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6246364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8-10-19
책 소개
목차
발간에 붙여 / 배기동
『대중고고학 개설』을 발간하며 / 유용욱, 이화종
1. 대중고고학의 개념과 영역
한국 대중고고학의 개념 정립과 방향 /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
대중고고학의 발전과 한국의 대중고고학 / 이화종 (한양대학교 박물관)
대중고고학과 문화공동체의 형성 / 이영덕 (호남문화재연구원)
대중 참여 발굴의 고고학 / 신희권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박물관 어린이 교육으로서의 고고학 체험 / 한수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의 고고유산 교육, 그 시작과 발전 / 김영연 (동아시아고고학연구소)
조사기관의 문화재 활용사업 현황과 과제 / 강평원 (한강문화재연구원)
2. 체험교육형의 대중고고학
유적축제와 고고유산 체험교육 /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사회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문화유산 답사와 대중 고고학 / 유용욱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뗀석기제작 실험과 대중적 활용 / 안성민 (충청문화재연구원)
선사시대 토기의 제작과 소성 / 소상영 (충청문화재연구원)
고대 제철기술 복원실험 / 한지선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문화재의 보존과 활용 / 손준호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3. 미디어와 대중고고학의 새로운 영역
고고학과 언론 / 김태식 (연합뉴스 문화부 기자)
대중매체를 통한 고고학정보의 전달과 대중의 인식 / 백운국 (대구MBC 국장)
디지털 대중고고학과 가상명품박물관(VCM) / 공현지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 기술과 대중의 고고학 유산 체험 / 유용욱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정상훈 (주식회사 RemoShot)
저자소개
책속에서
학문분야는 고유한 영역에서 독특한 방법을 동원하여 자연과 인간의 본연의 원리를 새롭게 밝히고자 하는 것이 그 임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