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62621396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16-05-04
책 소개
목차
『바둑으로 읽는 인공지능』
프롤로그
1장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결
1. 인공지능 연구의 역사
2. 체스 인공지능 딥블루
3. 퀴즈 인공지능 왓슨
2장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
1. 바둑 인공지능의 역사
2. 인공 신경망과 딥러닝
3. 세기의 대결이 성사되기까지
3장 세기의 대결, 알파고 vs 이세돌
1. 1국
2. 2국
3. 3국
4. 4국
5. 5국
4장 세기의 대결이 남긴 것
1. 알파고 이후의 바둑
2. 변하지 않는 바둑의 의미와 가치
에필로그
『이세돌의 일주일』
들어가며
1장 대결이 열리기까지
1. 이세돌, 도전장 받다
2.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공개
3. 대국은 중국룰로
4. 베일에 싸인 알파고
5. 폭풍 전야
2장 이세돌 vs 알파고
1. 1국, 충격의 패배
2. 2국, 연이은 패배
3. 3국, 고개 숙인 이세돌
4. 4국, 알파고를 무력화한 신의 한 수
5. 5국, 마지막 그리고 술자리
3장 인간 이세돌
1. 섬 소년이 세계 1인자가 되기까지
2. '쎈돌' 스타일
3. 주변인이 말하는 이세돌 9단
4장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가 남긴 것
1. 이세돌 신드롬
2. 달라지는 바둑계
3. 불변하는 바둑의 가치
나가며
책속에서
나는 바둑과 인공지능을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사람 중 한 명이다. 이번 행사의 주인공인 알파고는 인공지능과 바둑이 만나는 지점의 이슈이다. 전 세계에 이 둘을 함께 연구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 것이며 특히 우리나라 연구자는 몇 명이나 되겠는가? 게다가 기존의 바둑 인공지능들은 딥러닝과는 무관했으며 알파고는 차원이 다른 경지이다. 이번 행사에서 바둑과 인공지능의 교집합을 가진 사람이 절실히 필요했고 나는 그러한 관점에서 ‘전문가’로 불렸던 것이다.
/ 『바둑으로 읽는 인공지능』
카스파로프가 딥블루에게 패했다는 사실은 인류가 전능한 컴퓨터한테 정복당했다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받아들여져 많은 이들에게 경악과 슬픔을 안겨주었다. 또 당시 선진국의 사무실과 가정에는 컴퓨터가 많이 보급되어 있던 상황이라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의 강력한 계산 능력을 실감하고 있었고, 이들 중 일부는 아직도 인간이 계산과 관련된 체스에서 대등한 승부를 벌일 수 있다는 사실에 오히려 놀라기도 했다. 체스 컴퓨터 개발에 관여했던 사람들은 오랫동안 고대해왔던 목표가 마침내 달성된 것에 기뻐했고, 혹자는 이를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이나 나사(NASA)의 달 착륙에 비유하기도 했다.
/ 『바둑으로 읽는 인공지능』
알파고의 첫 번째 신경망인 ‘정책망policy network’은 ‘인간 고수라면 다음 수를 어디에 둘까’를 예측한다. 주어진 장면에서 다음 수가 어떻게 결정되는지, 즉 입력과 출력 사이의 관계를 도저히 간단한 함수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일련의 사고가 단계별로 진행되는 것 같으니, 알파고는 인공 신경망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13개)의 중간층을 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채택했다. 앞서 바둑에서 ‘현재의 모양을 간략화해서 특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는데, 이런 단계별 추상화에 적합한 심층 신경망이 바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이다.
/ 『바둑으로 읽는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