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62624922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23-04-19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저자의 말
들어가는 말
제1부 인간의 삶
1장 탄소
스크립스, 행성 그리고 단백질 | 앤드루 벤슨의 화학 교육 | 마틴 카멘과 방사성 동위원소 실험실 | 탄소-14
전쟁을 딛고 | 멜빈 캘빈과 탄소의 여정 | 루비스코
2장 에너지
가을 그리고 에너지 보존 | 로빈 힐과 케임브리지 생화학 | 산소는 어디에서 오는가? | 다니엘 아르논과 엽록체의 분리 | Z-체계 | 피터 미첼 그리고 막의 역할
3장 빛
13차 국제 학회 | 에머슨과 아놀드 | 광합성 단위를 둘러싼 논쟁 | 반응센터 | 광계 II에는 4만 6,630개의 원자가 | 절묘한 스릴
제2부 지구의 수명
4장 태초에
망원경과 생체경 | 생명의 한계와 기원 | 세상을 열다 | 지구를 산화하다 | 다른 세상 | 그렇다고 해도 어디를 연구해야 하는 것일까?
5장 화석
다운을 향해 운전하다 | 첫 번째 눈덩이 지구 | 엽록체 세계 | 지루한 10억 년 | 대기권을 침범하다
6장 숲과 되먹임
정적인 특성 | 세상을 펼치다 | 산소 불꽃 | 생명, 행운 그리고 엔트로피
7장 초원
다운스에서 | 백악기 바다에서 불타는 사바나로 | 빙하기 | 비옥한 1000년 | 식물의 종말 | 오랜 여정
제3부 나무가 사는 세상
8장 인류
바스티유의 날 | 광합성의 발견 | 플로지스톤 주기 | 잎이 바뀌면 세상도 바뀐다 | 인류의 힘 | 탄소/기후 재앙
9장 에너지
쐐기의 세계 | 포플러에 비치는 태양 | 덧붙여: 변치 않는 동반자
용어 설명
더 읽을거리
감사의 글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이 모든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는 이 책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했다. 각 부분은 주제와 해당 시간 범위로 나뉜다. 제1부는 인간 활동의 범주에 맞게 설정했다. 계몽시대 이후 20세기 들어 광합성을 새롭게 보고자 등장한 놀라운 수단을 과학자들이 어떻게 이용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제2부는 지구의 삶을 다룬다. 1부에서 발견된 분자들이 어떻게 지구화학에 지배적인 물질이 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기후를 재설정하고 기후와 서식지를 엄청나게 변화시켰는지 알아볼 것이다. 제3부는 과거와 미래 몇 세기 동안의 문제인 나무의 삶을 다룬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게 되면서 인간이 탄소 순환에 깊숙이 관여하고 기후를 변화시킨 이야기다.
이 책은 또한 광합성을 깊이 이해하는 일이 장차 우리가 어떻게 더 현명한 미래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지도 살펴볼 것이다. 놀라운 세계를 풍요롭게 해석하는 과학은 우리가 상황을 개선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줄 것이다. 색소 수준에서 그리고 이 행성의 차원에서 광합성을 이해하는 일은 우리 공기를 답답하게 하는 이산화탄소 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우리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추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
_들어가는 말
사람은 살아가는 동안 또 다른 극적인 삶, 평온하고 보편적인 삶이 뒤섞인다. 나치 치하를 벗어나 정원에서 난초를 키운다. 시간제로 일하다가 봉급을 받고 무기를 들다가 다이빙을 배우고 사고로 죽는다. 배신, 열정, 우울, 사랑에 빠짐, 포커에서 이김. 똑똑한 사람, 결정력이 있는 사람, 운이 좋은 사람, 자신들이 잘하는 일을 하는 사람, 완전히 수수께끼였던 사실의 전모를 밝혀낸 사람. 20세기의 뒷배를 위해 그들은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제 분자가 산처럼 보이고 태양이 내리쬐는 기간이 빙하기처럼 지속되는 기이하고 새로운 풍경이다. 빛과 생명의 소우주를 가로질러 그들은 지구상 모든 생명을 태양의 불에 연결하는 길을 추적했다.
우리는 모든 것을 알지 못한다. 하지만 어떤 것도 인간의 일생만큼 많은 것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정말 그 안에는 절묘한 스릴이 있다.
_3장 빛
진화는 포자를 바람에 방출하기 위해 경계층 위로 자란 식물의 줄기를 선호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물은 내부를 습하게 유지하는 왁스 큐티클 층을 갖추는 등 다양한 방어 체계를 구축하고 건조한 기후에 맞서게 되었다. 큐티클 층은 이산화탄소를 빠져나가게 할망정 물을 지킬 수 있었다. 만일 줄기가 광합성을 하면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이는 대신 물을 잃을 각오를 해야 한다. 이런 절충안을 중재한 것은 기공이다. 식물은 녹색 조직에서 광합성의 양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기공을 여닫는다. 전체적으로 환경의 입장에서 기공은 식물생리학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다. 이들은 물과 탄소 순환을 긴밀하게 연결한다.
_5장 화석