체 텍스트 사용
______오디오 관련 지침과 표준
______대본
___색상의 사용
______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하는 색상
______색상 대비
___접근 가능한 표 작성
______배치용 표
_________표의 선형화
_________배치용 표에서 칸의 결합
_________배치용 표와 관련된 지침과 표준
_________선형화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
______데이터용 표
_________데이터용 표와 관련된 지침과 표준
_________단순 데이터용 표
_________다층 데이터용 표
_________불규칙한 데이터용 표
______Caption 요소와 Summary 속성
______보조 공학과 표
_________홈페이지 리더와 표
_________JAWS와 표
_________Window-Eyes와 표
_________접근성 마크업이 없는 표의 경우
______접근 가능한 표 정리
___깜박임 문제
______깜박임에 대한 지침과 표준
______Blink와 Marquee 요소
___정리

7장 접근 가능한 내비게이션
___내비게이션 설계 시 고려할 요소
___읽는 순서
___헤딩 내비게이션
___바로 가기 링크
______바로 가기 링크 작성
_________일반 텍스트 내에 링크를 놓는 방법
_________안 보이는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로 링크를 만드는 법
_________스타일을 이용해 안 보이게 만든 텍스트 링크
_________포커스를 받을 때 링크 드러내기
_________인터넷 익스플로러 6에서 페이지 내 링크의 문제
______보조 공학에서 텍스트 구역을 건너뛰는 방법
_________Window-Eyes에서 링크 건너뛰기
_________홈페이지 리더에서 바로 가기 링크
_________JAWS에서 바로 가기 링크
___프레임 접근성
______프레임의 작동 방식
______보조 공학들이 프레임을 처리하는 방식
______프레임과 포커스
______프레임 정리
___이미지맵 접근성
______클라이언트 측 이미지맵
______서버 측 이미지맵
______복잡한 클라이언트측 이미지맵
______이미지맵 정리
___배치와 내비게이션
___접근 가능한 링크
______링크 내비게이션
______링크 텍스트
___정리

8장 접근 가능한 데이터 입력
___자료 입력 서식과 관련된 지침
___접근 가능한 서식
______서식 요소
_________버튼
_________텍스트 입력 필드와 텍스트 영역
______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서식을 읽는 방식
______제목 텍스트의 위치
______접근 가능한 서식의 좋은 예
_________레이블이 작동하지 않을 때
_________Title 속성 사용
_________여러 개의 컨트롤을 묶어주는 fieldset과 legend 요소
_________레이블로 서식을 감싸는 것은 잘못
_________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___필수 입력 필드, 서식의 오류와 도움말
______필수 입력 서식 필드
______서식 유효성 검사
_________서버 측 유효성 검사
_________클라이언트 측 유효성 검사
______서식 필드에 대한 도움말
___PDF 서식
___청각장애인을 위한 서식 접근성
___시간 제약이 있는 반응
___정리

9장 접근 가능한 웹페이지를 위한 CSS
___스타일시트가 접근성에 도움이 되는 이유
___CSS 기본
______인라인 스타일
______임베디드된 스타일시트
______링크되고 불러오기된 스타일시트
______사용자 스타일시트
______브라우저 스타일시트
___색상과 배경
______배경색과 글꼴색
______배경 이미지
______전경과 배경의 대비
______기타 정보 전달 수단
___텍스트와 글꼴
______글꼴 크기
______텍스트 여백과 들여쓰기
______글꼴 패밀리
______문자와 단어 간격
______대소문자
______텍스트 방향
___이미지 대체 기술
______CSS 활성, 이미지 비활성
______sIFR
______오래된 이미지 대체 기술
______img 태그 사용 시 문제점
______이미지 대체 남용
___레이아웃과 위치 지정
______예제 레이아웃
_________중앙 정렬된 유동 너비 칼럼
_________절대 위치 지정을 사용한 세 칼럼
_________머리글, 바닥글, 무형 칼럼 두 개
______내비게이션 설계
______서식 요소의 보이지 않는 레이블
______목록의 글머리 기호 스타일
______빈 표 셀
___대체 스타일시트
______대체 스타일시트 지정
______스타일시트 교체
______확대/축소 레이아웃
___화면 이외의 미디어
______청각 CSS
______페이지가 있는 미디어
______미디어 특정 스타일시트
___검사와 유효성 검사
___정리

