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4634126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5-03-26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연결을 넘어서는 초연결의 시대 4
1부 초연결 사회기술시스템의 거버넌스 논의 배경
1장 초연결 사회기술시스템은 무엇인가?
사회 체제와 기술 시스템의 공동 진화 22
기술 결정론과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 26
기술과 사회를 하나로 보는 사회기술시스템 관점 29
사회기술적 전이의 세 가지 과정 33
사회기술시스템의 거시적 진화 38
만들어 가는 미래의 사회기술시스템 43
2장 불확실성과 함께 지혜롭게 살아가기
베이컨이 꿈꾸었던 세상, 벤살렘 섬 우화 50
불확실성의 지형도 54
지식적 불확실성과 과학적 증거의 수집과 활용 59
존재적 불확실성과 제도적 실천 62
불확실성과 다층적·제도적 실천 70
3장 데이터는 진실된 증거인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서사의 역할
데이터의 범람과 탈진실 시대의 도래 76
넘쳐나는 데이터는 어떻게 탈진실 사회를 낳는가? 78
정보 기술 시대, 서사 복원의 적합성 86
합리적 진실, 탈진실, 성찰적 진실 103
2부 초연결 사회기술시스템의 거버넌스를 둘러싼 쟁점
1장 노동은 생물학적·물리적·시간적 경계를 뛰어넘을 것인가?: 노동과 일자리의 미래
기술 진보로 인한 노동과 일자리 변화 108
생물학적 경계를 초월하는 자동화 기술 110
물리적 한계를 초월하는 원격 근무 117
시간을 초월하고 여가로 위장된 노동 133
데이터의 가치와 새로운 관점의 필요 147
2장 혁신과 안전을 위한 새로운 규제 패러다임은?: 영향평가 제도 확산의 의의와 함의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질서에 대비하는 방법 156
인공지능 영향평가 제도의 개념과 발전 158
영향평가 제도의 국내외 개발 현황 160
규제법 이론의 관점에서 보는 영향평가 제도의 의의 178
법정책적 관점에서 보는 영향평가 제도의 함의 181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DPA 규제 거버넌스가 나아갈 길 184
3장 초연결 사회에서 정부와 기업의 관계는?: 정부와 플랫폼 기업의 상호 협력적 관계
초연결 사회의 플랫폼 비즈니스 188
행정학 관점에서 본 정부-기업 관계 190
네이버는 정부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199
정부와 플랫폼 기업의 상호 협력적 관계 206
4장 초연결 시대의 시스템적 조건: 체계성의 유연화 vs 유연성의 체계화
초연결 시대에 필요한 체계화와 유연화 사이의 균형 210
창의적 혁신의 원천: 기분 좋은 우연 212
상업적 실패의 극복과 새로운 성공의 창출: 피봇팅 217
초연결 시대의 급진적인 혁신 221
체계성의 유연화 225
유연성의 체계화 230
초연결 시대의 시스템적 조건 235
5장 혁신 정책의 혁신: 정책의 공동 생산 가능성 탐색
혁신 정책 공동 생산의 기회가 열리다 238
왜 기업·시민·정부가 혁신 정책을 공동으로 생산해야 하는가? 240
정책의 공동 생산 사례 243
혁신 정책 공동 생산의 정책적 시사점 258
닫는 글 초연결 사회기술시스템의 거버넌스 260
참고 문헌 27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회는 인간의 군집이지만 실은 그보다 더 복잡하고 비물질적인 요소들을 포함한다. 사회적 필요에 따라 기술이 만들어지기도 하고, 사회적 선택에 따라 기술의 생사와 부침이 결정되기도 한다. 또 사회적인 영향의 요인에 따라 기술의 모습은 끊임없이 형성되며, 어느 정도 확산된 기술은 다시 사회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사회와 기술의 상호 작용은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선후 관계와 인과 관계가 불분명하다. 사회가 일종의 환경으로서 기술을 선택하고 기술이 일종의 독립변수로서 사회를 변화시킨다고 봤을 때, 기술과 사회는 함께 일종의 공동 진화를 이루어 내고 있는 셈이다.
- 초연결 사회기술시스템은 무엇인가?
만들어 가는 사회기술시스템에서 시민에게는 사용자로서 수동적으로 기술을 수용하는 단선적인 역할만 요구되지 않는다. 기술 시스템의 형성과 사회기술적 전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성이 없더라도 과학기술 지식과 혁신의 공동 생산에 나설 수 있다. 기술과 사회는 하나의 융합된 시스템을 이루며 사회의 어느 구성원도 이 시스템에서 벗어날 수 없다. 기술 변화를 도외시하거나 참여하지 않고 방관한다면 현대 시민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이고, 참여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기도 하다. 미래 사회기술시스템의 구성에 참여할 때 우리는 비로소 미래를 선택할 자유를 갖게 된다.
- 초연결 사회기술시스템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