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0920842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09-07-1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머리말
논쟁에 대해
1장 경고: 모든 성경적-신학적 방법론과 범주가 다 좋은 것은 아니다
2장 이신칭의 교리에 있어 언약과 법정적 이미지 사이의 관계성
3장 칭의의 법정적 역학 관계와 하나님의 의의 의미
4장 칭의의 법정적 역동성과 실재하는 도덕적 의의 필요성
5장 칭의와 복음: 언제 예수의 주되심이 복된 소식이 되는가
6장 칭의와 복음: 칭의는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신분을 결정하는가
7장 칭의 교리 안에서 우리 행위의 장소
8장 라이트는 개혁주의 전통이 의미하는 “전가 교리”와 반대되는 다른 말을 하고 있는가
9장 제2성전 유대주의와 바울의 구조적 연속성
10장 민족적 표지와 자조적 도덕주의라는 단일한 독선적 자의의 근원으로서 칭의에 암시되어 있는 결과
11장 우리로 하여금 그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라
결론
부록의 목적에 대한 설명
부록1 이스라엘이 믿음이 아니라 행위를 의지함으로 “법에 이르지 못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부록2 갈라디아서 3장에 나타난 율법과 믿음에 대한 소고
부록3 갈라디아서 5장 6절과 믿음과 사랑의 관계성에 대한 소고
부록4 율법을 적법하게 쓰는 것
부록5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교리가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올바른 지위에 있어 십자가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암시하는가
부록6 율법 요구의 성취가 의미하는 열두 가지 논제
책속에서
제 결론은 칭의의 의미와 기초에 대한 라이트의 입장이 "내용적으로 그리고 본질적으로"개혁주의 전통이 오직 그리스도의 보혈과 의를 통한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는 "전가된 의"라는 용어로 확증해 왔던 정의 교리의 그것과 전혀 똑같지 않다는 것입니다. 물론 라이트는 자신이 오류를 범했다는 사실은 증명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할 것입니다. 전통이 아니라 성경이 결정적인 기준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물론입니다. 표준은 성경입니다. 저는 이 점에 있어 라이트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제 소망은 제한된 본서의 지면을 통해 제공된 제 설명과 주석 그리고 여기 인용된 다른 이들의 설명이 저의 결론이 설득력 있는 것임을 증거해 줄것이라 확인합니다. -20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