10장 접근 가능한 자바스크립트
___자바스크립트 이야기
___자바스크립트가 좋지 않은 명성을 가진 이유
___자바스크립트의 고려 사항
______사용자의 필요
______동적 자바스크립트 지침
_________브라우저가 아니라 표준을 따르라
_________중요한 태그(마크업)는 자바스크립트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_________코드로 생성된 HTML은 작성된 HTML코드와 동일한 규칙을 따르라
_________방문자와 사용자 에이전트의 제한에 주의하라
_________적은 것이 많은 것일 수 있다
_________관례를 너무 많이 어기지 말라
_________액세스하는 모든 것을 검사하라
_________모두 분리시키라
___눈에 띄지 않는 자바스크립트
______동작 레이어로서의 자바스크립트
______대화형 작업
______룩앤필
______새 창
_________새 창 열기 지침
_________재사용할 수 있는 팝업 스크립트
______요소 가시성
______오래된 기술과 대체 방안
_________document.write
_________
_________href="JavaScript: . . ." 와 onclick="JavaScript:"
_________onclick="void(0)"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명령
_________document.all, document.layers, and navigator.userAgent
_________매개변수가 많은 함수
_________innerHTML
___접근 가능한 서식과 JavaScript
______서식 개선
______서식 유효성 검사
___정리

11장 접근 가능한 플래시
___사용자 요구 조건
______주요 질문
______활용 사례 시나리오
_________진수
_________영애
_________철희
_________수철
_________상아
___기술적 요구 조건
______Flash Player 버전
______플랫폼과 브라우저
______화면 낭독 프로그램
___접근 가능한 Flash 설계의 주요 개념
______컨트롤 레이블
______컨트롤의 역할
______컨트롤의 상태
______컨트롤의 구조
___플래시 접근성 모범 사례
______동등한 텍스트 제공
_________전체 동영상에 동등한 텍스트 제공
_________객체를 접근 불가능하게 만들기
_________자동 레이블링 사용
_________단일 객체에 동등한 텍스트 지정
______맥락 제공
_________동영상 설명
_________상태 노출
______읽기 순서 조정
_________화면 구조 반영
_________탭 인덱스 값 사용
_________액션스크립트를 사용해 읽기 순서 지정
_________읽기 순서에서 객체 제거
_________화면 낭독 프로그램 감지
______애니메이션 조절
______키보드 접근 보장
_________접근을 막는 기술 피하기
_________키보드 단축키 지정
______점진적 노출 사용
______컴포넌트 접근성 활성화
______자막 제공
_________자막이 있는 콘텐츠 불러오기
_________스테이지에 텍스트 직접 놓기
_________XML 자막 데이터 스트리밍
______오디오 재생 제어 제공
______색상의 현명한 사용
______약시 사용자 지원
______플래시를 접근성 있게 임베디드하는 방법
___정리

12장 PDF 접근성
___어도비 리더의 접근성 기능
______문서 색상 변경
______문서 크기 조정
_________PDF 문서 확대/축소
_________가로 스크롤 제거
______자체 읽어주기
______접근 가능한 미디어 지원
______보조 공학 지원
___태그된 PDF
______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 태그된 PDF 작성
_________이미지
_________구조
_________표
_________하이퍼링크
_________목록
_________읽기 순서
_________색상 대비
______인디자인 CS2에서 태그된 PDF 작성
___접근성 수정과 최적화
______태그되지 않은 문서 처리
______스캔된 문서 접근 가능하게 만들기
______태깅 문제 수정
_________읽기 순서 확인과 수정
_________누락된 텍스트 추가
_________헤딩 확인과 추가
_________이미지에 동등한 의미를 지닌 텍스트 추가
_________표 확인과 수정
______아크로뱃의 접근성 검사기 사용
___접근 가능한 PDF 서식
___정리

