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62623246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20-03-13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머리말
1장_ 서론
1.1. 잉크 반점
1.2. 디지털 시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3. 연구 설계
1.4. 이 책의 주제
1.5. 이 책의 개요
다음 읽을거리
2장_ 행동 관찰하기
2.1. 들어가는 말
2.2. 빅 데이터
2.3. 빅 데이터의 일반적인 특징 열 가지
2.3.1. 큰 규모
2.3.2. 상시 접근
2.3.3. 비반응성
2.3.4. 불완전성
2.3.5. 접근 불가능성
2.3.6. 비대표성
2.3.7. 변동성
2.3.8. 알고리즘에 기반한 교란
2.3.9. 지저분함
2.3.10. 민감함
2.4. 연구 전략
2.4.1. 개수 세기
2.4.2. 미래 예측과 현재 예측
2.4.3. 실험에 근사시키기
2.5. 나오는 말
부록_ 수학 노트
잠재적 결과 체계
자연 실험
다음 읽을거리
활동
3장_ 질문하기
3.1. 들어가는 말
3.2. 질문하기 대 관찰하기
3.3. 종합 설문조사 오류 체계
3.3.1. 대표성
3.3.2. 측정
3.3.3. 비용
3.4. 누구에게 물을 것인가
3.5. 질문을 던지는 새로운 방법들
3.5.1. 생태순간평가
3.5.2. 위키 설문조사
3.5.3. 게임화
3.6. 빅 데이터에 설문조사를 연계하기
3.6.1. 자료 풍요화
3.6.2. 자료 증폭
3.7. 나오는 말
부록_ 수학 노트
확률 표집
무응답 확률 표집
비확률 표집
다음 읽을거리
활동
4장_ 실험하기
4.1. 들어가는 말
4.2. 실험이란 무엇인가?
4.3. 실험의 두 가지 차원: 실험실-현장, 아날로그-디지털
4.4. 단순 실험을 넘어서기
4.4.1. 타당도
4.4.2. 실험 효과의 이질성
4.4.3. 기제
4.5. 실현하기
4.5.1. 기존 환경 활용하기
4.5.2. 본인의 실험 구축하기
4.5.3. 직접 제품을 생산하기
4.5.4. 힘 있는 조직과 제휴하기
4.6. 조언
4.6.1. 가변 비용 제로인 데이터 창출하기
4.6.2. 설계 안에 윤리성 구축하기: 대체, 정제, 축소
4.7. 결론
부록_ 수학 노트
잠재적 결과 체계
정밀도
다음 읽을거리
활동
5장_ 대규모 협업 창조
5.1. 들어가는 말
5.2. 인간 기반 연산
5.2.1. 갤럭시 주
5.2.2. 정치적 성명서에 대한 크라우드 코딩
5.2.3. 소결
5.3. 공개 모집
5.3.1. 넷플릭스 대회
5.3.2. 폴딧
5.3.3. 협동적 특허 심사
5.3.4. 소결
5.4. 분산 데이터 수집
5.4.1. 이버드
5.4.2. 포토시티
5.4.3. 소결
5.5. 자신만의 협업 설계를 해보자
5.5.1. 참가자에게 동기 부여하기
5.5.2. 이질성 활용하기
5.5.3. 관심 모으기
5.5.4. 뜻밖의 상황 허용하기
5.5.5. 윤리 지키기
5.5.6. 최종 설계 조언
5.6. 나오는 말
다음 읽을거리
활동
6장_ 윤리
6.1. 들어가는 말
6.2. 세 가지 사례
6.2.1. 감정 전염
6.2.2. 취향, 연결, 시간
6.2.3. 앙코르
6.3. 디지털은 다르다
6.4. 네 가지 원칙
6.4.1. 인간 존중의 원칙
6.4.2. 선행의 원칙
6.4.3. 정의의 원칙
6.4.4. 법과 공익 존중의 원칙
6.5. 두 가지 윤리 체계
6.6. 까다로운 영역들
6.6.1. 고지에 입각한 동의
6.6.2. 정보 위험을 이해하고 관리하기
6.6.3. 프라이버시
6.6.4. 불확실한 국면에서 결정하기
6.7. 실용적 조언들
6.7.1. IRB는 상한선이 아니라 하한선이다
6.7.2. 다른 모든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라
6.7.3. 연구윤리를 이산형이 아니라 연속형으로 생각하라
6.8. 나오는 말
부록_ 역사
다음 읽을거리
활동
7장_ 미래
7.1. 미래를 바라보며
7.2. 미래의 연구 주제들
7.2.1. 레디메이드와 커스텀메이드의 혼합
7.2.2. 참여자 중심의 데이터 수집
7.2.3. 연구 설계에서의 윤리
7.3. 시작으로 돌아와서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연구자들은 사진술에서 영화 촬영술로의 전환과 유사한 변화를 만드는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우리가 과거에 배웠던 모든 것을 무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진술의 원칙이 영화 촬영술에서도 통하는 것처럼, 지난 100년 동안 발전해온 사회연구의 원칙은 앞으로 100년 동안 이어질 사회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이 변화는 또한 우리가 계속해서 그저 똑같은 일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대신 우리는 과거의 접근법과 현재와 미래의 가능성을 결합시켜야 한다.
- 1장_ 「서론」 중에서
끊임없이 쏟아지는 빅 데이터의 홍수는 행동 데이터가 부족한 세계에서 행동 데이터가 풍부한 세계로의 이행을 의미한다. 빅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기 위한 첫 단계는 빅 데이터가 관찰 데이터, 즉 수년간 사회연구에 사용되어온 광범위한 데이터의 일종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요컨대 관찰 데이터란 다른 요인이 개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회 시스템을 관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모든 데이터이다. (…) 따라서 관찰 데이터는 기업과 정부의 기록 외에도 신문 기사와 위성사진 등을 포함한다.
- 2장_ 「행동 관찰하기」 중에서
우리는 노래의 인기도가 평행 세계 간에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운이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한 세계에서 48개의 곡 중 다운로드 1위를 한 52메트로의 「락다운」이 다른 세계에서는 40위를 했다. 서로 같은 노래들끼리 똑같이 경쟁한 상황인데, 한 세계에서는 운이 좋았고 다른 곳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그리고 두 조건 간 실험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사회적 영향은 이 시장의 승자독식 속성을 강화시켜서 기술의 중요성을 암시하는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평행 세계 실험 밖에서는 불가능했을) 세계 간 비교를 해보면, 사회적 영향은 사실상 운의 중요성을 강화시킨 것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운이 가장 중요한 경우는 놀랍게도 가장 호소력이 큰 노래들이었다.
- 4장_ 「실험하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