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근대주거론

한국근대주거론

박용환 (지은이)
기문당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90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근대주거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근대주거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2251869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10-01-10

책 소개

19세기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주거를 주로 정치지배나 사회상황, 경제적 변동과의 대응이란 관점에서 관찰하고 그 변천과정을 그리고 있다. 현대주거의 여러 종류의 모습을 필드워크에 의한 현지조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단순히 주택의 건축형태뿐 아니라 그 내부의 생활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그 변화 동향을 파악한 것이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주거·주생활의 변화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도시주거를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관찰한 기록으로서 주거와 생활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의 근·현대사라 할 수 있다.

목차

책을 열면서
근대주거론近代住居論과 시대구분에 대하여
근대주거론의 개념에 대하여
본 서의 내용에 대한 구성

서장 조선왕조의 몰락
1. 외세外勢의 침입과 국제정세
2. 대원군의 섭정에서 한일병합韓日倂合까지
3. 개화사상開化思想의 대두

1장 개항과 외래건축의 유입
1-1. 한반도의 개항과 조계지의 설정
1-1-1. 개시開市ㆍ개항장開港場과 조계지
1-1-2. 한반도의 일본인 인구추세와 이민정책
1-1-3. 각 지역별 조계의 설정과 종류
1-1-4. 조계지의 계획

1-2. 개항지에 유입된 외래건축
1-2-1. 조계지의 외래건축과 종류
1-2-2. 조계지의 주거건축

1-3. 중국과 일본의 개항과 조계지
1-3-1. 일본의 개항과 요코하마橫浜 외국인 거류지
1-3-2. 중국의 개항과 상해의 외국인 조계지


2장 일식주택日式住宅의 이식
2-1. 일식주택의 개념과 특징
2-1-1. 한일병합 이후의 주택과 인구
2-1-2. 일본 전통주거의 공간적 특성
2-1-3. 일본의 근대주거近代住居의 동향과 흐름

2-2. 한반도에 이식된 일식주택의 유형
2-2-1. 철도 관사官舍
2-2-2. 총독부 관사
2-2-3. 군인 관사
2-2-4. 조선은행사택朝鮮銀行舍宅
2-2-5. 조계 지역의 일반 일식주택
2-2-6. 시기별 일식주택의

2-3. 조선주택영단의 설립과 주택공급
2-3-1. 조선주택영단의 설립개요
2-3-2. 영단주택의 주거계획
2-3-3. 조선주택영단의 주택지조성사업
2-3-4. 주택ㆍ주택지 계획의


3장 근대 주거사상의 전개
3-1. 근대 주거사상住居思想의 형성과 배경
3-1-1. 개화사상과 계몽사상
3-1-2. 도시주거환경의 근대적 인식

3-2. 근대 주거사상의 이념
3-2-1. 개화기의 도시환경과 주택 위생론
3-2-2. 생활개선의 취지와 이념
3-2-3. 근대적 가정의 의식변화
3-2-4. 이상적理想的 생활상生活相의 설정

3-3. 생활개선운동의 실천
3-3-1. 생활개선론의 주체
3-3-2. 생활개선의 대중적 확산
3-3-3. 가정위생법의 실천
3-3-4. 의衣생활과 식食생활의 개선

3-4. 주생활의 개선과 주택개량연구
3-4-1. 주생활의 개선을 위한 과제
3-4-2. 건축가에 의한 주택개량연구의 실제
3-4-3. 재선在鮮 일본인의 조선주택에 관한 개량

3-5. 근대 주거사상의 흐름(1876~1945)


4장 전통도시주거의 변화
4-1. 주택개량운동
4-1-1. 주택개량운동의 개요
4-1-2. 재래 전통주거에 대한 비판
4-1-3. 주택개량을 위한 여러가지 제안
4-1-4. 한인건축가韓人建築家들의 활동과 주택개량론