13장 웹 접근성 검사
___검사가 가능한 것
______동등한 의미를 지닌 텍스트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동기화된 멀티미디어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색상 코딩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스타일시트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중복되는 텍스트 링크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클라이언트 측 이미지맵 사용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표 헤더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복잡한 표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프레임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깜빡거림 비율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텍스트 전용 페이지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스크립팅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애플릿과 플러그인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온라인 서식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건너뛰기 내비게이션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___응답시간이 제한돼 있는 반응
_________알고리즘
_________판단
___웹 접근성 검사 소프트웨어
______Bobby 5.0
_________Bobby에서 사용할 검사 선택
_________Bobby에서 파일 분석
_________Bobby 검사 결과 검토
_________Bobby에서 보고서 서식 선택
______InFocus
_________InFocus에서 사용할 검사 선택
_________InFocus에서 파일 분석
_________InFocus 검사 결과 검토
_________InFocus에서 보고서 서식 선택
______LIFT Machine
_________LIFT에서 사용할 검사 선택
_________LIFT에서 파일 분석
_________LIFT 검사결과 검토
_________LIFT에서 보고서 서식 선택
______Ramp Ascend
_________Ramp에서 사용할 검사 선택
_________Ramp에서 파일 분석
_________Ramp 검사 결과 검토
_________Ramp에서 보고서 서식 선택
______WebKing
_________WebKing에서 사용할 검사 선택
_________WebKing에서 파일 분석
_________WebKing 검사 결과 검토
_________WebKing에서 보고서 서식 선택
______WebXM
_________WebXM에서 사용할 검사 선택
_________WebXM에서 파일 분석
_________WebXM 검사 결과 검토
_________WebXM에서 보고서 서식 선택
___검사 파일 세트와 결과
______검사 스위트
______결과 정리
___정리

14장 WCAG 2.0 소개
___표준과 지침
___WCAG 2.0 개관
___WCAG 2.0이란?
______원리와 지침
_________원리 1
_________원리 2
_________원리 3
_________원리 4
______성공 기준
______기법 문서
___WCAG 2.0 지침의 사용 예
___WCAG 2.0의 장점과 우려
______장점
______우려
_________100% 측정 가능하지는 않다
_________점진적이라기보다 혁신적이다
_________기저선과 준수
_________기타 우려 사항
___미국 재활법 제508조와 WCAG
___정리

15장 재수정 사례 연구: 대학 웹사이트 재설계
___재설계 이전의 사이트
______문제점
______초기 수정
___재설계
______초기 계획 단계의 결정사항
_________왜 웹 표준인가?
_________왜 HTML이 아닌 XHTML인가?
_________왜 표에서 벗어나는가?
______사이트 구조: 재고 늘리기
______페이지 템플릿 구성하기
_________페이지 구조 계획하기
_________템플릿 스타일하기
_________콘텐츠 가져오기
______역동적으로 만들기
______검사와 사이트 게시
___설계가 기존 문제를 해결하는가?
___재설계 중 겪은 문제점과 교훈
___새로운 설계 구현
___정리
___3부 접근성 법률과 정책


___16장 미국 웹 접근성 관련 법률
___ADA와 인터넷
______1973년의 재활법 제504조
______접근 가능한 웹과 관련한 ADA에 대한 오해
______ADA의 인터넷에의 적용
______주 정부와 지방 정부 웹사이트의 접근성
______ADA 준수 과정 소개
______현행 ADA 소송 법률
_________마틴 대 MARTA(Metropolitan Atlanta Transportation Authority) 화해
_________Access Now 대 Southwest Airlines 화해
_________Hooks 대 OKBridge
_________기타 ADA 소송
______선별된 ADA에 근거한 웹 접근성 관련 고소
_________미국 교육부의 시민권 담당국
_________AOL(America Online)
_________온라인 뱅킹 화해
_________온라인 투표
_________온라인 IRS 세금 정산 서비스 화해
_________신용카드 회사의 월간 명세서
______웹사이트와 세금 사기
______웹사이트와 미국 법무부의 시민 접근 프로젝트
______여행사 웹사이트 화해합의서
___1996년 통신법 제255조
___전자 및 정보 기술 접근성 표준(미국 재활법 제508조) 개요
______대통령에게 제출된 연방 정부 접근성 보고서
______미국 접근성위원회 표준 지침
______웹 개발자가 재활법 제508조를 준수해야 하는 경우
___웹 개발자나 정책 입안자와 관련된 주요 법률적 문제
______미국 교통부의 입법예고
______전자 서식
______애플릿, 플러그인, 애플리케이션
______PDF와 게시된 문서
______멀티미디어, 오디오 방송과 자막
______웹 접근성이 준수되지 않는 콘텐츠로의 연결
___정리

