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힐링 > 마음 다스리기
· ISBN : 9788961092371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3-09-10
책 소개
목차
제1장 타인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불가능성
1. 솔직한 자신은 실현 불가능하다
1)나를 받아들여 줘!
2)자신을 은폐 = 인기를 얻으려는 노력
3)사기꾼의 이미지 조작 테크닉
4)솔직한 나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2. 자신을 망치는 진짜 나
1)그래도 역시 솔직한 나를!
2)만의 번뇌, 작동개시
3)드러낼 수 있는 상대는 애인이나 가족 정도밖에 없다
4)‘진짜 나’는 탐진치의 삼독
5)아이덴티티는 집착이라는 번뇌의 도돌이표
6)자신이라는 암흑 영역을 깎아내다
제2장 잔혹한 인기 게임의 무대 뒤
1. 마켓에 의한 번뇌 스트레스’로의 유혹
1)연애자본주의의 허
2)‘인기를 모아라’라는 명령
3)인기 테크닉 해부
4)인기 테크닉은 정신병 예비군으로의 초석
2. 인기 게임에의 참가 유형
1)네 가지 참가 유형
2)특별함 침해에 대한 복수
3)특별한 한 사람과 불특정 다수 사이의 간극
제3장 자기애를 둘러싼 고뇌 메커니즘
1. 비교 자극은 멈출 수 없다
1)뇌 속의 이미지 고정화 작용
2)자기와 자기를 비교하는 마술
3)아승만보다 위험한 아열만 자극
2.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
1)식온 : 인식 속에 자아는 있는가?
2)상온 : 기억 속에 자아는 있는가?
3)수온 : 자극 속에 자아는 있는가?
4)행온 : 충동적인 사고 반응 속에 자아는 있는가?
5)자극의 노예
6)무아를 들키지 않도록
7)인간에게 장착된 자극 장치와 속임 장치
3. 번뇌 상태의 사례 연구
1)자신이라는 환각에 의한 관계의 왜곡
2)싫다 = 화의 경우
3)번뇌의 간청 작용
4)좋아한다 = 욕의 경우
5)만의 슬픈 사랑 이야기
4. 괴로움을 해부한다
1)뇌 속의 변환 프로그램 정지 백신
2)괴로움과 쾌락의 위험한 관계
3)손에 넣어도 계속되는 괴로움
4)채찍질 프로그램
5)왕과 노예
6)괴로움과 자신의 노예 관계에서 자유로워지다
7)노예 상태에 있는 생명에게 자비를
8)뇌 속 변환 프로그램 정지의 실천
9)패턴 개선으로 성격 개선
제4장 번뇌의 검은 막 : 무력감
1. 사회사적 무력감
1)세 개의 무력감
2)사회사적 무력감
3)오리지널은 없다
4)‘자기답게 사세요’라는 무책임
5)인터넷상의 친구 계약
6)남성도 자신을 상품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2. 개인사적 무력감
1)가족에게서 심겨진 무력감
2)욕과 화로 넘치는 갓난아기의 번뇌
3)부모에게 인기를 얻기 위한 자기 세뇌
4)불도식 육아 포인트
5)유소년기의 친구에 대한 가상 연애
6)모두 선생님의 편애를 받고 싶어 한다
7)착한 아이 플레이
8)학급반장 기질
9)정말로 하고 싶은 것은 정말로 하고 싶은 것?
10)사이비 쿨 기질
3. 무아의 자유
1)숨겨진 무아의 진실
2)어떤 자극도 전부 괴로움
3)바람기 메커니즘의 사례 연구
4)애인이 바람난 사람의 심리
5)바람기는 어릴 적에 경험한다
6)상품 가치 대폭락
7)바람피우는 사람의 심리
8)바람의 착각 겨냥도
9)상품 가치에 대한 집착을 버린다
10)자극 → 쾌락 변환 프로그램의 덫
11)변환 프로그램 정지 스위치 깨달음
12)경계치를 넘었을 때 변환 프로그램은 터진다
13)죽을 때까지 어중간해도 좋은가?
14)자극 게임에서의 탈출
15)판단기준은 고의 증감
16)사람을 미치게 하는 구조
17)무아의 자유로
후기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모두 ‘겉치레의 갑옷을 벗고 무장 해제한 자신’을 누군가가 받아들여 줬으면 하고 굶주려 있다. 현대인에게 “정말로 원하는 게 무엇입니까?”라고 물으면, 그 대답은 일에서의 성공이 될 수도 있고, 자기 집을 갖는 것이 될 수도 있고, 놀고먹으며 지낼 수 있을 만큼 많은 돈을 버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충족되더라도, 만약 ‘누구도 나를 받아주지 않아. 사실은 아무도 나를 인정해주지 않는 게 아닐까?’ 하고 쓸쓸한 생각을 하게 된다면 결국 하루하루가 비참하고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을까?
우리는 언제나 24시간 밤낮으로 겉모습을 꾸미고 있을 정도로 재주가 뛰어나지 않다. 다시 말해 겉모습을 꾸미고 불망어계를 깨는 것으로 인해 마음의 모순은 더 커진다. 따라서 어떤 시점에서 스트레스가 한계점까지 달했을 때 반동이 생길 운명에 놓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