4-2. 재래 전통주거의 변화
4-2-1. 사례를 통해 본 일반 전통주거의 변화
4-2-2. 이층 한옥상가 주택의 출현
4-2-3. 개량한옥改良韓屋의 보급
4-3. 곤와지로今和次郞와 조선총독부의 민가ㆍ부락조사
4-3-1. 곤와지로의 조선반도 민가조사
4-3-2. 조선총독부의 생활상태조사生活狀態調査


5장 혼란기混亂期의 건축계 동향과 도시주거의 새로운 유형
5-1. 혼란기(1945~1960)의 건축계 동향
5-1-1. 건축관련 조직의 결성과 건축사법建築士法 제정
5-1-2. 조선주택영단에서 대한주택공사大韓住宅公社로
5-1-3. 건축가들의 주택설계 및 작품 활동

5-2. 공영주택 시대의 개막
5-2-1. 공영주택의 건설개요
5-2-2. 공영주택 평면의 특징과 변화

5-3. 공동주택共同住宅의 태동
5-3-1. 공동주택 건설배경과 제1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5-3-2. 공동주택 건설관련 법과 제도
5-3-3. 국내 공동주택 건설의 태동胎動
5-3-4. 마포 아파트의 등장과 아파트 시대의 개막


6장 도시주거의 유형별 주생활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6-1. 일식주택에 관한 생활실태조사 연구-1
6-1-1. 연구 및 조사 개요
6-1-2. 일식주택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
6-1-3. 일식주택 원형의 유형과 거주자의 특성
6-1-4. 증ㆍ개축을 통해 본 일식주택의 공간적 변화
6-1-5. 추적조사에 의한 주호 내부공간의 변화와 부엌의 입식화, DK화 및 요인

6-2. 개량한옥改良韓屋에 관한 생활실태조사 연구-2
6-2-1. 연구 및 조사개요
6-2-2. 개량한옥 거주자에 관한 일반사항
6-2-3. 개량한옥 평면형태의 유형과 특징
6-2-4. 시기별 증ㆍ개축 행위의 특성에 따른 개량한옥의 변화
6-2-5. 개량한옥의 증ㆍ개축을 통해 본 생활양식의 변화

6-3. 주택용 연료燃料의 전환에 따른 주공간住空間의 재편성에 관한 조사연구-3
6-3-1. 주택용 연료의 전환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6-3-2. 취사 및 난방연료의 겸용에 따른 주거공간의 특징
6-3-3. 취사 및 난방 연료의 분리에 따른 주거공간의 변화


7장 새로운 도시주거의 모색과 전개
7-1. 근대 주거사상의 형성과 전개과정
7-1-1. 전통적 주거사상과 이념
7-1-2. 전통주거에 대한 비판과 생활개선 운동
7-1-3. 건축가의 주택개량론과 근대 주거계획의 모색
7-1-4. 주택개량론의 계승

7-2. 공동주택 시대의 개막과 발전
7-2-1. 근대 공동주택의 태동과 확산 (한국전쟁 이후 1970년대 초)
7-2-2. 경제적 고도성장과 공동주택의 건설 붐 (1973~1979)
7-2-3. 1980년대의 새로운 실험들
7-2-4. 1990년대 신도시 개발과 공동주택의 고층고밀화 (1990년 신도시건설 이후)
7-3. 근대 도시주거의 유형별 주양식의 변천과정
7-3-1. 온돌과 전통 주거공간의 구성원리
7-3-2. 도시 단독주택에 관한 주택용 연료의 전환과 주양식의 변화
7-3-3. 개량한옥에 관한 주양식의 변화과정
7-3-4. 공영주택의 생활양식과 주공간의 변화

7-4. 주거문화의 갈등葛藤과 동화同化

저자소개

박용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고 한양대학교 공대 건축과에서 재직하며 과학기술훈장(혁신장), 대한건축학회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학술서로 『한국근대주거론』 등을, 사진집으로 『집·集』을 펴냈으며, 포스코 화랑과 서울신문 화랑에서 두 차례에 걸쳐 개인사진전을 개최한 바 있다. 현재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과 명예교수. 주거문화의 형태에 관심을 가지고 세계 곳곳을 여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