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61849685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2-01-28
책 소개
목차
서 문
추석 대표 음식으로서 송편의 발달 배경
한국 김치의 고추 수용 배경
한국의 주식으로서 쌀밥의 발달 배경
무형문화유산으로서 한국 방언 보전 방안
단오의 대표 음식으로서 쑥떡의 발달 배경과 단오의 성격
전남지역 명절의 절식 출현 빈도
한국 명절 쇠는 방식의 방향성
한국 멥쌀떡 발달 배경
Preface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Songpyeon as the Representative Food of Chuseok
The Background of the Use of Red Pepper in Kimchi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Rice(Ssal-bap) as the Staple Food of Korea
Measures to Preserve Korean Dialect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Identity of Dano and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Mugwort Rice Cake(Ssuk-tteok) as the Representative Food of Dano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Traditional Holidays’ Representative Food(Jeolsik) in Jeonnam Region
Directionality of the Manner to Celebrate Korean Traditional Holiday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Mepssal-tteok(Non-waxy Rice Cake) in Korea
책속에서
김치는 다량의 젓갈 혼용이 가능하고, 젓갈의 동물성 단백질이 제공하는 감칠맛을 낼 수 있다. 따라서 고추의 매운맛과 함께 김치의 감칠맛을 만드는 고추와 젓갈의 ‘풍미작용’은 김치가 고추를 수용하는 한 배경이 됐다고 할 수 있다.
쌀밥의 쓰임새는 쌀에 대한 가치와 위상을 크게 끌어올렸으며, 이런 배경 속에서 귀한 쌀밥을 매일 먹고자 하는 바람이 싹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에게 올리는 음식이자 특별한 날에만 맛볼 수 있는 쌀밥을 일상의 음식으로 먹고자 했던 한국인의 바람 즉, 쌀밥에 대한 숭상은 쌀밥 주식화의 한 요인이 됐다고 할 수 있다. 이 바람은 쌀의 자급 달성 및 경제력의 향상과 함께 실현됐다.
한국의 지역 방언에는 향토색이 투영돼 있다. 이는 방언이 지역의 문화를 담고 있으며, 각 지역의 방언이 갖는 문화적 특색은 곧바로 한국 문화의 특성이 된다. 일부 방언 어휘에는 지역적 특색과 함께 한민족의 문화형성 과정과 생활사를 담고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