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매천야록

매천야록

황현 (지은이), 조준호 (옮긴이)
지만지고전천줄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매천야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매천야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62281699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08-11-15

목차

해설 ····················15
지은이에 대해 ················19


권1 상, 갑자년(1864)∼정해년(1887)

운현궁 ··················25
장동 김씨 ·················25
국혼 ···················26
김흥근의 별장 ···············27
세도 ···················28
대원위 분부 ················29
태산을 평지로 ···············30
원납전 ··················31
만동묘 ··················32
서원 ···················33
당백전과 청전 ···············34
천주교인 남종삼 ··············35
도모지 ··················35
해인사 경판각 ···············36
운현의 청지기 ···············37
운현의 사람 쓰기 ··············38
종친과 ··················38
포량미 ··················39
북촌과 남촌 ················39
어재연의 순절 ···············40
잠영록 ··················41
산림 ···················42
대원군이 실각한 이후 ············43
척양비 ··················43
최익현의 상소 ···············44
최익현의 생활 ···············45
대원군의 10년 통치 ·············45
십 년 세도 ·················47
운현궁 쪽 사람 ···············47
전주 아전 ·················48
김상현 ··················49
다산 정약용 ················50
다산 정약용의 기억력 ············51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 ··········52
거벽·사수 ················53
조흘강과 매좌 ···············54
과거시험장 ·················55
지방에서 보이는 시험 ············57
과거 매매의 값 ···············57
가수와 실재 ················58
낙폭전 ··················58
석 돈 진사 ·················59
궁중 연회 ·················59
신분제도 ·················60
무과제도 ·················61
무관명가 ·················63
신래 ···················64
유가 ···················65
대원군의 수완 ···············66
나합 ···················67
우두법의 시행 ···············68
학질의 금계랍 ···············69
석유 ···················69
개항 이후의 수입품 ·············71
영선사 김윤식 ···············72
전환국 ··················72
북관묘 ··················73
화륜선 구입 ················73
임오군란 ·················73
대원군의 재집정 ··············75
문묘종사 ·················75
복제 개혁 ·················78
민영익의 저택 ···············79
개항 ···················80
과거 매매 ·················81
토문강 국경선 ···············81
육영공원 ·················82
청붕과 허교 ················82
장탕반 ··················83
서얼 ···················84
전보국 ··················87
송금 ···················88


권1 하, 무자년(1888)∼계사년(1893)

세자의 소년 시절 ··············93
노인 난리 ·················94
최제우의 복주 ···············95


권2, 갑오년(1894)∼무술년(1898)

갑오년(1894), 고종 31년
전봉준 ··················99
아리랑 타령 ················100
옥당풍년 ·················101
중궁의 총명 ················102
국한문 혼용 ················103
은전과 엽전 ················103

을미년(1895), 개국 504년
영은문·삼전도비의 훼철 ··········105
십 년 사이의 세상 변화 ···········106
전봉준 등 처형 ···············106
형사법 개정 ················107
전주의 약령 설치 ··············107
한성의 승금 해제 ··············108
백관의 연봉 제정 ··············109
관리의 연봉 제정 ··············109
호열자의 유행 ···············110
공문서를 국한문으로 하다 ··········111
개국기원절 ················111
광견병 ··················112
울릉도 ··················112
인정종·파루종 ··············112
단발령 ··················113

병신년(1896), 개국 505년
단발령과 의병 ···············115
비 ····················116
지방관원과 연봉 ··············117
지방관원의 임기 및 휴가 ···········117

정유년(1897), 건양 2년
원구단 ··················118
국기 제정 ·················118

무술년(1898), 광무 2년
황성신문 창간 ···············120
대원군 장례 ················120
철도사의 설치 ···············121
독립협회 ·················121


권3, 기해년(1899), 광무 3년

조경단 축조 ················127
의학교 설립 ················128
양교의 성행과 종현학당의 건립 ········129
전차 ···················130
채회의 금지 ················131
명성후의 유혼 ···············131
발명가 ··················132

경자년(1900), 광무 4년
흑사병의 유행 ···············133
일본의 흑사병원균 규명 ···········133
영남 활빈당 ················134

신축년(1901), 광무 5년
희랍교 전도 ················135
안남미 수입 ················135
일본인의 식민 계획 ·············136

계묘년(1903), 광무 7년
일본 상인들의 기념잔 ············137
양무호 ··················137
경부선 철도 공사 ··············138


권4, 갑진년(1904), 광무 8년

상화가와 매음가 ··············143
무당 엄금 ·················144

을사년(1905), 광무 9년
정토종 ··················145
성적도 배포 ················145
일본인의 지금고 설치 ············146

병오년(1906), 광무 10년
독도 ···················149
화투의 출현 ················149

정미년(1907), 광무 11년
구미식 혼례 ················150
석전 금지 ·················150
작잠법 ··················151
단군교 창설 ················151
사색의 양반 조사 ··············151
천조교 ··················152


옮긴이에 대해 ················153

저자소개

황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양현 서석촌(현 전라남도 광양군 봉강면 석사리)에서 태어났으며, 자는 운경(雲卿), 호는 매천(梅泉)이라 했다. 출신 가계를 보면 장수 황씨로 황희 정승의 후손이기는 하나, 중간에 가세가 영락해서 그의 조부에 이르러서는 상업으로 생활을 영위했다고 한다. 이렇게 축적한 재산을 기반으로 황현은 1천 권의 장서를 갖추고 학문에 전념할 수 있었다. 황현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신동으로 소문이 자자했으나, 관력은 불우하여 34세에야 겨우 성균관의 생원이 되는 데 그쳤다. 그는 생원이 된 후, 조선 안팎으로 혼란한 세상을 등지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그는 그곳에서 자신의 거실에 구안옥(苟安屋)이라 이름을 붙이고 독서와 시작(詩作)으로 세월을 보냈다. 그러는 동안 서울에 있는 여러 친구가 “다시 서울에 올라와서 구국 운동에 참가하라”라고 권유했으나, 황현은 그때마다 “그대들은 어찌 나를 귀신 나라에서 날뛰는 미친 사람들 가운데로 끌어들여 같은 귀신, 미친 사람으로 만들려 하는가” 하고 도리어 엄절히 책망했다. 혼란한 세상에서 황현은 비록 은거했으나 망국상을 그대로 보고 있지는 못했다. 자신의 지기였던 김택영이 벼슬을 버리고 중국으로 망명한 것처럼 자신도 망국인의 방도를 생각한 듯하지만, 그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그러던 중 1910년 8월 일본은 소위 한일병합조약이라는 것을 발표해 나라와 민족의 멸망을 공식화했다. 이 소식을 듣고 황현은 애절한 절명시를 남기고 순국했다.
펼치기
조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실학박물관 학예팀장. 국민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조선후기 정치사회사를 전공했으며 주요논저로 「조선 숙종~영조대 근기지역 노론학맥 연구」, 『다산, 조선의 새 길을 열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