17장 전 세계의 접근성 법률과 정책
___네덜란드
___노르웨이
___뉴질랜드
___덴마크
___독일
___룩셈부르크
___벨기에
______블라인드서퍼 프로젝트
______접근 가능한 웹사이트를 위한 플랑드르 계획
______왈론 정부
___브라질
___스웨덴
___스페인
___싱가포르
___아일랜드
___영국
___오스트리아
___유럽연합
______전자 유럽과 i2010 계획
______EU 웹 접근성 벤치마킹 클러스터
___이탈리아
___일본
______JIS X 8341-3 표준
______일본의 정책 개발
___캐나다
___태국
___포르투갈
___프랑스
___핀란드
___한국
___호주
______장애차별금지법
______정부의 웹사이트 표준
______은행과 AIMIA 웹사이트
___홍콩
___정리

4부 부록

부록 A 용어 사전
부록 B 전기와 정보 공학을 위한 재활법 제508조 표준 가이드
부록 C 접근성 있는 웹사이트 구축 모범 사례 지침(PAS 78) 개요

저자소개

짐 대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미시간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컴퓨터과학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박사학위 중 하나다. 그 후 자신의 학위 논문 지도교수인 제시 라이트와 함께 뉴욕 주 요크타운 하이츠에 있는 IBM Research의 수학과(에 합류했다. 연구 분야는 수리컴퓨터학, 오토마타 이론, 데이터 추출이었다. 자신과 장애인인 라이트와 시각장애인들이 PC에 접근 가능한 방법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을 때 추상적인 연구 분야에서 실제적인 연구 분야로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 결과, 1986년에 최초의 DOS용 화면 낭독 프로그램 중 하나인 IBM 스크린 리더를 개발했다. 그 후 PC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최초의 화면 낭독 프로그램인 OS/2용 IBM 스크린 리더/2의 개발(1991)을 주도했다. 1996년 텍사스 주 오스틴에 있는 IBM 접근성 센터에 합류하기 위해 뉴욕의 연구소를 그만 뒀다. 그곳에서 특히 IBM 개발 팀을 위한 IBM 접근성 지침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했다. 재활법 제508조 표준을 제안하기 위해 접근성 위원회에 의해 구성된 EITAAC(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ccess Advisory Committee)의 부의장을 역임했다. 또한 소프트웨어 표준 에 관한 소위원회 의장을 맡았다. 재활법 제508조를 지원하기 위해 미국조달청과 교육부가 지원한 ITTATC(Information Technology Technical Assistance and Training Center)에서 사용할 재활법 제508조를 위한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for Section 508)에 관한 강좌를 열었다. 37년간 IBM에 근무하는 동안 기술적인 연구에 대한 업적으로 수많은 상을 받았다. 1994년 NFB(The National Federation of the Blind)로부터 공로상과, 교육부와 공동으로 소프트웨어 접근성 표준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1999년 미국 부통령으로부터 해머상을 수상했다. 2002년 glasshaus에서 출판되고 2003년 Apress에서 재판된 『접근 가능한 웹사이트 구축하기(Constructing Accessible Web Sites)』의 공저자다.
펼치기
브루스 로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전에 이스탄불에서 가수, 기타리스트, 타로 카드 점술사, 캘커타에서 자원 약사, 봄베이에서 영화 엑스트라, 타이에서 공주 딸의 유치원 선생과 가정교사가 되기 전에 배우이자 영화감독으로, 그리고 AT&T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현재 웹 표준 프로젝트의 접근성 실무 팀 회원인 브루스는 영국표준원의 PAS(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 78 - '접근 가능한 웹사이트 구축 모범 사례 지침(Guide to Good Practice in Commissioning Accessible Websites)'의 검토자 중 한 사람이다. 웹 표준에 있어 관심사는 철학적(훌륭한 기술자는 올바른 도구를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한다)이며 실제적(나는 구글을 좋아하는데, 더 작은 페이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이다. 접근성에 있어 관심사는 약간의 이기심이 있는데, 1999년에 다중경화증을 진단받았다. www.brucelawson.co.uk에서 블로그를 하며, 따뜻한 곳에서 살기를 원했지만 영국에서 산다.
