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옛날이야기와 함께 하는 중국언어학사

옛날이야기와 함께 하는 중국언어학사 (하)

이병관 (지은이)
보성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옛날이야기와 함께 하는 중국언어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옛날이야기와 함께 하는 중국언어학사 (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2360127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08-09-25

목차

상권

제1장 들어가기 1
1.1 소학(小學)과 언어학 3
1.2 중국 언어학의 여러 분야 5
1.3 중국 언어학사의 개관 10

제2장 주.진(周.秦) 13
2.1 선진(先秦) 철학자들의 언어관 15
2.1.1 이름과 실질의 문제 17
2.1.2 순자(荀子)의 언어관 23
2.2 훈고(訓?)의 시작 26
2.2.1 글자의 형태로써 풀이하기[형훈(形訓)] 26
2.2.2 소리로써 풀이하기[성훈(聲訓)] 27
2.2.3 쉬운 말로 풀이하기 28
2.2.4 어법적 풀이 29
2.3 진시황과 분서갱유(焚書坑儒) 30

제3장 한(漢) 47
3.1 시대 상황 49
3.1.1 초한(楚漢)전쟁 49
3.1.2 한나라 창업 시기 55
3.1.3 문자 교육의 중시와 훈고학의 발흥 58
3.1.4 유가의 득세 60
3.1.5 금문경(今文經)학파와 고문경(古文經)학파의 논쟁 63
3.1.6 중국 언어학의 시작 65
3.2 훈고학 66
3.2.1 경전의 주석 66
3.2.2 고훈(古訓)의 집성(集成) --- ≪이아(爾雅)≫ 69
3.3 방언학 --- ≪방언(方言)≫ 90
3.3.1 ≪방언≫의 편찬 91
3.3.2 ≪방언≫의 체제 98
3.3.3 ≪방언≫의 내용 102
3.3.4 ≪방언≫의 가치 109
3.3.5 ≪방언≫의 판본 112
3.4 문자학 --- ≪설문해자(說文解字)≫ 115
3.4.1 ≪설문해자≫의 편찬 115
3.4.2 ≪설문해자≫의 체제 121
3.4.3 ≪설문해자≫의 해설 방식 124
3.4.4 ≪설문해자≫의 가치 131
3.4.5 ≪설문해자≫의 부족한 점 134
3.4.6 ≪설문해자≫의 판본(版本) 137
3.5 어원학 --- ≪석명(釋名)≫ 146
3.5.1 ≪석명≫의 편찬 148
3.5.2 ≪석명≫의 체제 150
3.5.3 ≪석명≫의 해설 방식 152
3.5.4 ≪석명≫의 해설 특징 155
3.5.5 ≪석명≫의 해석상의 문제점 158
3.5.6 ≪석명≫의 가치 159
3.5.7 ≪석명≫ 연구 저작 163

제4장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165
4.1 시대 상황 167
4.2 훈고학 169
4.2.1 주석 분야: 의소(義疏)?음의(音義)의 발달 169
4.2.2 아학(雅學) 분야 170
4.2.3 곽박(郭璞)의 ≪이아주(爾雅注)≫와 ≪방언주(方言注)≫ 174
4.3 문자학 182
4.3.1 ≪자림(字林)≫ 183
4.3.2 ≪옥편(玉篇)≫ 184
4.4 음운학 187
4.4.1 반절(反切)의 사용 189
4.4.2 성조의 인식 195
4.4.3 운서(韻書)의 출현 198

제5장 수.당(隋.唐) 201
5.1 시대 상황 203
5.2 훈고학 212
5.2.1 ≪오경정의(五經正義)≫ 212
5.2.2 ≪경전석문(經典釋文)≫ 213
5.2.3 현응(玄應)의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와 217
혜림(慧琳)의 ≪일체경음의≫ 217
5.2.4 ≪광류정속(匡謬正俗)≫ 220
5.2.5 기타 주석서 221
5.3 문자학 222
5.3.1 ≪간록자서(干祿字書)≫ 223
5.3.2 ≪오경문자(五經文字)≫ 225
5.3.3 ≪신가구경자양(新加九經字樣)≫ 227
5.4 음운학 --- ≪절운(切韻)≫ 228
5.4.1 지은이 육법언 229
5.4.2 ≪절운≫의 체제와 내용 230
5.4.3 ≪절운≫의 결점 237
5.4.4 ≪절운≫의 가치 237
5.4.5 ≪절운≫의 판본 238

제6장 송(宋) 245
6.1 시대 상황 247
6.2 훈고학 251
6.2.1 송대 훈고학의 특징 251
6.2.2 주희(朱熹)의 훈석 방법 253
6.2.3 경사자집(經史子集)에 대한 훈석서 255
6.2.4 아학(雅學)분야 256
6.3 문자학 258
6.3.1 ≪설문해자≫의 계승과 발전 258
6.3.2 자전의 편찬 267
6.3.3 고문자학의 시작 --- 금석학(金石學) 286
6.4 음운학 291
6.4.1 운서 291
6.4.2 등운학(等韻學) 309
6.4.3 고음학(古音學)의 시작 327
6.5 어원학 330
6.5.1 우문설(右文說)의 시작 330
6.5.2 송대의 우문설 331

서명색인 337
인명색인 347

하권

제1장 원(元) 1
1.1 시대 상황 3
1.2 훈고학 8
1.2.1 경전의 주석 8
1.2.2 허사사전 --- ≪어조(語助)≫ 9
1.3 문자학 11
1.3.1 ≪용감수감(龍龕手鑒)≫ 11
1.3.2 ≪사성편해(四聲篇海)≫ 14
1.3.3 ≪자감(字鑑)≫ 14
1.4 음운학 15
1.4.1 운서 16
1.4.2 등운도(等韻圖) --- ≪절운지남(切韻指南)≫ 27

제2장 명(明) 35
2.1 시대 상황 37
2.2 훈고학 41
2.2.1 주석 분야 41
2.2.2 아학(雅學) 분야 42
2.3 문자학 45
2.3.1 ≪자휘≫ 45
2.3.2 ≪정자통(正字通)≫ 48
2.4 음운학 49
2.4.1 운서 49
2.4.2 고음학(古音學) 56

제3장 청(淸) 63
3.1 시대 상황 65
3.2 훈고학 71
3.2.1 주석 분야 73
3.2.2 아학 분야 76
3.2.3 훈고사전류 95
3.2.4 허사사전류 98
3.2.5 독서기 101
3.3 문자학 106
3.3.1 설문학(說文學)의 흥기 106
3.3.2 고문자학(古文字學) 146
3.3.3 전통 자전류의 집대성 --- ≪강희자전(康熙字典)≫ 164
3.4 음운학 169
3.4.1 고음학의 발달 169
3.4.2 운서 189
3.5 방언학 193
3.5.1 ≪방언≫주석서 194
3.5.2 방언 연구 199
3.5.3 속어 연구 202
3.6 어원학 210
3.6.1 우문설의 발전 211
3.6.2 어원학 전문 서적 --- ≪문시(文始)≫ 214
3.6.3 ≪석명(釋名)≫ 주석서 220
3.7 어법학 --- ≪마씨문통(馬氏文通)≫ 224
3.7.1 지은이 마건충(馬建忠) 224
3.7.2 ≪마씨문통≫의 어법 체계 228
3.7.3 ≪마씨문통≫의 장단점 233
3.7.4 ≪마씨문통≫의 판본 236

부 록 239
부록 1. 20세기 중국음운학 240
부록 2. 20세기 중국방언학 285
부록 3. 20세기 중국어법학 306
서명색인 377
인명색인 387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