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88961410021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07-06-28
책 소개
목차
1장 왕실의 질병과 건강보조법
왕들의 직업병 1위는 종기
세종대왕이 임질(淋疾)로 고생했다니
탈영실정(脫營失精)과 흥국영, 연산군
인현왕후의 폐결핵
실녀병은 독수공방하는 궁녀들의 직업병
왕의 대변은 왜 따로 처리했나
왕실의 온천욕
궁중 여인들의 쑥 목욕법
왕실의 유모 선택법
원자의 친구, 배동(陪童)은 왜 필요한가
간택을 거쳤지만 불임 왕비가 많았다
왕의 불임
2부 음식으로 보는 궁중건강법
왕들의 보양식은 검은색 음식
왕이 마시는 물, 백비탕
소심과 지장수, 납설수
왕세자의 두뇌 보양식
궁중 최고의 태교음식, 붕어와 잉어
정조 임금과 담배
도루묵과 조기
왕들은 술을 얼마나 마셨을까
왕실의 건강요리에 필수적인 표고버섯
탕평채(蕩平菜)를 아십니까
아무나 먹을 수 없었던 우유, 타락죽
왕은 겨울에도 상추쌈을 먹었을까
고종 임금과 커피
3부 왕실의 건강을 챙기기 위한 약, 비방
더위를 물리치는 비방, 제호탕
비위장을 돕는 처방, 청궁팔선고
미수 선생의 약방문과 유의(儒醫)
사약(賜藥)은 무엇으로 만들었으며, 마시면 금방 죽을까
이슬로 무슨 병을 고쳤나
왕실의 여름철 음료, 구선왕도고와 생맥산
수양제의 불치병을 그림과 얼음으로 치료한 방법
원나라의 대장금, 홀사혜의 양신구채죽
당나라 여황제 무측천의 미용 비방
청나라 서태후의 탈모 방지법
거머리에 물리게 하는 치료법
똥, 오줌도 약으로 쓰였다
궁중 최고의 영약(靈藥), 산삼(山蔘)
연산군의 정력제, 최음제
4부 왕들의 죽음과 장수
철종 임금의 요절은 주색과도 탓
영조 임금의 장수 비결
아들의 병을 고치려고 물벼락 맞았다가 죽은 명성왕후
청나라 건륭황제의 장수비결
20대에 요절한 임금의 사망 원인
청나라 서태후의 장수 비결
명종, 인종의 요절 원인
경종의 요절과 게장, 생감 및 인삼부자탕
선조의 죽음과 약밥
저자소개
책속에서
붕어와 잉어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기를 보강하는 최고의 식품이었다. 붕어는 임금의 즉위식 연회나 대비마마의 6순이나 7순 같은 궁중 연회에 빠지지 않고 나왔던 음식이고, 잉어는 왕비가 임신했을 때 태아에게 기를 공급하기 위해 먹었던 태교식품이었다. 붕어(즉어)는 비위장이 허약한 것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능이 큰데, 특히 입맛을 좋게 하고 허기를 없애주어 배고프지 않게 해준다. 또한 설사와 이질을 막아주는 약효가 있으며, 간장 질환으로 배가 부어 오른 경우에도 쓰인다. 비위장이 냉한 사람들은 초두구, 생강, 호초, 귤껍질을 함께 넣어 끓여 먹으면 좋다. - 본문 112p 중에서
더위에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건강음료도 많은데, 앞서 설명한 매실차나 제호탕 외에 ‘생맥산(生脈散)’이 있다. ‘생맥’은 맥이 다시 살아난다는 뜻이다. 맥이 뛰려면 ‘기’가 충분해야 하는데 우리 몸에서 기는 폐와 심장이 주관하며, 또한 맥도 폐와 심장이 주관한다. 폐가 허약해지면 맥이 끊어지려 하고 원기가 쇠약해지며, 심장의 기가 허약해지면 맥도 약해진다. 따라서 맥이 활발해지도록 폐와 심장의 기를 왕성하게 하는 약물로 구성된 음료가 바로 ‘생맥산’이다. 또한 생맥산은 기운이 나고 몸에서 진액, 즉 물기가 생겨나게 하는 약이다. 그러므로 여름에 더위를 먹어 몸이 나른하고 기운이 가라앉으며 말을 하기 귀찮아하고 입이 마르며 맥이 약한 증상들이 나타날 때 적합한 것이다.생맥산의 구성 한약은 ‘맥문동(麥門冬)’, ‘인삼(人蔘)’, ‘오미자(五味子)’인데, 비율은 2대 1대 1이다. 맥문동은 심장을 서늘하게 하고 폐에 윤기를 주어 음기를 보충하며 심장의 기를 보충하는 효능이 있고, 인삼은 기를 보강하는 대표적인 보약이다. - 본문 195p 중에서
이처럼 서태후의 머리카락에 대한 근심은 어의들이 내복약물과 머리카락을 씻는 처방으로 조치하여 현저한 효과를 보았고, 다시는 머리카락이 서태후의 근심거리가 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고 윤기나는 검은색을 유지하는 데는 약을 먹고 약물로 머리를 감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름진 음식을 적당히 먹고 스트레스를 잘 풀어주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밖에도 쓴맛의 음식을 너무 많이 먹어 폐의 기를 상하게 하거나 단맛의 음식을 너무 많이 먹어 신장이 상하게 되면 머리카락이 빠지게 되므로 쓴맛과 단맛의 음식을 지나치게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다. 물론 열이 많은 경우에는 매운 음식을 적게 먹도록 하고 기름진 음식의 섭취도 줄여야 하며, 담배도 피우지 않아야 한다. - 본문 219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