펼치기
마이클 버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자 및 정보통신 공학의 접근성에 대해 연구하는 재활법 제508조 분석가로 활동 중이다. 또한 장애 관련 자원과 정보를 장애 문제를 다루는 사람들에게 제공해주는 비영리단체인 ICDRI(International Center for Disability Resources on the Internet, www.icdri.org)의 웹마스터 겸 공공정보국장이다. Internet Society(www.isoc.org)에서 장애 문제에 관해 연구 중이며, 전 세계에서 웹 접근성과 장애 문제에 관한 프레젠테이션을 행하고 지침서를 가르친다.
펼치기
크리스티앙 하일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에서 성장했으며, 1년 동안 적십자사에서 장애인들과 함께 일한 후에 라디오 프로듀서를 1년간 역임했다. 1997년 이후 뮌헨에 있는 일부 기관들에서 웹 개발자로 일했다. 2000년에 Etoys에서 일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왔는데, 미국에서 어질리시스(Agilisys)에 있는 개발 부서를 이끌었다. 2006년 4월에 야후! UK에 웹 개발자로 입사했다. 거의 매일 www.wait-till-i.com에 블로그를 게시하고 있으며, www.icant.co.uk에 논문저장소를 운영 중이다. 웹 표준 프로젝트의 DOM 스크립팅 특별위원회 회원이다.
펼치기
숀 로튼 헨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애인들을 위한 웹 접근성을 증진하는 W3C에서 전 세계 교육과 홍보 활동을 담당 중이다. 웹 개발자들이 웹 접근성 지침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한 온라인 자원을 개발 중이며, WAI(Web Accessibility Initiative)에 접근 가능한 웹 설계에 관한 프레젠테이션과 훈련을 제공한다. HFES(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UPA(Usability Professionals' Association), HCI(Computer-Human Interaction), 웹 디자인 월드 등 전 세계의 많은 컨퍼런스에서 웹 접근성과 사용성에 관한 프레젠테이션과 논문을 발표했다(http://uiaccess.com/pres.html). 출판물로는 『모든 사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s for All)』라는 책의 '모든 사람을 인터페이스하라(Everyone Interfaces)'라는 단원을 집필했고 『사용자 중심 설계 과정에서의 접근성(Accessibility in the User-Centered Design Process)』과 기타 온라인 기고문(www.uiaccess.com/pubs.html)을 작성했다. W3C의 WAI에 합류하기 전에 국제 표준 단체, 연구소, 정부기관, 비영리조직, 교육제공자, 포춘 500 회사들에게 사용성과 접근성을 위한 설계를 최적화하기 위한 전략들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게 자문해줬다(www.uiaccess.com/experience.html). 보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와 '활용 가능한 접근성(usable accessibility)'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UIAccess.com을 개발했다. MIT의 CSAIL(Computer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의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며, 매사추세츠 주의 전화번호를 가졌지만 실제로는 위스콘신 주 매디슨에 산다. 일을 하지 않을 때 종종 카약을 즐긴다.
펼치기
앤드류 커크패트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도비 시스템즈의 제품 간 접근성 엔지니어로 재직 중이다. 어도비에 입사하기 전 매크로미디어의 선임 접근성 엔지니어, 그리고 AOL, 야후!, BT, 애플, 매크로미디어 등의 기업체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접근성 컨설팅에 초점을 맞춘 보스턴 소재 WGBH의 NCAM(National Center for Accessible Media) 기술이사였다. NCAM에서 기업체 고객들과 활동한 것뿐만 아니라 웹과 상호 작용 미디어 접근성에 중점을 둔 프로젝트들을 관리했으며, MAGpie(자막과 오디오 설명을 제작하는 NCAM의 소프트웨어)의 생산관리자와 STEP(NCAM의 (접근성) 오류 우선화 간편 도구) 개발자였다. 또한 웹 접근성 컨설팅 기관인 커크패트릭 컨설팅의 선임연구원이다. 아름다운 아내와 이 세상에서 가장 귀여운 세 아이와 함께 매사추세츠 주에 산다.
펼치기
