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부동산 버블 붕괴는 어쩌다 시작되었나

부동산 버블 붕괴는 어쩌다 시작되었나

(일본의 집값 폭락과 우리 이야기)

강철구 (지은이)
어문학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00원 -10% 480원 8,160원 >

책 이미지

부동산 버블 붕괴는 어쩌다 시작되었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부동산 버블 붕괴는 어쩌다 시작되었나 (일본의 집값 폭락과 우리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6184985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12-24

책 소개

한국의 부동산은 일본의 부동산 폭등과 유사한 점이 있다. 우리가 일본 부동산과 유사한 점은 은행 빚으로 쌓아 올린 부동산 자산이 언젠가 무너질 것 같은 불안감을 안고 있다는 점이다. 이 책은 일본의 자산 버블 폭락을 살펴보면서 대한민국의 10년 뒤 부동산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목차

서문 - 당연한 이야기 9

제1장 일본 부동산 폭등의 전초전
1. 일본의 무역흑자 33
2. 일미 무역전쟁 47

제2장 본격적인 버블경제
1. 부동산 버블의 신호탄 플라자 합의 67
2. 금리인하정책 81
3. 부동산 폭등 91
4. 엔화의 저력, 해외 부동산과 명화로 확장 104

제3장 버블 붕괴의 원인
1. 1989년에 도대체 어떤 일들이 있었나? 117
2. 국제환경의 변화 133
3. 인구구조의 변화 142
4. 사라져가는 거품경제 157

제4장 일본 부동산 폭락 후 이야기
1. 지방 소멸 169
2. 은행 소멸 184
3. 금융개혁의 재편 202
4. 지금은? 221

제5장 한국 이야기
1. 한국 사회의 ‘이생집망’ 231
2. 일본과는 상황이 다르긴 하다. 그러나 238
3. 5천만 부동산업자 249
4. 한국의 가계부채 254
5. 저출산 고령화 문제 259
6. 부동산 폭등은 시장 실패다 263
7. 한국 부동산의 미래 269

- 후기 - 278

저자소개

강철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学)에서 학부와 석사, 박사과정을 거쳐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2004년 한국에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행정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06년에는 자리를 옮겨 고려대학교 경제학부의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최우수 강의평가를 받아 석탑강의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에는 포항의 한동대학교 국제어문학부국제지역학전공에서 참된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몸으로 익혔고, 지금은 일본경제경영연구소 소장이며 배재대학교 일본학과에서 ‘학생을 섬기는’ 교수로서 맡은 바 소임을 다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제 물가가 상승했으니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게 소비가 줄어드니 공장이 안 돌아가고, 공장이 안 돌아가니 불황이 뒤따라 엄습해 왔다. 이때 미국은 인플레이션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물가상승과 경기불황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으로 혼돈의 시대를 맞이했다.


엔고 현상이 지속되면서 일본 본토에서 제품을 생산해 수출하기에는 수지가 맞지 않다 보니 많은 기업들이 값싼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동남아시아로 생산거점을 이전하기 시작했다. 동남아로 가면 훨씬 싼 인건비로 제품을 만들 수 있는데 굳이 일본 내에 투자할 유인誘因이 없었던 것이다. 일본 기업들의 오프쇼어링off-shoring이 활발해지면서 산업의 공동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안 사면 바보였던 시기였다. 저금리로 시장에 풀린 유동성 자금은 지난 40여 년간 고도성장을 구가한 경험만 있을 뿐 불황을 제대로 겪어보지 못해서 그런지 주로 부동산과 주식시장으로 몰려들었다. 그 결과 1987년 봄부터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4.1%, 1988년 7.1%, 1989년 5.4%, 1990년 5.6%, 1991년 3.3%까지 성장하는 듯 보였지만, 그 배경이 부동산과 주식시장으로 쏠린 버블의 결과물이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055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