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교양으로 읽는 마약 세계사, 개정증보판)

오후 (지은이)
동아시아
1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850원 -10% 2,500원
820원
16,5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1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550원 -10% 570원 9,820원 >

책 이미지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교양으로 읽는 마약 세계사, 개정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262482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3-02-14

책 소개

저자는 마약과 관련된 팟캐스트를 제작하면서 마약에 대해 조사하게 되었고, 관련된 사람들을 인터뷰하면서 마약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때 생긴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엮은 것이 이 책이다.

목차

개정판에 부쳐. 여전히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프롤로그.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1. 태초에 마약이 있었
2. 마약과 함께한 문명
3. 기독교의 등장과 마약의 몰락
4. 마녀사냥과 르네상스, 그리고 탕자가 돌아왔다
5. 개처럼 벌어서 마약을 사라: 산업혁명, 제국주의, 아편무역
6. 오늘 오후엔 뭘 하지?: 마약의 종류와 구분
- 부록. 일상에서 합법적으로 즐길 수 있는 마약 1
7. 19세기, 중독의 시대
- 부록. 일상에서 합법적으로 즐길 수 있는 마약 2
8. 금주법으로 살펴본 마약금지 정책
- 부록. 일상에서 합법적으로 즐길 수 있는 마약 3
9. 대마초는 강한 마약으로 가는 디딤돌?
- 부록. 왜 마약을 할까?
10. 세계최강 미국도 이길 수 없는 '마약과의 전쟁'
11. 콜롬비아의 비극이 만든 괴물, 마약왕 파블로 에스코바르
12. 갑.툭.튀 네덜란드
13. 한국은 마약청정국? 위험한 징후들
- 부록. 마약은 얼마일까? 한국의 마약 시세
14. 잠들지 않는 각성제의 나라
15. 게임 체인저의 등장
16. 실전, 영화 속 마약을 찾아서

에필로그. 마약이 문제인가, 사회가 문제인가?

참고 자료
감사의 글

저자소개

오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판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자유기고가이자 칼럼니스트. 과학잡지에는 문학적인 글을, 문학잡지에는 과학적인 글을 쓴다. 온갖 문제에 대해 더 나은 답을 고민하며 시간을 보내지만, 늘 더 나은 답보다는 더 낭만적인 답을 선호한다. 과학, 미신, 마약, 연애, 영화 등 매번 다른 주제를 선택해 자신만의 시각으로 풀어낸다. 지은 책으로는 《나는 농담으로 과학을 말한다》 《믿습니까? 믿습니다!》 《보여주기》 《가장 사적인 연애사》 《가장 공적인 연애사》 《주인공은 선을 넘는다》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모든 마약을 뭉뚱그려 마약이라는 한 범주로 묶어버리는 것도 우리가 가진 잘못된 선입견 중 하나다. 같은 교칙 위반이라고 해도, 교복 치마를 줄이는 것과 특정 학생을 왕따시키는 건 전혀 다른 문제이듯, 마약도 한 범주로 묶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법적으로 마약류는 코카인, 아편, 헤로인 같은 ‘마약’과 LSD, 프로포폴, 히로뽕(필로폰) 같은 ‘향정신성 의약품’ 그리고 마리화나, 하시시가 포함된 ‘대마류’로 구분할 수 있다. 마약류에 포함되진 않지만, 본드, 부탄가스, 아산화질소도 ‘환각물질’로 지정해 흡입을 금지하고 있다.
법적인 구분뿐 아니라, 작용 방식이나 성분, 농도 등에 따라서도 마약을 수백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이를 ‘마약’이라는 한 단어로 퉁쳐버리면 잘못된 접근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런데 이 잘못을 지적하고 시작하는 이 책에서조차, 마약이라고 퉁쳐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편의상 어쩔 수 없는 측면은 있다… 는 건 변명이고, 결국 내 어휘가 부족한 탓이니 독자들에게 미리 양해를 구한다.
- 프롤로그 중에서


요점은 마약이라고 해서 어디 지옥에서 자라는 특별한 식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한반도에서도 아주 오래전부터 대마를 길렀고, 지금도 안동 지역에서 대마를 키운다. “한국에서 대마를 키운다고?” 놀란 분들도 있을 텐데, 삼베옷을 만드는 삼, 그게 바로 대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시골에서 담배 대신 대마를 피우는 어르신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군사정권에서 대대적으로 대마 금지 정책을 펴면서 대마 밭이 사라지고, 대마초를 피우던 문화도 사라졌다.
대마의 마약 작용은 꽃, 잎, 줄기 순으로 순도가 높고(꽃>잎>줄기), 꽃 중에서는 암꽃이 수꽃보다 순도가 높다(암꽃>수꽃). 그래서 대마 전체가 아니라 꽃과 잎 부분만 마약으로 지정되어 있다. 대마의 줄기, 뿌리, 씨앗은 한국에서도 합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줄기는 대마 섬유(삼베옷)로, 뿌리나 씨앗은 기름이나 한약재로 이용한다.
- 오늘 오후엔 뭘 하지? 마약의 종류와 구분 중에서


셋째, 노동력 향상,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 마약을 금지했다?
이것도 결과적으로 틀렸다. 술이든 마약이든 범죄가 되면, 이를 사용한 이들은 범죄자가 되고, 한 번 낙인이 찍힌 사람들은 사회생활이 어려워진다. 가령 어떤 이가 중독자였다고 하더라도 그게 범죄의 영역이 아니라면, 일의 효율은 떨어지겠지만 아예 사회 밖으로 떨어지진 않는다. 하지만 범죄가 돼 버리면, 중독자가 아니라 호기심에 한두 번 접해본 사람도, 평생 범죄자로 낙인이 찍힌다. 그들은 제대로 된 사회생활을 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삶은 점점 더 수렁으로 몰리고, 불행히도 더 마약에 빠질 확률이 높다.
- 금주법으로 살펴본 마약금지 정책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2624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