패트릭 H. 라우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체 기관의 부서 웹 저작자들에게 개발, 훈련, 조언을 제공하는 샐퍼드 대학의 웹 편집자로, 조그마한 중앙 웹 팀을 이끌고 있다. 2003년 최초의 웹 표준 기반, XHTML/CSS 기반의 영국 대학교 웹사이트 중 하나를 구축했다. 2001년 초부터 다양한 웹 개발과 접근성 관련 메일링 리스트와 포럼에 정기적으로 기고하며, Accessify.com(www.accessify.com)와 Accessify 포럼(www.accessifyforum.com)의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 중이다. 2005년 WaSP ATF(Web Standards Project Accessibility Task Force, www.webstandards.org)에 참여하는 등 접근성에 관한 토론에 참여해 왔다. 여가 시간에 사진에 열정을 쏟으며, 소규모 웹/설계 컨설팅 기관(www.splintered.co.uk)을 운영한다. 스위스의 취리히에 있는 ETH(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2년간 컴퓨터과학을 공부한 후 그래픽 설계로 전과해 학사학위를, 샐퍼드 대학의 창의공학과(Creative Technology)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웹 설계와 개발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기술과 창의적인 분야로 연구 영역을 넓혀가는 중이다. 숨김없이 말하는 접근성과 표준 옹호자(동료 중 몇 사람에 의해 약간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전도사(evangelist)'라 불리어 왔다)인 패트릭은 순수하게 이론적이고 고차원적인 논의보다는 웹 접근성에 대해 실용주의적인 실천적 접근법을 선호한다. '나는 본질적으로 이상주의자이지만 직업상으로는 실용주의자다. 나는 결코 나 자신을 전문가로 분류하지 않으며, 확실히 모든 대답을 가지고 있지도 않다. 나는 단지 실제로 조치가 취해져야 할 실세계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노력하는 고집 센 남자다.'
펼치기
밥 리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도비 시스템즈의 수직시장(vertical markets) 솔루션 설계자다. 교육, 정부, 금융서비스, 제조업, 원격 통신, 생명과학 시장을 위한 기술적인 주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중이다. 디지털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일하는 고객들의 특별한 요구, 도전, 성공을 연계시키는 것이 그의 책무다. 고객들이 경험을 수집하고, 고객들을 생산 조직과 의사소통시키며, 이런 요구 조건에 기초한 해결책을 조합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해 각 팀과 함께 일한다. 소프트웨어 세계에서 접근성 옹호자로서의 첫 번째 역할은 계속해서 그의 일상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현재 어도비에서 생산물 설계에서 엔지니어링까지, 콘텐츠 저작에서 최종 사용자까지 접근성 문제를 자세히 살펴보고 있는 훨씬 더 큰 팀의 일원이다. 웹은 우리들 모두에게 위대한 경험임을 보장하는 것이 그의 거대한 열정이다.
펼치기
리차드 러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0년 동안 상업 사이트를 개발해왔다. 2000년에 시트리아(Citria)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팀장으로 입사했으며, 그곳에서 유럽 내 세 사무실에 있는 15명의 직원들에게 웹 표준을 소개했다. 바클레이 카드 사를 포함한 고객들을 위한 거대 전자 상거래 프로젝트, 전체를 CSS로 구축하고 영국 RNIB(Royal National Institute of the Blind)의 접근성 요건을 준수한 최초의 상업 사이트인 금융 포털의 프로듀서였다. 시트리아 에서 2년간 근무한 후 멀티맵(Multimap)에 입사했다. 웹 표준을 사용하는 멀티맵의 매우 성공적인 웹사이트를 재구축하며, 해당 사이트를 훨씬 더 많은 대중이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책무를 맡았다. 멀티맵에 근무하는 동안 포드 유럽, 옐(Yell), BT 등 주요 고객 사를 위한 접근성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현재 접근 가능한 웹사이트에 전문화돼 있는 웹 컨설팅업체인 클리어레프트(Clearleft)의 공동 설립자며, PD(Production Director)다. 또한 『블로그 설계 해법(Blog Design Solutions)』이라는 책의 공저자다. 좀 더 사적인 측면은 접근성과 웹 표준 문제뿐만 아니라 음악과 산악자전거 타기의 열정에 대한 글을 쓰고 있는 인기 있는 블로그인 Clagnut.com에서 발견할 수 있다.
