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61373197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07-12-24
목차
1.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1)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1-1.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詩學
1-2. 작시원리의 근본은 분별력
1-3. 작시술의 영감설과 모방설
1-4. 창작의 구성론과 성격론
1-5. 플롯은 사건의 결합
1-6. 작시술은 남다른 재능이 있어야 한다
1-7. 시인이란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1-8. 시인은 모방자이다
1-9. 작시술에서 비유를 중시
1-10. ‘연민과 공포’의 카타르시스
2) 동서양의 시문학 이해
2-1. 한국 시사와 향방向方
2-2. 김소월의 진달래 꽃
2-3. 중국문학은 시詩에서 시작된다
2-4. 두보는 민중을 위한 시인
2-5. 이백은 칠언절구시의 최고봉
2-6. 귀거래사를 노래한 도연명
2-7. 기독교 시를 쓴 서광계
2-8. 러시아 문학의 거장 ‘푸슈킨’
2-9. 아내에게 바친 ‘릴케’의 헌시
2-10. 워즈워스의 ‘하늘의 무지개를 보면’
2. 시란 무엇인가
Ⅱ-1. 시란 무엇인가
Ⅱ-2. 공자는 시에 대하여
Ⅱ-3. 시는 읽는 즐거움이 있다
Ⅱ-4. 시를 ‘표현설’로 본 워즈워스
Ⅱ-5. 시와 시가 아닌 것을 구분하는 방법
Ⅱ-6. 시의 난해성에 대하여
Ⅱ-7. 시의 본질은 변한 적이 없다
Ⅱ-8. 시인은 언어 마술사이다
Ⅱ-9. 시인의 눈과 과학자의 눈
Ⅱ-10. 시인은 시에 미쳐야 한다
Ⅱ-11. 부학시무이언을 말한 ‘공자’
Ⅱ-12. 시의 대상은 우주의 본질
Ⅱ-13. 시는 말로 그린 그림이다
Ⅱ-14. 시와 시조의 차이에 대하여
3. 시 쓰기를 위한 전제
Ⅲ-1. 어법의 모법인 <국어기본법>
Ⅲ-2.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규정?
Ⅲ-3. 시 쓰기의 목적과 자세
Ⅲ-4. 시 쓰기의 문제의식
Ⅲ-5. 시 쓰기와 독서의 연관성
Ⅲ-6. 시적 어법 이해
Ⅲ-7. 시 쓰기와 지혜
Ⅲ-8. 시 쓰기와 이성적 사고
Ⅲ-9. 자유화소와 의존화소
Ⅲ-10. 시 쓰기의 스타일
Ⅲ-11. 시학의 효용론과 모방론
Ⅲ-12. 시 쓰기와 저작권법
4. 시를 어떻게 쓸까
Ⅳ-1. 시를 어떻게 쓸까
Ⅳ-2. 연상훈련과 시 쓰기
Ⅳ-3. 시어의 특징과 운율
Ⅳ-4. 시의 가장 큰 특징은 리듬과 의미
Ⅳ-5. 묘사시는 언어로 그리는 그림
Ⅳ-6. 시 쓰기의 이미지와 아니러니
Ⅳ-7. 시 쓰기의 초현실기법
Ⅳ-8. 시 제목붙이기
Ⅳ-9. 시의 첫머리 쓰기
Ⅳ-10. 시의 마무리 쓰기
Ⅳ-11. 자유시와 정형시
Ⅳ-12. 서정시와 서사시
Ⅳ-13. 난해한 시와 쉬운 시
Ⅳ-14. 무거운 시와 가벼운 시
Ⅳ-15. 시 쓰기의 조사와 의존명사
Ⅳ-16. 시 쓰기의 문장 부호사용
Ⅳ-17. 시 쓰기의 퇴고
5. 한국 현대시 밟아보기
1)현대시 밟아보기
1-1. 삶에 대한 성찰
1-2. 현실비판과 민중의식
1-3. 내면세계에 대한 성찰
1-4. 사회현실의 참여
1-5. 이별과 사별의 아픔
2)조성연의 시세계
2-1. 유년의 그리움
2-2. 파랑새를 찾아서
2-3. 아버지와 아들
2-4. 당신이 찾는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