펼치기
마크 어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노스캐롤라이나 주지사의 장애인자문위원회(North Carolina Governor's Advocacy Council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의장이다. ICDRI(International Center for Disability Resources on the Internet, www.icdri.org) 회원이며 전임 이사회의장이고, 국제정보통신공학표준위원회, V2(IT 접근성 인터페이스)의 회원이며 전임 부위원장이다. ADA 시행 동안 지방자치단체의 최고책임자였으며, 미 해군 재향군인이다. 노련한 기술 설계사이며 IT 정책 개발자다. 현재 연방, 주, 지방 공공기관과 그들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들에게 접근성뿐만 아니라 접근성과 관련된 IT와 장애 문제에 관한 프로젝트의 관리와 컨설팅을 한다. 협조적인 친구와 가족, 두 마리의 고양이, 두 마리의 치와와와 함께 노스캐롤라이나 주 랠리에서 산다. 이 책을 자신의 노고를 격려해 준 이들에게 바친다.
펼치기
신시아 D. 와델 (지은이)    정보 더보기
ICDRI(International Center for Disability Resources on the Internet)의 상임이사다. 장애인의 사회 참여에 저해가 되는 장애요인을 확인하고 세계 공동체를 위한 테크놀로지의 우수 활용 사례와 보편적 설계를 증진함으로써 장애인의 사회 참여 기회를 증진한다는 ICDRI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 리더십과 프로젝트 관리를 제공 중이다. 접근성 분야에서 전자 및 정보통신 공학뿐만 아니라 고용과 건설 분야에서 국가적으로 그리고 세계적으로 널리 인정받는 전문가다. 1998년에 Webgrrls International에 '웹에서 저명한 세계 25명 여성'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린 그녀는 2003년에 접근성 공학에서의 리더십과 해당 분야에 대한 선도적인 옹호와 교육에 기여한 공로로 처음으로 미국정부공학지 상을 수상했다. 무료인 Cynthia Says 웹 접근성 도구와 포털은 그녀의 이름을 따라 지었으며, 미국시각장애인협의회에 의해 승인됐다. Cynthia Says 포털(www.cynthiasays.com)은 ICDRI, 인터넷협회 장애 및 특수요구분회(The Internet Society Disability and Special Needs Chapter), 그리고 HiSoftware가 연합한 교육과 홍보(Education and Outreach) 프로젝트다. 장애인 공동체를 위해 웹상에 있는 정보에 대한 접근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신시아는 연방정부에 의해 우수 사례로 인정받았으며, 전자 및 정보통신 공학 접근성 표준(재활법 제508조)을 포함한 법률의 최종 통과에 기여한, 미국 내 최초의 접근 가능한 웹 설계 표준을 작성했다. 그녀의 뛰어난 논문 '장애인들을 위한 접근에서 점차 커지는 디지털 격차: 참여를 위한 장애 극복(The Growing Digital Divide in Acces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vercoming Barriers to Participation)'은 클린턴 행정부로부터 위탁을 받았으며, 외국 정부, 사업체, 대학교, 장애인 단체, 그리고 전 세계 여러 기타 기관들에 의해 번역되고 인용됐다. 장애인 법률, 공공 정책, 그리고 테크놀로지 분야에서 그녀의 전문적인 지식을 정부, 고등교육기관, 사업체에 대한 교육과 전문적인 컨설팅 서비스에 결합시킨다. 상을 받은 정보 포털의 접근성 품질 보증 책임자로 일하고 있으며, 테크놀로지 업체들에게 재활법 제508조 VPAT(Voluntary Product Accessibility Template)에 관한 지원을 해주고 있다. 여러 기관에서 활동하는 그녀는 국제재활협회의 상임위원회인 ICTA(International Commission on Technology and Accessibility) 북미지역 의장과 인터넷협회 장애 및 특수요구분회 부회장이다. 신시아의 업무는 접근 가능한 정보통신공학(ICT) 분야 전문가로서 UN과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국제 협약을 마련 중인 기관들에 대한 컨설팅이 포함된다. 이런 예로는 포르투갈이 1999년에 웹사이트를 위한 포르투갈 접근성 지침을 채택하게 한 포르투갈접근성위원회의 참여를 들 수 있다. 2003년에 부시행정부의 고용과 기술에 관한 영국-미국 전문가 회의 교류를 위한 접근 가능한 테크놀로지 전문가로 일했다. 이런 교류를 통한 여러 해 동안의 연구 결과물이 '영국의 디지털 경제 활성화 - 가상 싱크탱크'다. 게다가 유럽위원회와 유럽 장애인 포럼이 초청한 2001 '전 유럽 장애인의 날을 위한 설계'에 참가한 유일한 미국 측 발표자였다. 미국과 해외의 많은 정부, 대학교, 그리고 산업체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해왔다. 예를 들어 2005년에 Pacific Rim 컨소시엄이 초청한 'UN 정보사회 세계정상회의'에서 기조 연설을 했다. 2004년에 워싱턴에 있는 장애와 원격 교육을 위한 전미회의에서 발표했으며, 일본 도쿄에서 열린 ICT 심포지엄과 일본공업규격에 처음으로 접근 가능한 웹 요건을 포함시키는 것과 관련한 일본의회 의원 모임에서도 발표했다. 또한 생산물, 서비스, 그리고 환경에 대한 접근을 위한 EU '모든 사람을 위한 접근성'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프랑스 니스에서 열린 이벤트인 '모든 사람을 위한 접근성' 컨퍼런스에서 유럽연합 표준화 단체들을 대상으로 기조 연설을 했다. 모교에서 법학강사로 재직 중이며 산타클라라 대학의 법과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공익장애인권학자이며,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고용법률센터를 위한 댄 브래들리 특별회원에 임명됐다. 잉글랜드 엑세터 대학의 국제로터리재단특별회원이자 잉글랜드 캠브리지대학교 USC-캠브리지 대학교 학자이기도 하다. USC에서 우등으로 학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노석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학부와 인디애나대학교 교수체제공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세부 전공인 교육공학, 특히 교수설계와 원격교육을 부전공인 인지과학, 특수교육과 접목하는 웹 접근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공학, 특히 이러닝 콘텐츠 설계와 웹 접근성 관련 연구들을 수행 중이며, 『보편적 학습설계: 접근 가능한 교육 과정과 디지털 테크놀로지』(한양대학교, 2010), 『통합교육을 위한 보조공학』(동문사, 2010) 등의 역서도 출간했다. 2005년 이후 성신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특히 웹 접근성과 관련해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제정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웹 접근성 관련 특강을 행하며, 웹 접근성 연구소 자문위원, 웹 접근성 품질마크 실무위원회 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펼치기
신승식 (감수)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인지심리학을 공부했으며, 현재는 LG전자 러닝센터에서 온라인 교육 업무를 담당한다. W3C의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처음으로 한국에 소개한 후로 웹 콘텐츠 제작 기법 제작,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제작 등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을 전파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그 밖에 오픈소스를 이용한 업무 혁신, 소셜 웹을 이용한 협업, 컴퓨터를 이용한 작곡, 피아노 연주 등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한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라이프스타일 관련 수입수출 브랜드 코코로코의 대표로 디자인과 패션, 쇼핑, 요리, 와인, 여행, 스포츠 등 여러 문화 컨테츠에 관심이 많다. 바느질을 좋아하여 유학시절 미싱기를 구매하여 직접 옷과 소품 등을 만들기도 하였다.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하며 요리를 접했다. 특히 푸드 스타일링에 관심이 많아 눈으로 먼저 즐길 수 있는 애피타이저나 디저트를 직접 요리하기도 한다. 번역서로는 『500 브렉퍼스트 & 브런치』, 『500 디저트』, 『500 컵케이크』,『헬로, 안드로이드』, 『IT 개발자가 쓴 인간관리 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현준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정보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2007년에 수료했다. 2002년부터 한국정보화진흥원(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정보 접근성 분야의 정책 개발 지원, 표준화 및 연구 등의 업무를 수행 중이며,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금융자동화기기 접근성 지침 1.0' 등 정보통신 접근성 분야 표준화 작업 시 간사를 역임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